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태블릿 PC를 활용한 동영상 교육이 내시경적 절제술을 받는 조기 위암 환자의 신체적 불편감, 불확실성, 상태불안 및 간호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Educational Video Program Delivered Using Tablet PC on Physical Discomfort, Uncertainty, State Anxiety, and Nursing Education Satisfaction among Early Gastric Cancer Patients Undergoing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4 no.2, 2018년, pp.147 - 158  

김미경 (동아대학교병원) ,  김진희 (가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educational video program delivered using Tablet PC on physical discomfort, uncertainty, state anxiety, and nursing education satisfaction among early gastric cancer patients undergoing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Methods: The stud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조기 위암으로 내시경적 절제술을 받기위해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표준화된 동영상 교육자료를 개발 한 후 태블릿 PC를 활용하여 제공함으로써 대상자의 신체적 불편감, 불확실성 및 상태불안 감소와 간호교육만족도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간호중재로써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여 임상간호 실무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조기 위암으로 내시경적 절제술을 받는 환자를 대상으로 태블릿 PC를 활용한 동영상 교육을 개발하여 적용 한 후 대상자의 신체적 불편감, 불확실성, 상태불안 및 간호교 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태블릿 PC를 활용한 동영상 교육은 대상자의 불확실성과 상태불안 감소에는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으나, 신체적 불편감 감소와 간호교육만족도 증진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조기 위암으로 암 병변 제거를 위해 내시경적 절제술을 받는 환자를 대상으로 태블릿 PC를 활용한 동영상 교 육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대상자의 신체적 불편감, 불확실성, 상태불안 및 간호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여 임상 간호 실무현장에서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태블릿 PC를 활용한 동영상 교육은 내시경적 절제 술을 받는 조기 위암 환자의 불확실성과 상태불안 감소에는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지만, 위 내시경적 절제술 후 신체적 불편감을 감소시켜 안위증진을 돕고 간호교육만족도를 높여주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태블릿 PC를 활용한 동영상 교육이 조기 위암으로 내시경적 절제술을 받는 환자의 신체적 불편감, 불확실성, 상태불안 및 간호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 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Figure 1)
  • 본 연구의 목적은 태블릿 PC를 활용한 동영상 교육이 조기 위암으로 내시경적 절제술을 받는 환자의 신체적 불편감, 불확실성, 상태불안 및 간호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여 임상간호 실무에서 간호중재로써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태블릿 PC를 활용한 동영상 교육의 적용가능성을 평가하고 대상자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B시 D대학교병원에 위 내 시경적 절제술을 받기위해 입원한 환자 2명을 대상으로 예비 연구를 실시하였다. 예비연구 대상자에게 연구목적을 설명하고 동의를 얻은 후 동영상 교육을 제공하였다.

가설 설정

  • 태블릿 PC를 활용한 동영상 교육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지면을 이용한 구두교육을 제공받은 대조군과 불확실성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태블릿 PC를 활용한 동영상 교육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지면을 이용한 구두교육을 제공받은 대조군과 상태불안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내시경적 절제술의 장점은 무엇인가? 국가 암 검진사업의 확대로 인한 위암 조기발견과 내시경 점막 절제술(Endoscopic Mucosal Resection),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과 같은 내시경을 이용한 첨단 의료기술의 발전은 조기 위암 환자의 생존에 도움을 주고 있다. 이러한 내시경적 절제술은 외과적 수술에 비해 덜 침습적이면서 그에 상응하는 치료효과를 보이고 우수한 비용 효과성 뿐만 아니라 위 기능을 보존함으로써 환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어 조기 위암 환자에서 기존의 수술을 대체할 수 있는 치료법으로 인정 받고 있다[3].
위암의 조기 발견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처럼 위암은 남녀 모두에서 발생률이 높은 암이며 암 관련 사망의 주요원인 중 하나이다. 이 중 진행성 위암은 수술 후 5년 생존율이 20~40%에 불과하지만, 암세포가 점막층 또는 점막하층에 국한되어 림프절 전이가 없는 조기 위암은 수술 후 5년 생존율이 90% 이상으로 매우 좋은 예후를 보이므로[2] 위암의 조기 발견은 매우 의의가 크다.
태블릿 PC의 장점은 무엇인가? 태블릿 PC는 멀티미디어 매체 중 하나로써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노트 북의 기능과 장점을 결합시킨 제품이다. 이는 무선랜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여 데스크 탑 컴퓨터에 비해 휴대성이 좋고, 터치스크린을 내장하고 있어 손가락 또 는 펜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하므로 정보접근성이 좋으며, 스마트폰 보다 디스플레이 화면이 더 커서 정보전달력이 좋은 장점 이 있다[17]. 최근 임상간호 현상에서도 간간히 태블릿 PC를 활용한 시도가 있으나 위 내시경적 절제술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Cancer occurrence status in 2015 year [Internet]. Goyang: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17 [cited 2018 January 15]. Avaliable from: https://www.cancer.go.kr/lay1/S1T639C641/contents.do. 

  2. Park IS, Lee YC, Kim WH, Noh SH, Lee KS, Kim H.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early gastric cancer in Korea. Yonsei Medical Journal. 2000;41(5):607-614. https://doi.org/10.3349/ymj.2000.41.5.607 

  3. Jung HY. Extended approach of EMR/ESD in stomach cancer. Journal of the Korean Gastric Cancer Association. 2008;8(1): 5-8. https://doi.org/10.5230/jkgca.2008.8.1.5 

  4. Kwon SY, Lee J.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educational program for gastroendoscopic surgery 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3;25(5):494-503. https://doi.org/10.7475/kjan.2013.25.5.494 

  5. Mishel MH. The measurement of uncertainty in illness. Nursing Research. 1981;30(5):258-263. https://doi.org/10.1097/00006199-198109000-00002 

  6. Lee MS, Kim HJ, Suh SR. Uncertainty and nursing need according to illness phases in cancer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008;20(1):1-9. 

