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순나방붙이에 대한 동시 교미교란제의 현장 적용 기술
Field Application Techniques of Simultaneous Mating Disruptor Against Grapholita molesta and G. dimorpha 원문보기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57 no.3, 2018년, pp.209 - 220  

조점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박창규 (한국농수산대학 산업곤충학과) ,  박일권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  김용균 (안동대학교 식물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교미교란(mating disruption, MD) 기술이 사과에 피해를 주는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방제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순나방붙이를 동시에 교미교란(simultaneous MD, SMD)하는 기술이 최근에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이 SMD 기술을 현장에 접목하는 데 필요한 요인들을 결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SMD 처리 농도를 결정하기 위해 각 처리 지점에 10 mg의 성페로몬을 여러 가지 밀도로 사과나무에 처리하였다. 처리된 세 농도 가운데 두 나무마다 하나의 SMD 처리가 비교적 안정적으로 MD 효과를 유지하였다. 이러한 SMD 효과는 왁스 및 polyethylene 제형 모두에서 나타났다. 두 사과나무마다 하나의 SMD 처리 농도로 3월 말에 1회 처리한 경우 수확기까지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순나방붙이에 대해 효과적 교미교란을 유지시켰다. 인근 무처리 과수원에서 SMD 처리 과수원으로 이주하여 들어오는 교미된 암컷의 이입을 막기 위해 울타리 처리 기술이 적용되었다. 암컷 유인제를 개발하기 위해 6종류의 사과 과실 추출물에 포함된 화합물 가운데 terpinyl acetate (TA)가 선발되었다. 서로 다른 TA 농도 처리에서 0.05%가 성충 유인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TA와 설탕을 혼합한 것을 암컷유살제(female attract-to-kill technique, FAKT)라 명명하였다. 사과 과수원 가장자리를 따라 6 m 간격으로 FAKT를 설치한 울타리 처리는 교미된 암컷을 포획하였고, 이들은 난황형성과정을 진행하고 있는 난모세포를 지니고 있었다. FAKT가 가미된 SMD 처리는 높은 MD 효율을 유지하는 것은 물론이고 SMD 단독 처리에 비해 신초 피해를 현격하게 줄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ting disruption (MD) has been widely used to effectively control Grapholita molesta in apple orchards. A simultaneous mating disruption (SMD)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to control both G. molesta and G. dimorpha.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practical parameters to apply the SM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두 번째 단계로서 본 연구는 SMD 처리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울타리 처리를 개발하였다. 국내 과수원의 소규모와 인근 과수원과의 인접성은 교미교란제 처리에 따른 효과적 해충방제에 어려움을 준다.
  • ,2006). 따라서 본 연구에서 SMD를 3월말에 처리한 것은 초기 발생하는 월동세대 집단의 차세대 형성을 교미교란을 통해 억제하는 효과로 해석된다.
  • 본 연구는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순나방붙이가 같은 서식지에서 유사한 시기에 발생하고 두 개의 공통 성페로몬 성분에 교차유인된다는 사실을 기반으로 이들 두 해충을 동시에 교미 교란하려는 기술(simultaneous MD, SMD)(Kim et al., 2018)을 현장에 적용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특히 사과원을 대상으로 SMD 처리 농도, 시기 및 횟수를 결정할 필요가 있었고, 교미교란제를 처리하지 않은 인접 과수원에서 이주하여 들어오는 교미 암컷을 방지하는 울타리 처리 기술이 개발될 필요가 있었다.
  • 본 연구는 사과 및 기타 핵과류에 큰 피해를 주고 있는 심식나방류인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순나방붙이를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한 기술로서 교미교란제에 대한 현장 처리 기술을 개발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현장 처리 기술은 크게 두 단계로 처리 농도 및 처리 횟수를 결정하는 데 첫번째 단계 연구를 진행하였고, 이후 두 번째 단계 연구로서 인접 과수원에서 이주하여 오는 암컷을 포획하려는 울타리 처리 기술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 , 2018). 본 연구는 이러한 SMD 효과를 서로 다른 지역(전주 및 안동)에서 그리고 서로 다른 연도(2017년과 2018년)에서 뒷받침되어 이 SMD 기술의 현장 적용성을 높여 주었다. 이 SMD는 두 근연종의 촉각에 존재하는 냄새물질감지 기구에서 유사성으로 해석될 수 있다.
  • 이상의 결과는 SMD가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순나방붙이 모두에 대해서 교미교란 효과가 있으며, 사과나무 1/2의 농도로 처리할 경우 연중 1회 처리로 이들 해충의 교미를 억제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여기에 TA를 기반으로한 울타리 처리 기술에 의해 인접한 무처리 지역에서 이주하여 오는 교미 암컷을 일부 차단할 수 있게 되어 그 동안 광역화 처리를 통한 효과적 교미교란제 처리 기술을 보완할 수 있는 국내 현장 적용형 교미교란제 처리 기술을 본 연구는 제공하고 있다.
  • 이는 비처리지역에서 교미된 암컷이 처리 지역으로 이주하여 들어와서 다음 세대를 형성하기 때문이다(Jung and Kim, 2008). 이를 해결하려 본 연구는 TA를 이용하여 교미 암컷을 유인하려는 FAKT 기술을 개발하였고, 이를 처리 지역 주변으로 울타리 처리하여 주변 과수원에서 이주하여 들어오는 암컷을 차단하려 하였다. 이를 위해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숭아순나방는 어떤 피해를 주는가?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은 중국 북서부 지역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되며(Hallman, 2004), 현재는 전 세계 거의 모든 온대 지역에 분포하며 사과를 비롯한 배, 복숭아 등의 과실류와 함께 장미과 식물 등에도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다(Rothschild and Vicker, 1991; Knight et al., 2014).
복숭아순나방의 교미신호는 어떤 것에 의존하는가? 복숭아순나방의 교미신호는 성페로몬에 의존하며, 수컷은 하루 중 일정한 시각에 성페로몬에 유인된다(Kim et al., 2011).
복숭아순나방의 효과적 방제가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복숭아순나방은 농작물의 신초와 과실을 직접 가해하는 일차해충이다. 더욱이 심식충으로 과실 내부가 유충의 서식지이기에 살포 약제에 직접 노출되지 않아 효과적 방제가 어려우며,이에 따른 과도한 약제 살포는 살충제 저항성 및 인축 독성의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Pree et al., 1998; Borchert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7)

