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느릅나무 초임계 추출물의 항균,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Anti-fungal,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upercritical fluid extracts from Ulmus davidiana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8, 2018년, pp.225 - 233  

서주희 (남부대학교 향장미용학과) ,  이용조 (남부대학교 향장미용학과) ,  조영익 ((재)전남생물산업진흥원 나노바이오연구센터) ,  고정윤 ((재)전남생물산업진흥원 나노바이오연구센터) ,  문명재 ((재)전남생물산업진흥원 나노바이오연구센터) ,  박광현 (남부대학교 한방제약개발학과) ,  최선은 (남부대학교 향장미용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천연물 유래 난치성 피부질환 기능성 소재를 탐색하기 위해 느릅나무 가지를 초임계 유체 기술을 활용하여 추출을 수행하였고, 확보된 느릅나무 초임계 추출물을 수종의 피부상재균에 대하여 항균력 실험을 실시하였고, 모든 균종에 대해서 항균력이 확인이 되었으며, ABTS 라디컬 소거능NO 소거능 실험을 통해서 느릅나무 초임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항염증 활성의 우수한 활성이 확인이 되어서 산화적 스트레스 질환과 염증성 피부질환에 대해서 예방 및 치료 보완 기능성 소재로 개발이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느릅나무 초임계 추출물은 피부상재균에 대한 항균활성, 라디컬 소거능에 의한 항산화 활성, 과 생성된 NO 소거능에 의한 항염증활성이 각각 확인이 되었다. 이 상의 결과로 느릅나무 초임계 추출물은 항균효능, 항산화효능, 항염증 효능을 갖는 기능성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향후 만성 염증성 피부면역 질환 개선 및 치료 보조제 관련 의약품 또는 기능성 향장품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Ulmus davidiana have been used in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as remedies for inflammation, ulcers, cancers, bacterial infections and scabies. In this study, the anti-fungal,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of a supercritical extract of U. davidiana were investigated in vitro.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본 연구자들은 기존 열수추출방법과 다양한 유기용매를 활용하여 추출한 후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포함한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된 느릅나무를 대상으로 친환경적이고 인체 유해성이 낮으며, 현재까지 밝혀지지 않은 느릅나무 초임계 추출물의 항균활성,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연구를 수행하여 천연물 유래 생리활성 기능성 신소재를 발굴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느릅나무는 어떤 증상에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 왔는 가? coreana Nakai) 등이 알려져 있다[1,2]. 느릅나무는 예로부터 항염증, 항궤양증, 항암, 구충제, 항균, 진통, 불면증, 부종, 이뇨, 해열, 옴 등 의 증상에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 왔다 [3,4].
초임계 추출 기술 중 이산화탄소는 어떤 장점을 갖는 가? 초임계 추출 기술 중 이산화탄소는 낮은 무독성, 환경 친화성, 낮음 임계 온도, 저렴한 비용 등 다양한 장점을 이유로 가장 인기 높은 초임계 유체 추출 공법으로 잘 알려져 있다[19-22].
느릅나무 가지 초임계 추출물의 NO 소거능을 확인해 본 결과를 통한 기대는 무엇인가? 5에 나타내었다. 즉, 실험에 사용된 모든 농도 에서 음성 대조군인 LPS 유도군에 비해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NO 소거능이 확인이 되었으며, Normal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느릅나무 가지 초임계 추출물은 NO 소거능이 매우 강한 것으로 확인되어, 신규 천연물 유래 항염증 활성 소재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만성 염증성 피부면역 질환에 적용할 수 있는 신규 천연 신소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T. H. Jung. (1974). Korean Flora. Seoul : I-Mun Pubishing Co., Ltd. 

  2. Y. N. Lee. (1996). Flora of Korea. Seoul : Kyo-Hak Pubishing Co., Ltd. 

  3. K. H. Bae. (2000). The medicinal plants of Korea. Seoul : Kyo-Hak Pubishing Co., Ltd. 

  4. K. S. Lee. et. al. (1998). Jung-Yak Encyclopaedia. Seoul : Jeong-DamPubishing Co., Ltd. 

  5. M. K. Lee & Y. C. Kim. (2001). Five novel neuroprotective triterpene esters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64, 328-331. 

  6. M. K. Lee, S. H. Sung, H. S. Lee, J. H. Cho & Y. C. Kim. (2001). Lignan and neolignan glycosides from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24, 198-201. 

  7. B. W. Son, J. H. Park & O. P. Zee. (1989). Catechin glycoside from Ulmus davidiana.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12, 219-222. 

  8. Y. H. Moon & G. R. Rim. (1995).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Ulmus parvifolia. Korean Journal of Pharmcognosy, 26, 1-7. 

  9. E. B. Lee, O. K. Kim, C. S. Jung & K. H. Jung. (1995). The influence methanol extract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cortex on gastric erosion and Ulcer and Paw Edema in rats.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39, 671-675. 

  10. N. D. Hong, Y. S. Rho, N. J. Kim & J. S. Kim. (1990). A study on efficacy of Ulmi cortex. Korean Journal of Phamacognosy, 21, 217-222. 

  11. Y. Yang, J. W. Hyun, K. H. Lim, H. J. Kim, E. R. Woo & J. Park. (1996). Antineoplastic effect of extracts from traditional medicine plants and various plants (III). Korean Journal of Phamacognosy, 27, 105-110. 

