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reenTD 물질을 이용한 유해 적조 발생 종의 선택적 살조능 평가
Selective Algicidal Effects of a Newly Developed GreenTD against Red Tide Harmful Alga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6 no.3, 2018년, pp.359 - 369  

이민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위해성분석연구센터) ,  신주용 (제주국제고등학교) ,  김진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위해성분석연구센터) ,  임영균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위해성분석연구센터) ,  조훈 (조선대학교 생명화학고분자공학과) ,  백승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위해성분석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하계 우리나라 연안내만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유해 적조생물 제어는 수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중요한 국가적 현안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Thiazolidinedione 유도체 물질인 GreenTD 농도 구배별로 유해 미세조류 4종(Chattonella marina, Heterosigma akashiwo, Cochlodinium polykriokides, Heterocapsa circularisquama)과 무해 미세조류 3종 (Chaetoceros simplex, Skeletonema sp., Tetraselmis sp.)에 대해 생물 고밀도 실험군과 저밀도 실험군에서 살조물질 농도별 살조효율과 선택성을 조사하였다. 유해종에 속하는 침편모조류 C. marina와 H. akashiwo는 각각 GreenTD 0.5와 $0.2{\mu}gL^{-1}$ 농도에서 단시간에 확실한 효과를 보였으며, 14일 동안의 관찰에서도 재성장을 보이지 않았다. 적조생물 C. polykrikoides은 GreenTD $0.2{\mu}gL^{-1}$ 이상의 농도에서 광합성활성이 현저하게 떨어졌고, 살조효율 역시 80% 이상으로 나타났다. 특히, GreenTD $0.2{\mu}gL^{-1}$에서도 C. polykrikoides가 재성장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본 물질은 C. polykrikoides에 대한 살조효과가 우수할 것으로 판단된다. H. circularisquama는 고밀도 실험군에서 GreenTD $0.5{\mu}gL^{-1}$, 저밀도 실험군에서는 GreenTD $0.2{\mu}gL^{-1}$ 농도에서부터 일정하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규조류 C. simplex와 Skeletonema sp.에 대해서는 생물농도가 고밀도일 때 GreenTD $0.2{\mu}gL^{-1}$에서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초기 일정한 영향을 받은 후 시간 경과와 더불어 재성장이 이루어졌다. 특히 녹조류 Tetraselmis sp.는 최고농도인 GreenTD $1.0{\mu}gL^{-1}$에서도 일정하게 높은 값을 유지하였다. GreenTD 농도와 생물밀도에 따른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나, 전반적으로 살조물질의 효과는 침편모조류>와편모조류>규조류>녹조류 순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GreenTD 물질은 유해종에는 높은 살조능력이 있고, 무해종에는 일시적으로 광합성활성에 영향을 주지만, 시간의 경과에 따라 회복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적조생물 C. polykrikoides 제어하기 위해서는 고밀도 실험군에서 80.8%의 살조효과를 보인 GreenTD $0.2{\mu}gL^{-1}$의 농도가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며, 현장 적용시 일시적인 희석등을 고려하여 적정농도보다 높게 살포하면 일정하게 높은 살조효율을 가질 것이며, 이는 경제성을 고려하여 충분한 경쟁력이 있는 물질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armful algal blooms (HABs) are a serious problem for public health and fisheries industries, thus there exists a need to investigate the possible ways for effective control of HAB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algicidal effects of a newly developed GreenTD against the HABs (Chattonel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4b)에 의하면, Thiazolidinedione 유도체 (TD49)는 당뇨병 치료 보조제로 활용되고 있으며, 유해 적조생물을 선택적으로 살조하는 능력이 우수하였다. 따라서 본 물질(GreenTD)에 대한 경제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황토와 TD49 물질을 예시로 비교하여 보았다. 2013년 적조생물이 대발생하여 황토를 대규모 살포하였으나, 효과적으로 적조생물을 제어하지 못하여 270억 규모의 수산양식업 피해를 입혔다.
  • 따라서, 정부에서는 적조발생으로 인한 수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국립수산과학원에서 적조구제물질을 발굴하고자 기업체에서 개발된 200여 물질을 공모 및 평가하였다. 1차적으로 공모된 각 물질에 대하여 살포 비용과 원가를 고려하여 경제성이 있는 물질을 선정하였다.
  • 하계 우리나라 연안내만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유해 적조생물 제어는 수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중요한 국가적 현안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Thiazolidinedione 유도체 물질인 GreenTD 농도 구배별로 유해 미세조류 4종(Chattonella marina, Heterosigma akashiwo, Cochlodinium polykriokides, Heterocapsa circularisquama)과 무해 미세조류 3종 (Chaetoceros simplex, Skeletonema sp., Tetraselmis sp.)에 대해 생물 고밀도 실험군과 저밀도 실험군에서 살조물질 농도별 살조효율과 선택성을 조사하였다. 유해종에 속하는 침편모조류 C.
  • 본 연구에서는 유해 및 무해 미세조류 7종을 대상으로 GreenTD에 대한 살조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유해 미세조류는 국내에서 종종 대증식하는 침편모조류 2종(Chattonella marina, Heterosigma akashiwo), 와편모조류 2종 (Cochlodinium polykriokides, Heterocapsa circularisquama)으로 구성되었고(Baek et al.
  • 본 연구에서는 적조생물 C. polykrikoides을 효과적으로 구제하기 위해서 (주)큐얼스에서 개발한 친환경 살조물질 GreenTD를 대상으로 구제 효율을 평가하였다. 현장 적용성 평가 수행하기 이전, 유해 미세조류와 무해 미세조류를 대상으로 선택성 살조여부를 평가하여, 잠재적 현장 적용 가능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 polykrikoides을 효과적으로 구제하기 위해서 (주)큐얼스에서 개발한 친환경 살조물질 GreenTD를 대상으로 구제 효율을 평가하였다. 현장 적용성 평가 수행하기 이전, 유해 미세조류와 무해 미세조류를 대상으로 선택성 살조여부를 평가하여, 잠재적 현장 적용 가능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해 적조생물 제어는 무엇을 최소화하기 위한 현안문제인가? 하계 우리나라 연안내만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유해 적조생물 제어는 수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중요한 국가적 현안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Thiazolidinedione 유도체 물질인 GreenTD 농도 구배별로 유해 미세조류 4종(Chattonella marina, Heterosigma akashiwo, Cochlodinium polykriokides, Heterocapsa circularisquama)과 무해 미세조류 3종 (Chaetoceros simplex, Skeletonema sp.
연안해역의 역할은? 연안해역은 다양한 미세조류가 출현하여 높은 종 다양성이 유지되며, 이는 해역의 항상성과 건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Constanza 1992). 하지만, 호조건의 환경하에서 비정상적으로 특정 종이 증식하여 적조를 일으켜 양식 수산생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연안해역은 호조건의 환경하에서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연안해역은 다양한 미세조류가 출현하여 높은 종 다양성이 유지되며, 이는 해역의 항상성과 건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Constanza 1992). 하지만, 호조건의 환경하에서 비정상적으로 특정 종이 증식하여 적조를 일으켜 양식 수산생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우리나라에서는 1970년대 일부 반폐쇄성 내만해역에서 간헐적으로 적조가 발생하였으나, 1980년대 이후 그 발생 건수가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10.4217/OPR.2012.34.2.125 BaekSH , MC Jang, MH Son, HM Joo, H Cho and YO Kim. 2012. Algicidal effects of a newly developed thiazolidinedione derivative TD49, on dinoflagellate Akashiwo sanguinea .Ocean Polar Res.34:1-11. 