  1. Arai, T., Takanashi, M., Ihara, F., Mochizuki, F., 2009. Emergence of adult male Grapholita dimorpha and periods of infestation of apple orchards in central Iwate prefecture, Japan. Annu. Rept. Plant Prot. North Jpn. 60, 238-244. 

  2. Baker, T.C., Heath, J.J., 2005. Pheromones: function and use in insect control, in: Gilbert, L.I., Iatrou, K., Gill, S.S. (Eds.), Comprehensive molecular insect science. Vol. 6. Elsevier, New York, pp. 407-459. 

  3. Borchert, D.M., Stinner, R.E., Walgenbach, J.F., Kennedy, G.G., 2004. Oriental fruit moth (Lepidoptera: Tortricidae) phenology and management with methoxyfenozide in North Carolina apples. J. Econ. Entomol. 97, 1353-1364. 

  4. Carde, R.T., Minks, A.K., 1995. Control of moth pests by mating disruption: successes and constraints. Annu. Rev. Entomol. 40, 559-585. 

  5. Carde, A.M., Baker, T.C., Carde, R.T., 1979. Identification of a four-component sex pheromone of the femal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Lepidoptera: Tortricidae). J. Chem. Ecol. 5, 423-427. 

  6. Chen, Z.Z., Xu, L.X., Li, L.L., Wu, H.B., Xu, Y.Y., 2018a. Effects of constant and fluctuating temperature on the development of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Lepidoptera: Tortricidae). Bull. Entomol. Res. (In press). 

  7. Chen, X.L., Su, L., Li, B.L., Li, G.W., Wu, J.X., 2018b. Molecular and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three odorant binding proteins from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Busck)(Lepidoptera: Tortricide) Arch. Insect Biochem. Physiol. 98, e21456. 

