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생식물의 항균 소재 탐색 및 추출물 첨가 항균용기 개발

Antimicrobial Activities of Native Plant Extracts and Development of Antibacterial Container with Extracts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8 no.3, 2018년, pp.231 - 238  

우나리야 (호서대학교 식품공학 전공 및 기초과학연구소) ,  이혜순 (호서대학교 식품공학 전공 및 기초과학연구소) ,  고성희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식품 저장용기로서 사용하기에 편리하면서 미생물 등의 오염을 방지하고, 식품의 신선도 향상과 인체에 안정적이며, 경제적인 식품 저장 용기를 개발하고자 천연 자생식물의 항균 소재를 탐색하고, 이들 추출물을 첨가한 항균용기를 개발해 보고자 하였다. 천연물에 존재하는 항균성 물질을 소재로 하는 연구는 식품은 물론 많은 분야에서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항균용기에 첨가 가능한 천연 자생물질은 선행연구와 예비 실험을 통하여 항균력이 우수하다고 생각되는 어성초, 유근피, 연교, 솔잎, 녹차, 창출, 지구자, 산사, 황련 등 총 9종을 선정하였으며, 이들 9종의 추출물을 제조하여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이 중에서 실험을 통해 항균용기 제조에 사용할 자생식물 항균소재를 선발한 후 저장 용기를 개발 제작하고, 개발된 항균 용기(antimicrobial polypropylene container; APP), 폴리프로필렌 용기(polypropylene container; PP), 스테인레스 스틸 용기(stainless steel container; ST), 포세린 용기(pocelain container; PC)에, 총 4가지 재질의 용기의 항균 유지력을 비교해 봄으로써 자생식물을 항균 소재로 개발한 항균용기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해 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9종의 자생식물 추출물 중 어성초, 유근피, 연교, 솔잎, 황련 추출물이 식중독 원인균 5종인 L. monocytogenes, S. enterica, B. cereus, S. aureus, E. coli에 대하여 항균 활성이 높아 항균용기 개발에 첨가 가능한 항균 소재로 선발하였다. 2. 유근피, 솔잎, 녹차, 황련 추출물은 열처리 후에도 B. cereus를 제외한 L. monocytogenes, S. enterica, S. aureus, E. coli 4개의 균주에서 항균활성을 유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어성초, 유근피, 솔잎, 녹차, 황련 추출물의 항균물질열처리 공정이 필요한 용기 사출공정에서도 활성이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3. 선발된 5가지의 자생식물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작한 폴리프로필렌 용기는 5가지 균(L. monocytogenes, S. enterica, B. cereus, S. aureus, E. coli)을 접종한 후 흡광도 측정을 통하여 항균활성을 알아보았다. 접종 후 8시간 이후부터 4가지 재질 용기의 흡광도 값에 차이를 보였으며, 시판용기들에 비해 APP 용기가 흡광도 값이 낮아지는 것으로 보아 균의 생장이 저해됨을 알 수 있었다. 단, 도자기 용기인 PC의 경우 APP와 유사한 항균력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자생식물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항균용기는 기존의 시판 용기인 PP와 ST에 비하여 항균효과가 우수하며, PC와 비슷한 수준의 항균 유지력을 보임으로써 식품의 안전한 저장은 물론 식품의 항균 용기로서 활용도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단, 향후 본 용기를 이용한 다양한 식품의 저장기간과 품질 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기존 시판 용기들과의 차별점을 확인하고, 식품의 저장용기로서의 활용가능성을 평가할 필요가 있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bacterial materials of native plants and develop an antimicrobial container containing these extracts to prevent microbial contamination, improve food freshness, and enable stable and economical food storag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native pl...

주제어

참고문헌 (17)

  1. Ahn DJ (2007) Food Packaging. Bomoongak, Korea. pp 29-38. 

  2. Ahn YS, Shin DH, Baek NI (2000)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ctive antimicrobial substance againse Listeria monocytogenes from Ruta graveolens Lin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2(6): 1379-1388. 

  3. Choe SB (2014) Antimicrobial activity of Orixa japonica Thunb. leaf extracts.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pp 5-12. 

  4. Kang SK, Kim YD, Choi OJ (1998) Proximate, saponin and amino acid compositions in Camellia (Camellia japonica L.) seeds and defatted camellia see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2): 227-231. 

  5. Kim CS, Lee JP, Song JH, Lim EK, Chung SJ, Ha SY, Moon BJ (2001) Development of biofungicide for control of gray mold rot of eggplant caused by Botrytis cinerea, and bioassay in the greenhouse condition. Korean Journal of Life Science 11(3): 235-241. 

  6. Han KI, Kim MJ, Kwon HJ, Kim YH, Kim WJ, Han MD (2013) The effect of container types on the growth of bacteria during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 Nutr 26(2): 249-257. 

  7. Han SH, Woo N, Lee SD, Kang MH (2006) Antioxidative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ndemic plants extracts in Korea.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4(1): 49-55. 

  8. Korea Food Code (2017) http://www.foodsafetykorea.go.kr/foodcode/01_01.jsp Assessed September 15, 2017. 

  9. Kwon MK, Lee HE, Park JY, Hahn YS (2003) Antimicrobial activities of berry extract of domestic plants on 4 kind of pathogenic microorganism.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3(5): 433-438. 

  10. Lee EJ, Park SE, Choi HS, Han GJ, Kang SA, Park KY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fermented in permeability-controlled polyethylene containers. Korean J Food Preserv 17(6): 793-799. 

  11. Lee JE (2003) Kimchi's storage and table container for its internationalization and efficient usage. M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pp 40-41. 

  12. Lim JW, Moon JS, Kim HD, Na DJ, Son JY (2004) Changes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by storage containers. Korean J Food & Nutr 17(1): 80-85. 

  1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8) http://www.foodsafetykorea.go.kr/portal/healthyfoodlife/foodPoisoningStat.do?menu_grpMENU_NEW02&menu_no2786 Assessed June 07, 2018. 

  14. Oh DH, Ham SS, Park BK, Ahn C, Yu JY (1998) Antimicrobial activities of natural medicinal herbs on the food spoilage or foodbone disease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4): 957-963. 

  15. Park HK (2002) Study on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Houttuynia cordata Thunb. MS Thesi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Suncheon. pp 38-39. 

  16. Park MH, Lee DS, Lee KH (2014) Packaging for Food Preservation. Hyungseul, Korea. pp 76-84. 

  17. Yang MS, Ha YL, Nam SH, Choi SU, Jang DS (1995) Screening of domestic plats with antibacterial activity. J Appl Biol Chem 38(6): 584-5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