  2. 10.1007/s10811-012-9953-7 BaekSH , M Son, SW Bae, K Shin, DH Na, H Cho, M Yamaguchi, YO Kim and SW Kim. 2013. Algicidal activity of the thiazolidinedione derivative TD49 against the harmfuldinoflagellate Heterocapsa circularisquama in a mesocosm enclosure . J. Appl. Phycol.25:1555-1565. 

  3. 10.1007/s10811-014-0275-9 BaekSH , K Shin, M Son, SW Bae, H Cho, DH Na, YO Kim and SW Kim. 2014a. Algicidal effects of yellow clay and the thiazolidinedione derivative TD49 on the fish-killing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in microcosmexperiments . J. Appl. Phycol.26:2367-2378. 

  4. 10.1007/s10811-013-0046-z BaekSH , M Son, SW Jung, DH Na, H Cho, M Yamaguchi, SW Kim and YO Kim. 2014b. Enhanced species-specific chemical control of harmful and non-harmful algal bloomspecies by the thiazolidinedione derivative TD49 . J. Appl. Phycol.26:311-321. 

  5. 10.5762/KAIS.2015.16.4.2971 BaekSH . 2015a. Short-term changes of microbial communities after control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by yellow clay and chemical compound dosing in microcosm experiments . J. Korea Acad. Industr. Coop. Soc.16:2971-2977. 