  8. Choi, K.H., Lee, D.H., Byun, B.K., Mochizuki, F., 2009. Occurrence of Grapholita dimorpha Komai (Lepidoptera: Tortricidae), a new insect pest in apple orchards of Korea. Korean J. Appl. Entomol. 48, 417-421. 

  9. El-Sayed, A.M., 2007. The pherobase: database of insect pheromones and semiochemicals [http://www.pherobase.com/]. 

  10. Grimaldi, D., Engel, M.S., 2005. Evolution of the insec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1. Grosse-Wilde, E., Gohl, T., Bouche, E., Breer, H., Krieger, J., 2007. Candidate pheromone receptors provide the basis for the response of distinct antennal neurons to pheromonal compounds. Eur. J. Neurosci. 25, 2364-2373. 

  12. Gyorgyi, T.K., Roby-Shemkovitz, A.J., Lerner, M.R., 1988. Characterization and cDNA cloning of the pheromone-binding protein from the tobacco hornworm, Manduca sexta: a tissuespecific developmentally regulated protein. Proc. Natl. Acad. Sci. USA 85, 9851-9855. 

  13. Hallman, G.J., 2004. Ionizing irradiation quarantine treatment against oriental fruit moth (Lepidoptera: Tortricidae) in ambient and hypoxic atmosphere. J. Econ. Entomol. 97, 824-827. 

  14. Han, K.S., Jung, J.K., Choi, K.H., Lee, S.W., Boo, K.S., 2001. Sex pheromone composition and male trapping of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Lepidoptera: Tortricidae) in Korea. J. Asia Pac. Entomol. 4, 31-35. 

  15. Il'inchev, A.L., Williams, D.G., Milner, A.D., 2004. Mating disruption barriers in pome fruit for improved control of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Busck (Lep., Tortricidae) in stone fruit under mating disruption. J. Appl. Entomol. 128, 126-132. 

  16. Jung, S., Kim, Y., 2008. Comparative analysis to damage reduction of host plant by applying a mating disruptor of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in two different cultivation environments of apple orchard. Korean J. Appl. Entomol. 47, 51-57. 

  17. Jung C.R., Kim, Y., 2013. Different types of fruit damages of three internal apple feeders diagnosed with mitochondrial molecular markers. J. Asia Pac. Entomol. 16, 189-197. 

  18. Jung, C.R., Kim, Y., 2014. Comparative transcriptome analysis of sex pheromone glands of two sympatric lepidopteran congener species. Genomics 103, 308-315. 

  19. Jung, S., Park, C., Park, M., Lee, S., Choi, K., Hong Y., Kim, Y., 2006. Efficacy of commercial mating disruptors on field overwintering populations of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Busck). Korean J. Appl. Entomol. 45, 235-240. 

  20. Jung, S., Park, M., Lee, S., Choi, K., Hong, Y., Bae, S., Kim, Y., 2008. Development of wax-typed pheromone dispenser for mating discruption of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and its application technique. Korean J. Appl. Entomol. 47, 255-263. 

  21. Jung, C.R., Ahn, J.J., Eom, H.S., Seo, J.H., Kim, Y., 2012. Occurrence of Grapholita dimorpha in Korean pear orchards and cross-trapping of its sibling species, Grapholita molesta, to a pheromone lure. Korean J. Appl. Entomol. 51, 479-484. 

  22. Jung, C., Jung, J., Kim, Y., 2013. Effects of different sex pheromone compositions and host plants on the mating behavior of two Grapholita species. J. Asia Pac. Entomol. 16, 507-512. 

  23. Jung, C.R., Kim, S.H., Kim, Y., 2014. Enhancement of speciesspecific attraction by addition of a minor component of sex pheromone gland of Grapholita dimorpha. Korean J. Appl. Entomol. 53, 239-246. 

  24. Kaissling, K.E., 2001. Olfactory perireceptor and receptor events in moths: a kinetic model. Chem. Senses 26, 125-150. 

