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편마비 환자의 트레드밀과 체중지지의 트레드밀 훈련이 균형능력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readmill and Body Weight Support Treadmill Training on Balance and Gait Ability in Hemiplegia Patients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Science, v.25 no.1, 2018년, pp.31 - 43  

김성철 (제주대학병원) ,  허영구 (제주한라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to verification of changes that the effect of treadmill and body weight support treadmill training on balance and gait ability for sub-acute stroke patients during 4 week. Method: 16 subjects who was diagnosed stroke were divided into 2 group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아급성기 편마비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4주간의 트레드밀, 체중지지 트레드밀 훈련을 통해 나타나는 균형 및 보행능력의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체계화된 운동처방의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 환자에게 보행능력의 향상은 물리치료 중재에 있어 일차적인 목표가 되는 이유는? 특히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을 제한하는 가장 큰 장애는 보행 장애다(Barbeau & Visintin, 2003). 뇌졸중 발병 후 65%-85%는 6개월 내에 다시 보행을 할 수 있으나 만성기에서는 비정상적인 보행패턴이 나타난다(Wade et al., 1987). 보행거리도 상당히 제한적이며(Mayo et al., 1999), 대부분 느린 보행속도와 감소된 지구력이 나타나고Chen & Patten, 2005), 보행능력의 감소 및 소실은 뇌졸중 환자에게 장기간 장애를 유발하여 치료 및 관리에 대한 부담으로 작용하게 된다(Moseley et al., 2005).
국내 2012년 인구 10만 명당 뇌혈관 질환은 남성, 여성 각각 몇 명인가? 우리나라 2011년 사망원인 보고에 의하면 악성 신생물(암)에 이어 뇌혈관 질환이 두 번째였으며, 인구 10만 명당 뇌혈관 질환이 남성은 48.6명 여성은 52.8명이었다 (통계청, 2012). 뇌졸중 발생 후 신경학적·기능적 결함이 잔존하고(Chen & Patten, 2005) 근력약화, 운동 조절, 통증, 경직, 균형능력 저하로 인해 균형 및 보행 문제로 일상생활능력이 감소하며(Janice & Pei,2007), 운동성 회복을 저해하여 낙상 위험을 증가시킨다.
뇌졸중 발생 후 나타나는 문제점은? 8명이었다 (통계청, 2012). 뇌졸중 발생 후 신경학적·기능적 결함이 잔존하고(Chen & Patten, 2005) 근력약화, 운동 조절, 통증, 경직, 균형능력 저하로 인해 균형 및 보행 문제로 일상생활능력이 감소하며(Janice & Pei,2007), 운동성 회복을 저해하여 낙상 위험을 증가시킨다. 특히 지면에서 발을 떼지 않고 균형을 유지한 상태에서 무게중심을 이동할 수 있는 최대 거리로 정의되는 안정성 한계(limit of stability)의 감소와(Geiger et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김명진, 이정호(2003). 체중지지 트레드밀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보행과 서기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0, 29-35. 

  2. 김수경(2008). 뇌졸중 환자의 균형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스포츠리서치, 19(6), 125-134. 

  3. 박래준, 김재욱, 김수민(2003). 과제 지향적 기능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16(4), 1103-1112. 

  4. 박창일, 문재호(2007). 재활의학. 서울 : 한미의학. 

  5. 이경무, 한수환, 김용석(2003). 편마비 환자에서 직선 및 회전 보행 시 체중부하 비대칭성의 영향. 대한재활의학회지, 27, 173-177. 

  6. 전계호, 조강희, 김봉옥(1999). 체중 탈부하가 편마비 보행에 미치는 영향. 대한재활의학회지, 23, 371-376. 

  7. 정대근(2007).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체중지지 트레드밀 보행 훈련이 보행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8. 정한영, 박진희, 심재진, 김명종, 황미령, 김세현 (2006). 한글화된 berg균형검사법의 신뢰도 분석. 대한재활의학회지, 30(6), 611-618. 

  9. 최현희, 이택현, 장명재(2009). 두 가지 유형의 트레드밀 걷기운동이 만성 편마비의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포츠의학회지, 27, 11-121. 

  10. 통계청(2012). 2011년 사망원인 통계(보도 자료). 

  11. Anderson, T. P. (1990). Rehabilitation of patient with complete stroke. Philadelphia, Saunder's Company. 

  12. Barbeau, H., & Visintin, M. (2003). Optimal outcomes obtained with body weight support combined with treadmill training in stroke subject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4, 1458-1465. 

  13. Berg, K., Wood-Dauphinee, S. L., Williams, J., & Gayton, D. (1989). Measuring balance in the lderly: preliminary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Physiother Canada, 41, 304-311. 

  14. Blum, L., & Korner-Bitensky, N. (2008). usefulness of the berg balance scale in stroke rehabilitation: A systematic review. PHYS THER, 88, 559-566. 

  15. Bohannon, R. W. (1986). Strength of lower limb related to gait velocity and cadence in stroke patients. Physiother Can, 38, 204-208. 

  16. Bohannon, R. W., & Leavy. K. M. (1995). Standing balance and function over the course of acute rehabilitation. Arch phys Med Rehabi, 76(11), 994-996. 

  17. Brooks, D., Davis, A. M., & Maglie, G. (2006). Validity of 3 physical performance measures in inpatient geriatric rehabilitation.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7(1), 105-109.Two-six-and 

  18. Butland, R. J., Pang, J., Gross, E. R., Woodcock, A. A., & Geddes, D. M. (1982). 12minute walking tests in respiratory disease. British Medical Journal, 284(6329), 1607-1608. 

  19. Chen, G., & Patten, C. (2005). Treadmill training with harness support: selection of parameters for individuals with poststroke hemiparesis.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 development, 4(43), 485-498. 