  6. 10.1016/j.ecss.2014.12.035 BaekSH , D Kim, M Son, SM Yun and YO Kim. 2015b. Season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assemblages and nutrient- enriched bioassays as indicators of nutrient limitation of phytoplankton growth in Gwangyang Bay, Korea . Estuar. Coast. Shelf Sci.163:265-278. 

  7. 10.1007/s10811-016-0965-6 BaekSH , M Son, YO Kim, H Cho, M Lee, DH Na and SW Kim. 2017. Response of Chattonella marina (Raphidophyceae) and marine plankton to yellow clay and thiazolidinedionederivative TD49 in a mesocosm enclosure . J. Appl. Phycol.29:285-296. 

  8. CostanzaR , BG Norton and BD Haskell. 1992. Ecosystem health: new goals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IslandPress. Washington, D.C. pp. 236-253. 

  9. 10.1007/s10811-014-0267-9 EbenezerV , WA Lim and JS Ki. 2014. Effects of the algicides CuSO4 and NaOCl on various physiological parameters in the harmful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 J.Appl. Phycol.26:2357-2365. 

  10. 10.2331/suisan.57.2321 FukamiK , T Nishijima, S Murata, S Doi and Y Hata. 1991. Distribution of bacteria influential on the development and the decay of Gymnodinium nagasakinense red tide and their effects on algal growth . Nippon Suisan Gakkaishi.57:2321-2326. 

  11. 10.2331/suisan.57.1409 ImaiI , Y Ishida, S Sawayama and Y Hata. 1991. Isolation of a marine gliding bacterium that kills Chattonella antiqua (Raphidophyceae) . Nippon Suisan Gakkaishi.57:1409. 

  12. 10.1023/A:1008139129057 JeongJH , HJ Jin, CH Sohn, KH Suh and YK Hong. 2000. Algicidal activity of the seaweed Corallina pilulifera againstred tide microalgae . J. Appl. Phycol.12:37-43. 

  13. 10.1007/s10126-011-9412-5 KimYM , Y Wu, TU Duong, SG Jung, SW Kim, H Cho and ES Jin. 2012. Algicidal activity of thiazolidinediones derivatives against harmful algal blooming species . Mar. Biotechnol.14:312-322. 

  14. 10.1016/j.chemosphere.2006.08.023 K sterA and R Altenburger. 2007.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new fluorescence-based bioassay for aquatic macrophytespecies . Chemosphere67:194-201. 

  15. LeeWJ and YT Park. 1998. Isolation of marine bacteria killing red tide microalgae II. Isolation and algicidal properties of Pseudomonas sp. LG-2 possessing killing activity for dinoflagellate, Prorocentrum micans . Korean J. Fish. Aquat.Sci.31:852-858. 

  16. 10.1016/j.hal.2013.10.002 LeeCK , TG Park, YT Park and WA Lim. 2013. Monitoring and trends in harmful algal blooms and red tides in Korean coastal waters, with emphasis on Cochlodinium polykrikoides .Harmful Algae30:3-14. 

  17. ParkYT , JB Park, SY Chung, BC Song, WA Lim, CH Kim and WJ Lee. 1998. Isolation of marine bacteria killing red tide microalgae I. Isolation and algicidal properties of Micrococcus sp. LG-1 possessing killing activity for harmful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 Korean J. Fish.Aquat. Sci.31:767-773. 

  18. 10.1016/j.hal.2013.10.012 ParkTG , WA Lim, YT Park, CK Lee and HJ Jeong. 2013. Economic impact, management and mitigation of red tides inKorea . Harmful Algae30:131-143. 

  19. 10.1111/j.1550-7408.2004.tb00541.x SengcoMR and DM Anderson. 2004. Controlling harmful algal blooms through clay flocculation . J. Eukaryot. Microbiol.51:169-172. 

  20. 10.1111/j.1365-2109.2003.00958.x ShumwaySE , DM Frank, LM Ewart and JE Ward. 2003. Effect of yellow loess on clearance rate in seven species of benthic, filter-feeding invertebrates . Aquac. Res.34:1391-1402 

  21. 10.2331/fishsci.61.780 YoshinagaI , T Kawai, T Takeuchi and Y Ishida. 1995. Distribution and fluctuation of bacteria inhibiting the growth of a marine red tide phytoplankton Gymnodinium mikimotoi in Tanabe Bay . Fish. Sci.61:780-786. 

  22. 10.2331/fishsci.63.94 YoshinagaI , T Kawai and Y Ishida. 1997. Analysis of algicidal ranges of the bacteria killing the marine dinoflagellate Gymnodinium mikimotoi isolated from Tanabe Bay . Fish.Sci.63:94-9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