  25. Kim, Y., Bae, S., Choi, K., Lee, D., Lee, S., 2007. Efficacy test of mating disruptors using food trap of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Busck). Korean J. Appl. Entomol. 

  26. Kim, Y., Jung, S., Kim, Y., Lee, Y., 2011. Real-time monitoring of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populations using a remote sensing pheromone trap in apple orchards. J. Asia Pac. Entomol. 14, 259-262. 

  27. Kim, K, Park, C., Kim, Y., 2018. Simultaneous mating disruption of two Grapholita species in apple orchards. J. Asia Pac. Entool. (Submitted). 

  28. Knight, A.L., Barros-Parada, W., Bosch, D., Escudero-Colomar, L.A., Fuentes-Contreras, E., Hernandez-Sanchez, J., Jung, C., Kim, Y., Kovanci, O.B., Levi, A., Lo, P., Molinari, F., Valls, J., Gemeno, C., 2014. Similar worldwide patterns in the sex pheromone signal and response in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Lepidoptera: Tortricidae). Bull. Entomol. Res. 105, 23-31. 

  29. Li, G.W., Du, J., Li, Y.P., Wu, J.X., 2015. Identification of putative olfactory genes from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via an antennal transcriptome analysis. PLoS One 10, e0142193. 

  30. Li, G.W., Zhang, Y., Li, Y.P., Wu, J.X., Xu, X.L., 2016. Cloning, expression, and functional of three odorant binding proteins of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Busck)(Lepidoptera: Tortricidae). Arch. Insect Biochem. Physiol. 91, 67-87. 

  31. Li, G.W., Chen, X.L., Xu, X.L., Wu, J.X., 2018. An antenna highly-enriched glutathione S-transferase in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Busck)(Lepidoptera: Tortricidae). Arch. Insect Biochem. Physiol. (In press). 

  32. Lienard, M.A., Strandh, M., Hedenstrom, Johansson, T., Lofstedt, C., 2008. Key biosynthetic gene subfamily recruited for pheromone production prior to the extensive radiation of Lepidoptera. BMC Evol. Biol. 8, 270. 

  33. Murakami, Y., Sugie, H., Fukumoto, T., Mochizuki, F., 2005. Sex pheromone of Grapholita dimorpha Komai (Lepidoptera: Tortricidae), and its utilization for monitoring. Appl. Entomol. Zool. 40, 521-527. 

  34. Natale, D., Mattiacci, L., Hern, A., Pasqualini, E., Dorn, S., 2003. Response of female Cydia molesta (Lepidoptera: Tortricidae) to plant derived volatiles. Bull. Entomol. Res. 93, 335-342. 

  35. Neven, L.G., Kumar, S., Yee, W.L., Wakie, T., 2018. Current and future potential risk of establishment of Grapholita molesta (Lepidoptera: Tortricidae) in Washington state. Environ. Entomol. 47, 448-456. 

  36. Padilha, A.C., Arioli, C.J., Boff, M.I., Rosa, J.M., Botton, M., 2017. Traps and baits for luring Grapholita molesta (Busck) adults in mating disruption-treated apple orchards. Neotrop. Entomol. doi: 10.1007/s13744-017-0517-z. 

  37. Park, K.T., Kim, J.M., 1986. Moths collected in the northen part of civilian control of line neighboring DMZ. Korean J. Plant Prot. 25, 77-83. 

  38. Percy-Cunningham, J.E., MacDonald, J.A., 1987. Biology and ultrastructure of sex pheromone-producing glands, in: Prestwich, G.D., Blomquist, G.J. (Eds.), Pheromone biochemistry. Academic Press, Orlando, FL, pp. 27-75. 

  39. Pinero, J.C., Dorn, S., 2007. Synergistic between aromatic compounds and green leaf volatiles derived from the host plant underlies female attraction in the oriental fruit moth. Entomol. Exp. Appl. 125, 185-194. 

