$\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업경영체 등록정보와 공간데이터를 활용한 밭 이용 방안 연구: 전라남도 무안군·해남군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pland Use Plans Using Farm Manager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Spatial Data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60 no.4, 2018년, pp.27 - 35  

오윤경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유승환 (Department of Rural and Bio-Systems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최수명 (Department of Rural and Bio-Systems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이지민 (Research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od consumption pattern changes, including a decrease in rice consumption and increasing demand for fresh vegetables, along with declining food self-sufficiency rate, more importance is being placed on agricultural industry within Korea. Taking these changes into consideration, there is an increa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상지의 농업경영체 등록정보와 수치고도자료, 연속지적도 등 공간 자료를 활용하여 임의의 대상지에 적용 가능한 유형별 밭 이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밭농업 발전유형을 분류하고, 대표적인 밭작물주산단지를 연구대상지로 선정하여 밭작물 재배지의 농지이용 방안을 유형별로 제안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 미래 밭기반 정비의 지속가능성과 산업적 영세성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밭농업이 갖는 복합 기능을 고려하여 산업적 측면, 환경적, 사회적 측면을 고려하여 밭기반 정비 방안을 분류하였다. 대규모로 조성하는 산업적 효율성 중심의 밭기반 정비 (Seo et al.
  • 본 연구에서는 농업경영체 등록정보와 대상지의 수치고도자료, 연속지적도 등 공간 자료를 활용하여 지역맞춤형 밭농업 경지이용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밭농업 발전유형별 프레임 기준을 설정하고, 대표적인 주산단지인 전라남도 무안군의 양파재배지역과 해남군의 배추재배지역을 사례단지로 선정하여 그 지역의 밭농업 현황을 살펴보고, 공간분석을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Satoh et. al. (2006)과 Lee (2015)의 연구를 참고하여 일반인의 보행속도 (4 km/hr)와 노약자 보행속도 (3 km/hr)를 통해 기준 거리를 산정하고, 세종특별자치시(2016)의 농기계의 에너지 IOT 실현에 관한 연구에서 제시한 농기계 최대속도 20 km/hr를 기준으로 경운기나 트랙터 평균속도를 10 km/hr라 가정하고 거리 기준을 설정하였다.
  • 0 km)를 각각 버퍼링하였으며, 작물 재배지 권역화는 농업경제적 프레임에서 고려하고 있는 대규모 집단화/집약화 정비가 가능한 지역을 선정하기 위해, 근거리에 위치한 재배 지역을 dissolve하여 하나의 권역으로 결합하였다. 이 때, 근거리 기준은 리도 (도로 종류)의 폭인 5 m로 가정하였다. 마을 중심과의 거리와 권역화한 작물 재배지의 면적을 프레임 기준에 적용하여, 유형별로 군집을 나누어 사례 대상지의 밭농업 발전유형별 경지정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 1을 활용하여 사례지역인 무안군과 해남군의 지적도에 적용하고, 적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적지 분석의 첫 번째 단계에서는 마을 중심을 마을 회관으로 가정하고 마을 중심좌표 및 마을 권역을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마을 권역을 기준으로 단계 거리별로 버퍼링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밭 지역의 특성으로 인한 한계는? 그러나 국내 밭 지역은 논으로 활용하기 어려운 경사지나 구릉지 등 불리한 지형에 주로 위치하며, 밭농업의 노동집약적 영농 특성을 가진다. 이로 인해 가족노동력 중심의 농가에서는 밭작물을 대규모로 영위하기에 한계가 존재한다. 이러한 밭농업의 특징을 고려한 다양한 측면에서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경쟁력 확보를 위한 밭 기반 정비 연구가 필요하다 (Seo, 2015).
국내 밭 지역의 특성은? 그러나 국내 밭 지역은 논으로 활용하기 어려운 경사지나 구릉지 등 불리한 지형에 주로 위치하며, 밭농업의 노동집약적 영농 특성을 가진다. 이로 인해 가족노동력 중심의 농가에서는 밭작물을 대규모로 영위하기에 한계가 존재한다.
실제 밭 이용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것은? 본 연구에서는 마을중심과의 거리와 필지면적, 두 가지 요인을 기준으로 설정하여 시⋅군 단위를 대상으로 기존의 밭작물이 재배되고 있는 경작지를 크게 3가지 프레임으로 분류하였다. 그러나 실제 밭 이용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읍⋅면 단위 또는 행정리 단위로 공간적 범위를 축소하여 도로와의 거리, 경사도 및 필지형태, 인접 지역의 지목 등 세부적인요인을 추가로 고려한 공간분석이 요구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 결과는 광범위한 지역의 밭작물 재배지역의 분포 특성을 파악하고 분류하여 유형별 경지이용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향후 세부적인 밭 기반 정비 모델 개발 및 계획의 대상지 선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hae, G., H. Kim, Y. Lee, G. Kim, S. Kook, and H. Moon, 2014. Issue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dry field farming, Krei Agri Focus 97,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in Korean). 

