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In recent studies, increased AMH level has been suggested as objective surrogate marker for diagnosis PCOS, one of the major causes of oligomenorrh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clinical effect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on oligomenorrhea patient with increased Anti-mu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희발월경과 AMH 수치 증가를 보여 PCOS 의증으로 진단된 환자에게 2018년 3월 13일부터 2018년 5년 28일까지 한약을 투여한 후 월경 주기 및 호르몬 수치 변화를 추적 관찰한 결과, 월경 주기 회복과 동시에 AMH 수치 감소에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희발월경은 무엇인가? 월경은 배란을 전제로 호르몬 소퇴에 의해 일어나는 출혈1)로, 정상 주기는 21일에서 35일 사이이며 평균적으로 28일 주기를 보인다2). 월경 주기가 40일 이상이거나 21일 이하인 경우는 비정상적인 상태로 볼 수있으며, 40일 이상이면서 주기가 불규칙적인 경우를 희발월경(oligomenorrhea)2)이라 한다.
다낭성 난소증후군의 정의와 특징은? 다낭성 난소증후군(Polycystic ovarian syndrome, PCOS)은 가임 여성의 6~10% 에서 발생하는 흔한 내분비 질환으로 고안드로겐증과 배란이상을 특징으로 한다4). PCOS의 진단은 희발월경 및 무월경, 임상적 또는 생화학적 고안드로겐증, 초음파로 진단되는 다낭성 난소 형태 소견을기준으로 한다.
다낭성 난소증후군 환자의 현재 사용하는 진단기준이 적합하지 않은 이유는? 그러나 PCOS는 병인이 분명하지 않고 표현형 또한 매우 다양하여 아직 그 진단기준에도 논란이 많은 실정이다4) . 또한 PCOS 환자에서 테스토스테론의 증가, LH/FSH 비의 변화, LH 증가 등의 호르몬 변화가 관찰되나 이러한 호르몬들은 월경 주기에 따라 그 수치가 변화하므로 진단 기준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Korean Societ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Gynecology. 5th ed. Seoul: Korea Medical Book Publishing Company. 2015:81-493. 

  2.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obstetrics and gynecology. Korean medicine obstetrics and gynecology. 3rd ed. Seoul:Uiseongdang. 2016:31-191. 

  3. Kim JH, et al. A Study on the Characters of Oligomenorrheic Patients by Through Comparison of BMI, Yangorak, Menarche of Normal Menstrual Cycle Group and Oligomenorrheic Group. The Journal of Oriental Obstetrics & Gynecology. 2011;24(3):85-97. 

  4. Lee HY, Sung YH. Epidemiology and Diagnostic Criteria of Polycystic Ovary Syndrome. J Korean Diabetes. 2015;16(3):189-93. 

  5. You SY, et al. Anti-mullerian Hormone in Women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Korean J obestet Gynecol. 2012;55(5):315-24. 

  6. Dumont A, et al. Role of Anti-Mullerian Hormone in pathophysiology, diagnosis and treatment of Polycystic Ovary Syndrome: a review. Reproductive Biology and Endocrinology. 2015;13(1):137. 

  7. Song DK, et al. Differentiation between polycystic ovary syndrome and polycystic ovarian morphology by means of an anti-Mullerian hormone cutoff value. Korean J Intern Med. 2017;32(4):690-8. 

  8. Dewailly D, et al. Reconciling the Definitions of Polycystic Ovary Syndrome: The Ovarian Follicle Number and Serum Anti-Mullerian Hormone Concentrations Aggregate with the Markers of Hyperandrogenism. J Clin Endocrinol Metab. 2010;95(9):4399-405. 

  9. Sung YH. Medical Diagnosis and Treatment of Polycystic Ovary Syndrome.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06;70(4):356-60. 

  10. Balen A, Conway G, Kaltsas G. Polycystic Ovary Syndrome: the spectrum of the disorder in 1741 patients. Hum Reprod. 1995;10(8):2107-11. 

  11. Sirmans SM, Pate KA. Epidemiology, Diagnosis, and Management of Polycystic Ovary Syndrome. Clinical Epidemiology. 2013;6(default):1-13. 

  12. Sung YA. Polycystic Ovary Syndrome in Korean Women: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Diagnostic Criteria. Enadocrinol Metab. 2011;26(3):203-7. 

  13. Fauser B, et al. Consensus on Women's Health Aspects of Polycystic Ovary Syndrome(PCOS): the Amsterdam ESHRE/ASRM-sponsored 3rd PCOS Consensus Workshop Group. Fertil Steri. 2012;97(1):28-38.e25. 

  14. Yun SY, Kang MJ. Clinical Study of Oriental Medicine Treatment for Polycystic Ovarian Disease. The Journal Of Oriental Obstetrics & Gynecology. 2000;13(2):437-51. 

  15. Bili H. et al. Age-related differences in features associated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in normogonadotrophic oligo-amenorrhoeic infertile women of reproductive years. Eur J Endocrinol. 2001;145(6):749-55. 

  16. Moran C, et al. Adrenal androgen excess and body mass index in polycystic ovary syndrome. J Clin Endocrinol Metab. 2015;100(3):942-50. 

  17. Lee JR, Kim SH. Anti-Mullerian hormone and female reproduction. Korean J Obstet Gynecol. 2009;52(3):285-300. 

  18. La Marca A, et al. Mullerian-inhibiting substance in women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relationship with hormonal and metabolic characteristics. Fertil Steril. 2004;82(4):970-2. 

  19. Pigny P, et al. Serum anti-Mullerian hormone as a surrogate for antral follicle count for definition of the polycystic ovary syndrome. J Clin Endocrinol Metab. 2006;91(3):941-5. 

  20. Li L, et al. Elevated serum antimullerian hormone in adolescent and young adult Chinese patients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Wien Klin Wochenschr. 2010;122(17-18):519-24. 

  21. Woo HY, et al. Differences of the association of anti-Mullerian hormone with clinical or biochemical characteristics between women with and without polycystic ovary syndrome. Endocr J. 2012;59(9):781-90. 

  22. Mun JB. Usefulness of Anti-mullerian Hormone for the Diagnosis of Polycystic Ovary Syndrome. Department of Medicine, Graduate school, Wonkwang university. 2014. 

  23. Seopgye(葉桂). Seopcheonsayeogwa(葉天士女科). Seoul:Daeseongmunhwasa. 1995:14-5. 

  24. Shin MK. Clinical Traditional Herbalogy. 2nd rev. ed. Seoul:Youngrimsa. 2010:213-558. 

  25. Oh TG, et al. Clinical Study for the One Case that Diagnosed Polycystic Ovarian Disease. The Journal Of Oriental Obstetrics & Gynecology. 2008;21(2):284-91. 

  26. Kim JR, et al. Clinical Study for the Four Cases of Secondary Amenorrhea and Hypomenorrhea by Hormone Assay. The Journal Of Oriental Obstetrics & Gynecology. 2009;22(3):267-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