  12. E. B. Lee, K. W. Jung, C. S. Jung & O. K. Kim. (1995). The Influence of Methanol Extract of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Cortex on Gastric Erosion and Ulcer and Paw Edema in Rats, Yakhak Hoeji, 39, 671-675. 

  13. S. K. Cho, S. G. Lee & C. J. Kim. (1996).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of Water Extract of Root Bark of Ulmus parvifolia. Korean Journal of Phamacognosy, 27, 274-281. 

  14. C. D. Jun, H.O. Pae, Y. C. Kim, S. J. Jeong, J. C. Yoo, E. J. Lee, B. M. Choi, S. W. Chae, R. K. Park & H. T. Chung. (1998). Inhibition of nitric oxide synthesis by butanol fraction of the methanol extract of Ulmus davidiana in murine macrophages,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62, 129-135. 

  15. Y. J. Lee & J. P. Han. (2000).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Nitric Scavenging Abilities of Extracts from Ulmus davidian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9, 893-899. 

  16. G. H. Lee, C. J. Shim, Y. I. Chang, H. Seong, H. R. Oh & M. J. Oh. (2001). Antimicrobial activitives of (-)epicatechin from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cortex. Journal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6, 230-234. 

  17. S. H. Park, Y. M Goo & D. S. Na. (1996). Isolation and structure elucidation of a catechin glycoside with phspholipase A2 inhibiting activity from Ulmi cortex. Bulletin of the Korea Chemical Society, 17, 101-103. 

  18. D. Y. Shin, H. S. Kim, H. Kyung, S. S. Hyun, S. A. Kim, H. Huh, E. C. Choi, Y. H. Choi, J. W. Kim, S. H. Choi, W. B. Kim, & Y. G. Suh. (2000). Chemical & Pharmaceutical Bulletin. 48, 1805-1806. 

  19. M. McHugh, V. Krukonis & H. Brenner. (1994).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Principles and practice, 2nd ed, United States of America : Butterworth-Heinemann, 1-16. 

  20. G. G. Hoyer. (1985). Extraction with supercritical fluids: why, how and so what, Chemtech, 15, 440-448. 

  21. E. Stahl, K. W. Quirin & D. Gerard. (1988). Dense gases for extraction and refining. Springer Verlag, Berlin, Germany, 173. 

  22. Y. H. Choi, E. J. Park, Y. L. Kim, Y. W. Chin, J. W. Kim, S. H. Jeon, S. N. Joung, & K. P. Yoo. (1999). Selective extraction of cytotoxic substances from medicinal plants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Korean Journal of Phamacognosy, 30, 59-64. 

  23. P. M. Davidson & M. E. Parish. (1989). Methods for testing the efficacy of food antimicrobials. Food Technology, 43, 148-155. 

  24. R. Re, N. Pellegrini, A. Proteggente, A. Pannala, M. Yang, & C. Rice-Evans.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ogy & Medicine, 26, 1231-1237. 

  25. T. Mosmann. (1983).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the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Journal of Immunological Methods, 65, 55-63. 

  26. M. Feelisch, & J. Stamler. (1996). Methods in nitric oxide research, United Kingdom : John Wiley & Sons, Chichester, p 492-497 

  27. S. Y. Park, S. S. Hong, X. H. Han, J. S. Ro, & B. Y. Hwang. (2005). Inhibitory constituents of LPS-induced nitric oxide production from Arctium lappa, Natural Product Sciences, 11, 85-88. 

  28. O. Folin & W. Denis.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12, 239-243. 

  29. R. G. D. Steel, & J. H. Torrie. (1980). Principle and procedures of statistics. 1st ed. Kogakusha, Tokyo, Japan : McGraw-Hill 187-221 

  30. B. E. Lee, J. C. Yang, & B. A. Kim. (2016). A Study of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Coffee Residue Extracts. Journal of Korean Oil Chemists' Society, 33, 606-613 

  31. K. S. Lee & J. S. Choi. (2006). Biochemical Properities, Isolation & Identification of the Propionibacterium acnes Picked from Acne Lesion.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8(5)., 571-576. 

  32. S. K. Lee (2003). Antimicrobial effect of bamboo (Phyllosrachys Bambusoides) essential oil on Trichophyton and Pityrosporum. The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18, 113-117. 

  33. S.S. Kim, S. K. Lee, D. H. Nahm, & H. S. Park. (2001). Trichophyton and asthma : specific IgE, IgG1 and IgG4 determination. The Official Publication of the Korean Society of Allergology, 21, 241-249. 

  34. S. Kivity, Y. Schwarz, & E. Fireman. (1992). The association of perennial rhinitis with Trichophyton infection. Clinical & Experimental Allergy, 22, 498-500. 

  35. S. A. Kharitonov, D. Yates, R. A. Robbins, R. Logan-Sinclair, E. A. Shinebourne, & P. J. Barnes. (1994). Increased nitric oxide in exhaled air of asthmatic patients, The Lancet, 343, 133-135. 

  36. N. Nakatani. (1990). Recent advances in the study on natural antioxidants. Nippon Shokuhin Kogyo Gakkaishi, 37, 569-576 

  37. K. Nozaki. (1986). Current aspect and future condition of phytogenic antioxidants, Fragrance Journal, 6, 99-1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