  7. Jeong I, Park S, Jeong JS. Understanding of technical terms and contents of informed consent forms for sedative gastrointestinal endoscopy procedures. Asian Nursing Research. 2013;7(1):33-37. https://doi.org/10.1016/j.anr.2013.01.005 

  8. Jeon S, Park H. Effect of preoperative education using multimedia on pain, uncertainty, anxiety and depression in hysterectomy pati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6;22(1):39-47. https://doi.org/10.4069/kjwhn.2016.22.1.39 

  9. Kim SH, Lee ES. The effects of comprehensive education program on anxiety, uncertainty and athletic performance of patients undergo spinal nerve block.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7;29(2):143-153. https://doi.org/10.7475/kjan.2017.29.2.143 

  10. Ryu K, Cho SH. The effects of visual information on anxiety and uncertainty in elderly patients after the total knee arthroplasty.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015;22(1):48-56. https://doi.org/10.5953/JMJH.2015.22.1.48 

  11. Shin EJ, Lee YS. The effect of nursing information on anxiety and uncertainty in patients for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before the procedure of the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6;17(2): 66-74. https://doi.org/10.5762/KAIS.2016.17.2.66 

  12. Lee OJ. Influence of video pre-education on the anxiety, biological change and physical reaction of the patients undergoing gastroscopy [master's thesis]. Inchon: Gachon University; 2012. p. 1-44. 

  13. Jung MY, Hong IK, Noh HY, Park HS, Son JM, Kim JH, et al. Effects of video-based information provision on anxiety and education satisfaction of thyroid cancer patients undergoing radioiodine treatment.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5;21(1):11-20. https://doi.org/10.22650/JKCNR.2015.21.1.11 

  14. Lim YH, Suh IS, Chung SH. Effects of surgery information service on one-day surgery patients' anxiety and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10;22(1):1-10. 

  15. Kwon YE, Kim BH. The effects of video-audio information provision on physical discomfort, anxiety, and nursing satisfaction of the clients for gastroscop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3;25(2):231-239. https://doi.org/10.7475/kjan.2013.25.2.231 

  16. Cho YY, Kim HO. Effects of a patient educational video program on bowel preparation prior to colonoscop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5;45(5):704-712. https://doi.org/10.4040/jkan.2015.45.5.704 

  17. Ryu JH. Ecological analysis of the classroom teaching with tablet PC based digital textbook.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008;24(2):271-297. https://doi.org/10.17232/KSET.24.2.271 

  18. Yun MA, Kim SS, Kim SH, Noh SH. The effects of a standardized preoperative education program on stomach cancer patients undergoing gastrectomy. Asian Oncology Nursing. 2016;16(2):85-93. https://doi.org/10.5388/aon.2016.16.2.85 

  19. Kim JE, Hwang SY. Development of tablet PC-based multimedia educational contents for patients and their family undergoing thoracic surgery.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6;22(1):99-108. https://doi.org/10.22650/JKCNR.2016.22.1.99 

  20. The Korean Society of Gasgtrointestinal Endoscopy. Atlas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Seoul: Daehan Medical Book; 2011. p. 5-11. 

  21. Cho OH. Uncertainty, anxiety and coping with mastectomy for breast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0;30(4):1006-1017. 

  22. Zigmond AS, Snaith RP.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1983;67(6):361-370. 

  23. Oh SM, Min KJ, Park DB.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for Koreans: A comparison of normal, depressed and anxious group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9;38(2):289-296. 

  24. La Monica EL, Oberst MT, Madea AR, Wolf RM. Development of a patient satisfaction scale.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986;9(1):43-50. 

  25. Shin HJ. Analysis of nursing needs and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for patients at ambulatory surgery center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1999. p. 1-70. 

  26. Cha K, Kim K. Impact of uncertainty on resilience in cancer patients. Asian Oncology Nursing. 2012;12(2):139-146. https://doi.org/10.5388/aon.2012.12.2.139 

  27. Hagen KB, Aas T, Lode K, Gjerde J, Lien E, KvalOy JT, et al. Illness uncertainty in breast cancer patients: validation of the 5-item short form of the Mishel uncertainty in illness scale. European Journal of Oncology Nursing. 2015;19(2):113-119. https://doi.org/10.1016/j.ejon.2014.10.009 

  28. Oh KA, Ahn CJ. The effects of nursing information and short-term relaxation technique on anxiety level and physiologic data in endoscopy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997;9(3):462-478. 

  29. Eo YS, Lee NY, Lee JW, Cha HJ. The effects of supportive nursing intervention using video-program of operating room nurses before operation on laparoscopic hysterectomy patient's anxiet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5;16(4):2639-2646. https://doi.org/10.5762/KAIS.2015.16.4.2639 

  30. Ketelaars PJW, Buskes MHM, Bosgraaf RP, van Hamont D, Prins JB, Massuger LFAG, et al. The effect of video information on anxiety levels in women attending colposcop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cta Oncologica. 2017;56(12):1728-1733. https://doi.org/10.1080/0284186X.2017.135510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