  20. Chen, G., & Patten, C. (2006). Treadmill training with harness support: selection of parameters for individuals with poststroke hemiparesis.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 development, 4(43), 485-498. 

  21. Dean, C. M., Richards, C. L., & Malouin, F. (2000). Task-related circuit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locomotor tasks in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1(4), 409-417. 

  22. Dettmann, M. A., Linder, M. T., & Sepic, S. B. (1987). Relationships among walking performance, postural stability, and functional assessments of the hemiplegic patient.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66(2),77-90. 

  23. Dobkin, B. H. (2006). Short-distance walking speed and timed walking distance: Redundant measures for clinical trials?. Neurology, 66(4), 584-586. 

  24. Duncan, P. W., Sullivan, K. J., Behrman, A. L., Azen, S. P., Wu, S. S., Nadeau, S. E., Dobkin, B. H., Rose, D. K., Tilson, J. K., Cen, S., & Hayden, S. H. (2011). Body weight supported treadmill rehabilitation after stroke. New England Jounal of Medicine, 364, 2026-2036. 

  25. Elliott, J., (1997). The clinical uses of the berg balance scale. Physiotheraphy, 83(1), 363-369. 

  26. Faranceschini, M., Carda, S., Agosti, M., Antenucci, R., Malgrati, D., & Cisari, C. (2009). Walking after stroke: What does treadmill training with body weight support add to overgraound gait training in patients early after stroke? : a single-blind, randomize, controlled trial. Stroke, 40, 3079-3085. 

  27. Finch P. S., Bennet J. L., Reitz N. I., & Willam M. A. (1980). Cadiac rehabilitation: implications for the nurse and other health professionals. ST Louis, Mo : CV Mosby. 

  28. Fulk, G. D., Echternach, J. L., Nof, L., & O'Sulivan, S. (2008). Clinometric properties of the six-minute walk test in individuals undergoing rehabilitation poststroke. Physiother Theory Pract, 24, 195-204. 

  29. Gersten, J. W., & Orr, W. (1971). Effects of plastic and metal leg braces on speed and energy cost of hemiparetic ambulation.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51(2), 69-77. 

  30. Horack, F., & Diener, H. (1994). Cerebellar control of postural scaling and central set. Journal of Neurophysiology, 72(2), 479-493. 

  31. Ivey, F. M., Hafer-Macko, C. E., & Macko, R. F. (2006). Exercise rehabilitation after stroke. NeuroRx, 3(4), 439-450. 

  32. Keenan, M. A., Perry, & J., & Jordan, C. (1984). Factors affecting balance and ambulation following stroek. Clin Orohop Relat Res, 182, 165-171. 

  33. Latha, N. K., Jette, D. U., & Slavin, M. (2005). physical therapy during stroke rehabilitation for people with different walking abilitie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6, s41-s50. 

  34. Marco, R., Katzel, L., Yataco, A., Tretter, L. D., DeSouza, C. A., Dengel, D. R., Smith, G. V., & Silver, K. H. (1997). Low-velocity graded treadmill stress testing in hemiparetic stroke patients. Stroke, 28, 988-992. 

  35. Mauritz, K. H. (2002). Gait training in hemiplegia. Eur J Neurol, 23-29. 

  36. Mayo, N. E., Wood-Dauphinee, S., & Ahmed, S. (1999). Disablement following stroke. Disabil Rehabil, 21(5-6), 258-268. 

  37. McCollum, G., & Leen, T. K. (1989). Form and exploration of mechanical stability limits in erect stance. J Motor Behav, 21(3), 225-44. 

  38. Morris, S., Morris, M. E., & Iansek, R. (2001). Reliability of measurements obtained with the timed "up & go" test in people with parkinson disease. Physiotherapy, 80(2), 810-818. 

  39. Podsiadlo, D., & Richardson, S. (1991). The time "up and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 Am Geriatr Soc, 48(1), 142-148. 

  40. Potempa, K., Lopez, M., Braun, L. T., Szidon, J. P., Fogg, L., & Tincknell, T. (1995). Physiological outcomes of aerobic exercise training in hemiparetic stroke patients. Stroke, 26(1), 101-105. 

  41. Sacco, R. L., Gan, R., Boden-Albala, B., Lin, I. F., Kargman, D. E., Hauser, W. A., Shea, S., & Paik, M. C. (1998).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and ischemic stroke risk : The Northern Manhattan Stroke Study. Stroke, 29(2), 380-387. 

  42. Salbach, N. M., Mayo, N. E., Higgins, J., Ahmed, S., Finch, L. E., & Richards, C. L., (2001). Responsiveness and predictability of gait speed and other disability measures in acute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2(9), 1204-1212. 

  43. Shumway-Cook, A., Baldwin, M., Pollisar, N., & Gruber, W. (1997). Predicting the probability of falls in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Phys Ther, 77, 812-819. 

  44. Shummway-Cook, A., Brauer, S., & Woollacott, M. (2000). Predicting the probability for falls in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using the timed Up & Go test. Physiotheraphy, 80, 896-903. 

  45. Teasell, R. W., Bhogal, S. K., Foley, N. C., & Speechley, M. R. (2003). Gait retraining post stroke. Top Stroke Rehabil, 10(2), 34-65. 

  46. Tyson, S. F., Hanley, M, Chillala, J. Selley, A., & Tallis, R. C. (2006). Balance disability after stroke. Phys Ther, 86(1), 30-8 

  47. Wade, D. T., Wood, V. A., Heller, A., Maggs, J., & Langton, H. R. (1987). Walking after stroke. Measurement and recovery over the first 3 months. Scand J Rehabil Med, 19(1), 25-3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