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해질 첨가제가 리튬 바나듐 옥사이드 전극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lectrolyte Additive on the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Lithium Vanadium Oxide Anode 원문보기

전기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lectrochemical Society, v.21 no.3, 2018년, pp.55 - 60  

이제남 (전자부품연구원 차세대전지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휴대용 기기의 급속한 발전이 이뤄지고, 다양한 전자제품에서 높은 성능의 이차 전지가 요구됨에 따라 고에너지밀도 특성을 가능케 하는 전극 재료의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음극의 경우,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흑연재료를 대체하기 위하여 실리콘, 주석 등의 소재와 전이금속 산화물을 새로운 음극재료로 사용하려고 한다. 리튬 바나듐 옥사이드는 리튬 전이금속 산화물 기반의 음극 소재로서 흑연 대비 1.5배의 부피당 용량을 나타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낮은 전기전도도와 입자 파쇄현상으로 인하여 전해질의 분해가 가속화되어 성능이 열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개선시키기 위하여 전해질 첨가제를 도입하여 전극/전해질 계면의 개질에 따른 리튬 바나듐 옥사이드의 전기화학적 거동 특성을 보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emand for LIBs with higher energy densities has increased continuously because the emergence of wider and more challenging applications including HEV and EV has became imperative. However, in the case of anode material, graphite is insufficient to meet this need. To meet such demand, several t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전해질 첨가제를 도입함으로써, 리튬 바나듐 옥사이드의 계면 안정화 효과에 의한 사이클 개선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하였다.
  • 리튬 바나듐 옥사이드는 종래의 흑연전극을 대체할 만한 후보 음극재이나, 낮은 전기전도도 특성 및 부피 팽창으로 인한 입자 파쇄와 이로 인한 전기적 접촉 손실이 일어나며, 전해질의 분해로 인한 성능 열화가 동반된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FEC 전해질 첨가제를 도입함으로써, 리튬 바나듐 옥사이드의 계면 안정화 효과에 의한 사이클 개선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하였으며, 3 wt%의 첨가제를 도입함에 따라 성능 특성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이는 첨가제의 분해 산물인 LiF 기반의 피막 성분이 전해질의 분해를 막고 활물질의 파쇄 완화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리튬메탈 음극의 특징은 무엇인가? 리튬메탈 음극의 경우, 가장 가벼운 소재와 낮은 환원전위 (-3.045 V vs. SHE)를 가진다. 1-2) 또한, 무게당 부피당 용량도 3860 mAh/g, 2060 mAh/cm 3 로 높다. 그렇지만 리튬 덴드라이트 형성에 의한 안전성 문제와 전해질의 분해에 의한 성능열화가 문제로 남아있다.
첨가제가 음극에 작용하기 위한 조건은 무엇인가? 첨가제가 음극에서 작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전해질의 분해가 일어나기 전에 첨가제 성분이 환원되어야 한다. 17) 따라서 개질된 표면 필름이 전해질의 추가 반응을 억제할 수 있어야 한다.
리튬메탈 음극을 사용할 시 문제점은 무엇인가? 1-2) 또한, 무게당 부피당 용량도 3860 mAh/g, 2060 mAh/cm 3 로 높다. 그렇지만 리튬 덴드라이트 형성에 의한 안전성 문제와 전해질의 분해에 의한 성능열화가 문제로 남아있다. 3-5) 또다른 음극 재료인 실리콘의 경우, 3580 mAh/g와 낮은충/방전 전위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J.M. Tarascon, M. Armand, Nature, 414, 359 (2001) 

  2. M. Winter, J.O. Besenhard, M.E. Spahr and P. Novak, Adv. Mater., 10, 725 (1998) 

  3. D. Aurbach, Y. Gofer and J. Langzam, J. Electrochem. Soc., 136, 3198 (1989) 

  4. L. Gireaud, S. Grugeon, S. Laruelle, B. Yrieix and J. M. Tarascon, Electrochem. Commun., 8, 1639 (2006) 

  5. K. Xu, Chem. Rev., 10, 4304 (2004) 

  6. C.J. wen, R.A. Huggins, J. Solid State Chem., 37, 271 (1981) 

  7. G.-B. Han, M.-H. Ryou, K.Y. Cho, Y. M. Lee, and J.-K. Park, J. Power Sources, 195, 3709 (2010) 

  8. G.-B. Han, J.-N. Lee, J.W. Choi, and J.-K. Park, Electrochim. Acta, 56, 8897 (2011) 

  9. J.H. Ryu, J.W. Kim, Y. Sung, S.M. Oh., Electrochem. Solid-State Lett., 7, A306(2004) 

  10. Ji,L., Lin,Z., Alcoutlabi,M., Zhang,X., Energy Environ. Sci., 4, 2682 (2011) 

  11. Cabana, J., Monconduit, L., Larcher, D., Palacin, M.R. Adv. Mater., 22, E170 (2010) 

  12. Li, H., Huang, X., Chen, L. Solid State Ionics, 123, 189 (1999) 

  13. N.-S. Choi, J.-S. Kim, R.-Z. Yin, S.-S. Kim, Mater. Chem. Phys., 116, 603 (2009) 

  14. S. Lee, H. Kim, T. Seong, J. Alloys Compd., 509, 3136(2011) 

  15. J.H. Song, H.J. Park, K.J. Kim, Y.N. Jo, J.-S. Kim, Y.U. Jeong, Y.J. Kim, J. Power Sources, 195, 6157 (2010) 

  16. H.S. Kim, B.W. Cho, Bull. Korean Chem. Soc., 31, 1267 (2010) 

  17. H. Yoshitake, K. Abe, T. Kitakura, J.B. Gong, Y.S. Lee, H. Nakamura, and M. Yoshio, Chem. Lett., 32, 134 (2003) 

  18. M.-H. Ryou, G.-B. Han, Y.M. Lee, J.-N. Lee, D.J. Lee, Y.O. Yoon, and J.-K. Park, Electrochim. Acta, 55, 2073 (2010) 

  19. S. Verdier, L. El. Ouatani, R. Dedryvere, F. Bonhomme, P. Biensan, and D. Gonbeau, J. Electrochem. Soc., 154, A1088 (2007) 

  20. R. Dedryvere, H. Martinez, S. Leroy, D. Lemordant, F. Bonhomme, P. Biensan, and D. Gonbeau, J. Power Sources, 174, 462 (2007) 

  21. L. Daheron, R. Dedryvere, H. Martinez, M. Menetrier, C. Denage, C. Delmas, D. Gonbeau, Chem. Mater., 20, 583 (2008)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