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구감소에 따른 농촌지역 거점형 중심지 공공시설 입지 및 운영방안 개선에 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Location and Management Plan of Public Facilities in the Rural Center Place by Declining Population 원문보기

韓國農村建築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v.20 no.3, 2018년, pp.27 - 35  

박성진 (조선대 건축학과) ,  강인호 (조선대 행정복지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ublic use of Myeon Location in Jeollanam - do where the population is at risk of declining. And discussed the rational provision and coordination of public facilities as a guarantee of fundamental righ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rational supply and adjustment dir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농촌지역 거점면소재지의 공공시설을 성장 중심의 논리가 아닌 지역주민의 삶의 질 제고와 농촌중심지의 합리적 집적화 방안을 위해 통폐합의 관점이 아닌 다양한 기능의 존재유무라는 관점에서 공공시설들의 집중성과 접근성을 조사했다. 이를 통해 생활서비스 이용의 원스톱화와 향후 지속적인 인구감소에 따른 공공시설의 집적화 방안을 논의를 할 것이다.
  • 본 연구는 거점면소재지의 공공시설의 입지(중심지로부터의 집중성)와 운영방안 개선을 살펴보기 위해 조사대상지의 공공시설 수, 중심지(면소재지의 최대 공시지가 필지)로부터의 거리(공공시설의 집중성), 거점면 인구 등을 통계청 자료와 현장 조사(Field survey) 등을 통해 수집・정리하였다. 또한 수요자 중심의 거점면소재지 공공시설 조정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거점면 관내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병행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전라남도 농촌지방정부 중 인구소멸위험단계에 있는 지방정부들의 거점면소재지들을 대상으로 중심지 공공시설의 이용실태를 파악하고,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상황에서 지역주민의 삶의 질 제고를 위해 기본 생활권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수단으로서 공공시설의 합리적 공급과 조정 방향이 무엇인지를 탐색하고자 진행되었다. 그러나 특정 지역의 농촌지방정부만을 대상으로 거점면소재지의 공공시설에 대해 포괄적 접근으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 본 연구의 결과는 공공시설들의 원스톱 서비스화를 위해서는 집적화가 필요하다는 농림축산식품부의 연구결과와 맥을 같이하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 집적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들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남도 기초지방정부 중 인구소멸위험단계에 있는 농촌 기초지방정부의 거점면소재지들을 대상으로 중심지 공공시설의 이용실태를 파악하고, 지역민의 삶의 질 제고를 위한 기본적인 생활권 보장을 위해 공공시설의 합리적 입지와 이를 위한 운영방안 개선책을 모색하고자 한다.
  • 첫 번째 원칙으로 공공시설의 내용을 결정하는 것이다. 즉 지역주민의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 어떠한 공공시설이 필요한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둘째, 공공시설의 존재 유무와 관련한 배치이다.
  • 그러나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의 차별화를 위해 공공시설을 지역주민의 공동의 이용과 생활관련 공공성이라는 측면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즉 축소되어가는 농촌지역의 지역주민 기초서비스 유지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공공시설의 공급과 유지관리 방향에 대해 단순한 경제적 논리가 아닌 농촌지역의 유지와 주민의 기본권, 커뮤니티의 유지라는 복합적 삶의 질 관점에서 주민들의 인식중심의 중심지 공공시설의 합리적 조정 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즉 지역주민의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 어떠한 공공시설이 필요한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둘째, 공공시설의 존재 유무와 관련한 배치이다. 공공시설은 존재하지 않으면 지역주민의 삶의 질이 저하되기 때문에 기본적인 생활 유지를 위한 배치가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구소멸위험단계에 진입한 지방정부들이 직면할 문제는 무엇인가? 이러한 이유로 면단위 농촌지역의 지속성 유지 여부는 중요한 정책의제(Policy Agenda)로 등장하고 있다. 최근 농촌지역 인구소멸이 예측되는 상황에서(한국고용정보원, 2016), 인구소멸위험단계에 진입한 지방정부들은 향후 공공시설 설치・운영과 관련된 재정부담, 이에 따른 지역의 공간구조 변화와 기초서비스 저하 등 다양한 사회문제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런 다양한 사회적 문제들은 농촌지역의 일정한 정주여건 확보와 지역 주민들의 삶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공공시설들을 어떻게 효율적이고 실효성이 있게 운영하느냐하는 문제로 이어질 것이다.
농촌지역의 지속성 유지 여부가 중요한 정책의제로 등장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지속적인 인구감소로 인구소멸위험단계에 진입한 농촌지역 지방정부의 중심지(면소재지)는 기초 행정서비스 제공 및 최소한의 공공기능만을 유지하면서, 점차 쇠퇴의 길을 걷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면단위 농촌지역의 지속성 유지 여부는 중요한 정책의제(Policy Agenda)로 등장하고 있다.
농촌 공동시설이란 무엇인가? 그리고 공동시설을 공공성과 함께 공동이용의 관점에서 정의하고 있다. 농촌경제연구원(2012)에 의하면 농촌 공동시설을“농촌 주민들의 일상생활 및 경제활동 유지를 위해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이나 주민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건축물 형태의 시설(일부 비건축물 포함)”로 정의하고 있다. 이는 지역 내 공공시설은 지역의 주민이 공동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공급과 관리주체에 의한 정의보다 사용성과 공공성에 입각해 바라보아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김광선.이규천, 농촌 공동시설의 유휴화 실태와 활용 증대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2 

  2. 김광익, 인구감소기 읍면 중심의 농촌지역 정주체계 특성분 석 및 정책과제, 국토연구원, 2014 

  3. 김정연.박종철, 거점면소재지마을종합개발사업의 추진실태와 개선과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1(4), 2009, pp.19-40 

  4.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중심지 정비방안 및 계획기법 현장실증 연구, 농림축산식품부, 2015, 2016 

  5. 변필성 외3인, 인구과소지역 공공시설 공급 및 활용 방안, 국토연구원, 2014 

  6. 송미령.박시현. 농촌 공동시설의 효율적 활용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1 

  7. 송미령, 살기 좋은 농촌만들기를 위한 정책재편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pp.90-91 

  8. 여혜진.김은희, 읍면동 행정청사 리모델링 가이드라인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7 

  9. 원광희, 인구감소시대의 도래와 농촌 중심지 기능제고 방안, 충북발전연구원, 2014 

  10. 이상호, 한국의 지방소멸에 관한 7가지 분석, 지역 고용동향 브리프, 2016 

  11. 中山 徹, 人口減少と公共施設の展望 公共施設等總合管理 計畵への對應, 自治體硏究社, 2017 

  12. 森 裕之, 公共施設の再編を問う- 下の統廢合. 再配置, 自治體硏究社, 2016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