  2. Chung, C., and M. H. Park, 2007. A Study on the reality and improvement plan of scenic landscape agriculture in Korea-Case Study of the Go-Chang County in Jeon-Buk Province-. Rural Plan 13(3): 13-21 (in Korean). 

  3. Chung, C., 2005. A Study on the direct payback system for the preservation of sustainable scenic agriculture.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17(3): 191-210 (in Korean). 

  4. Gim, G. M., J. Moon, M. S. Jeong, and S. M. Lee, 2013. Analysis on the pres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Agro-healing in Korea.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20(4): 909-936 (in Korean). doi:10.12653/jecd.2013.20.4.0909. 

  5. Han, S., S. Kim, G. Che, C. Yoo, G. Nam, and H. Jeong, 2016. Analysis and application of agricultural management DB for customized agricultural land. Naju, South Jeolla Provinc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in Korean). 

  6. Kang, Y., 2014. Effects of the experience activities forkitchen garden cultivation on children's inquiry skills anddietary attitud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cooperation Society 15(6): 3460-3468 (in Korean). doi:10.5762/KAIS.2014.15.6.3460. 

  7. Kang, Y., and S. B. Im, 2010. A Study on the guideline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for landscape agricultural region. Rural Plan 16(3): 143-157 (in Korean). 

  8. Korea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Portal, http://www.nsdi.go.kr/. 

  9.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KRC), 2015(a). Statistical yearbook of land and water development for agriculture (in Korean). 

  10.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KRC), 2015(b). Management method of Upland Farming on Main Producing Areas (in Korean). 

  11.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KREI), 2014. Measures to Expand the Improvement of Dry-field Farming Infrastructures (in Korean). 

  12. Lee, S. H., S. H. Goo, Y. W. Chun, and Y. J. Park, 2015. The Spatial location analysis of disaster evacuation shelter for considering resistance of road slope and difference of walking speed by age-case study of Seoul,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23(2): 69-77. doi:10.7319/kogsis.2015. 23.2.069. 

  13.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FAFF) and Korea rural corporation (KR), 2012. Study on Field Based Survey and Development Technique for Upland Reclamation Project (in Korean). 

  14.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MAF), 1997. Research on Development Type of Dry Field Infragstructure (II) (in Korean). 

  15.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MAF), 2001.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Dry Field Infrastructure Project Results (in Korean). 

  16.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MAF), 2003. Pilot Project Evaluation of Dry Field Comprehensive Management (in Korean). 

  17.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and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KREI), 2013. Farmland Utilization and Improvements for Agricultural Production Infrastructure: Farmland Consolidation (in Korean). 

  18.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2016a. the Feasibility Survey of Main Producing Areas Maintenance (in Korean). 

  19.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2016b. Development of GIS-Based Resources Management Technology for Main Production Complex of Upland Crops (in Korean). 

  20. Satoh, E., T. Yoshikawa, and A. Yamada, 2006. Investigation of converted walking distance considering resistance of topographical features and changes in physical strength by age. Journal of Architecture Planning 610: 133-139 (in Japanese). 

  21. Sejong City, 2016.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energy IOT in agricultural machinery (in Korean). 

  22. Seo, D. W., 2015. Another way to improve agricultural competitiveness: Dry field comprehensive infrastructure project, Rural Research Institute Focus 62. Rural Reserch Institute (in Korean). 

  23. Seo, D., Y. Kim, W. Choi, and H. Lee, 2015. Upland infrastructure development model for mechanized farming. KCID Journal 22(2): 21-30 (in Korean). 

  24. Yoo, S. H., S. M. Choi, and Y. G. Oh, 2017. Measures to improve the utilization of farmland, using the big data on production and environment. Rural Resources 59(3):57-64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