  40. Pinero, J.C., Giovanni Galizia, C., Dorn, S., 2008. Synergistic behavioral responses of female oriental fruit moths (Lepidoptera: Tortricidae) to synthetic host plant-derived mixtures are mirrored by odor-evoked calcium activity in their antennal lobes. J. Insect Physiol. 54, 333-343. 

  41. Pree, D.J., Whitty, K.J., van Driel, L., Walker, G.M., van Driel, L., 1998. Resistance to insecticides in oriental fruit moth populations (Grapholita molesta) from the Niagara Peninsula of Ontario. Can. Entomol. 130, 245-256. 

  42. Roelofs, W.L., 1995. Chemistry of sex attraction. Proc. Natl. Acad. Sci. USA 92, 44-49. 

  43. Rothschild, G.H.L., Vickers, R.A., 1991. Biology, ecology and control of oriental fruit moth, in: Van der Geest, L.P.S., Evenhuis, H.H. (Eds.), Tortricid pests. Vol. 5: Their Biology, Natural Enemies and Control. Elsevier, Amsterdam, Netherlands, pp. 389-412. 

  44. SAS Institute, 1989. SAS/STAT user's guide, release 6.03 ed. SAS Institute, Cary, NC, USA 

  45. Scoble, M., 1992. The Lepidoptera: form, function and diversity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46. Song, Y.Q., Dong, J.F., Qiao, H.L., Wu, J.X., 2014. Molecular characterization, expression patterns and binding properties of two pheromone-binding proteins from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Busck). J. Integr. Agr. 13, 2709-2720. 

  47. Syed, Z., Ishida, Y., Taylor, K., Kimbrell, D.A., Leal, W.S., 2006. Pheromone reception in fruit flies expressing a moth's odorant receptor. Proc. Natl. Acad. Sci. USA 103, 16538-16543. 

  48. Vogt, R.G., Riddiford, L.M., 1981. Pheromone binding and inactivation by moth antennae. Nature 293, 161-163. 

  49. Vogt, R.G., Rogers, M.E., Franco, M.D., Sun, M., 2002. A comparative study of odorant binding protein genes: differential expression of the PBP1-GOBP2 gene cluster in Manduca sexta (Lepidoptera) and the organization of OBP genes in Drosophila melanogaster (Diptera). J. Exp. Biol. 205, 719-744. 

  50. Vogt, R.G., Gro $\ss$ e-Wilde, E., Zhou, J.J., 2015. The Lepidoptera odorant binding protein gene family: gene gain and loss within the GOBP/PBP complex of moths and butterflies. Insect Biochem. Mol. Biol. 62, 142-153. 

  51. Xu, P., Atkinson, R., Jones, D.N., Smith, D.P., 2005. Drosophila OBP LUSH is required for activity of pheromone-sensitive neurons. Neuron. 45, 193-200. 

  52. Yan, S., Liu, Y., Li, M., 1999. Grapholita dimorpha-a new record pest damage fruit trees of China. For. Pest Dis. 18, 15-16. 

  53. Yang, C.Y., Han, K.S., Boo, K.S., 2001. Occurrence of and damage by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Busck)(Lepidoptera: Tortricidae) in pear orchards. Korean J. Appl. Entomol. 40, 117-123. 

  54. Yang, C.Y., Jung, J.K., Han, K.S., Boo, K.S., Yiem, M.S., 2002. Sex pheromone composition and monitoring of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Lepidoptera: Tortricidae) in Naju pear orchards. J. Asia Pac. Entomol. 5, 201-207. 

  55. Yoshizawa, E., Daerunoru, S., Kaneko, M., 2008. Occurrence of Grapholita dimorpha in Nagano apple orchards. Plant Prot. Jpn. 62, 556-559. 

  56. Zhang, G.H., Li, Y.P., Xu, X.L., Chen, H., Wu, J.X., 2012. Identification and charcterization of two general odorant binding protein genes from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Busck). J. Chem. Ecol. 38, 427-436. 

  57. Zhang, G.H., Chen, J., Yu, H.L., Tian, X.L., Wu, J.X., 2018. Molecular and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pheromone binding protein1 from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Busck). Sci. Rep. 8, 227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