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불면증, 수면의 질, 우울 및 일주기 리듬의 관계

Correlation among Insomnia, Sleep Quality, Depression, and Circadian Rhythm in Nursing Baccalaureate Students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32 no.2, 2018년, pp.263 - 274  

김건희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  황은희 (원광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of insomnia, sleep quality, depression, and circadian rhythm in nursing students. Methods: A total of 213 subjects completed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Insomnia Severity Index (ISI),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불면증, 수면의 질, 우울과 일주기 리듬의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대학생의 건강 문제가 중요한 이유는? 대학생은 발달단계상 후기 청소년기 혹은 성인 초기에 해당하여 일생동안 유지할 건강습관을 형성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특히 간호대학생은 미래 간호사로서 국민의 건강 유지, 증진에 기여해야 하는 바 이들의 건강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간호학 전공 교육과정은 이론교과목의 선행에 이른 3학년과 4학년의 임상실습 교과목의 이수로 인해(Shin et al.
불면증이란? 하지만 과도한 스트레스, 불안, 피로 등 다양한 이유에 의해 일시적 또는 장기적인 수면장애가 발생하며, 이중 유병률이 가장 높은 수면장애가 불면증이다(Morin, 1993). 불면증이란 잠들기 어렵거나 수면을 유지하기 어려워 발생하는 불충분한 수면으로, 수면의 양이나 질이 불만족스러운 것이 주요한 양상이고 다음날 주간졸림, 피로감, 집중력의 어려움과 같이 정신 기능 및 행동 수행에 문제를 유발하며(Morin, 1993), 이로 인해 사회적, 직업적, 여러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대학생들에게 일주기 리듬이 불일치하면 발생하는 문제점은? 하지만 수업 등 대학생활 일정이 이른 아침부터의 활동을 요구하기 때문에 저녁형 대학생들은 일주기 리듬과 불일치하는 생활을 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불일치로 인해 대학생은 수면문제를 겪게 되고 이 때문에 신체적, 정신적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더욱이 대학생은 학업과 취업에 대한 압박감으로 수면문제와 우울과 같은 정서적 문제를 경험하고 있으며 일주기 리듬 유형에 따라 수면 및 우울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저녁형일수록 수면의 질이 낮고 우울 정도가 높았다(Kim, Song, & Yeon,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stien, C. H., Vallieres, A., & Morin, C. (2001). Validation of the insomnia severity index as an outcome measure for insomnia research. Sleep Medicine, 2, 291-307. 

  2. Buysse, D. J., Reynolds, C. F., Monk, T. H., Berman, S. R., & Kupfer, D. J. (1989).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earch, 28(2), 193-213. 

  3. Chang, H. K., Lee, S. J., Park, C. S., Kim, B. J., Lee, C. S., Cha, B., Lee, D., & Seo, J. Y. (2015). Association between quality of life and eveningness as well as sleep quality among medical students.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22(2), 64-69. http://dx.doi.org/10.14401/KASMED.2015.22.2.64 

  4. Cho, O. H., & Hwang, K. H. (2017). The impacts of social isolation,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sleep disorder of nursing college students on depress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1), 329-338. http://dx.doi.org/10.14400/JDC.2017.15.11.329 

  5. Cho, Y. W. (2004). The sleep scales and sleep hygiene. Journal of Korean Sleep Research Society, 1(1), 12-23. http://dx.doi.org/10.13078/jksrs.04003 

  6. Chon, K. K., & Rhee, M. K. (1992). Preliminary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CES-D.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1(1), 65-76. 

  7. Crowley, S. J., Acebo, C., & Carskadon, M. A. (2007). Sleep, circadian rhythms, and delayed phase in adolescence. Sleep Medicine, 8(6), 602-612. http://dx.doi.org/10.1016/j.sleep.2006.12.002 

  8. Jeon, H. O. (2017). The influence of drinking, stress, and sleep on depression of Korean obese women by different age group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1(3), 451-463. http://dx.doi.org/10.5932/JKPHN.2017.31.3.451 

  9. Jin, M. J., Yoon, C. H., Ko, H. J., Kim, H. M., Kim, A. S., Moon, H. N., & Jung, S. P. (2016). The relationship of caffeine intake with depression, anxiety, stress, and sleep in Korean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37, 111-116. http://dx.doi.org/10.4082/kjfm.2016.37.2.111 

  10. Jung, S. H., & Park, J. (2013). Effect of life stress on the sleeping disorder of university student.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8(2), 345-353. 

  11. Kang, Y., Kim, M., Lee, G., Jung, D., & Ma, R. W. (2012). A study of social support, loneliness, sleep quality, and perceived health status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6(2), 303-313. http://dx.doi.org/10.5932/JKPHN.2012.26.2.303 

  12. Kim, G. H., & Yoon, H. S. (2013). Factors influencing sleep quality in nursing students and no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2(4), 320-329. http://dx.doi.org/10.12934/jkpmhn.2013.22.4.320 

  13. Kim, H. S., Eom, M. R., & Kim, E. K. (2010). Sleep patterns and circadian types of nursing students during shift schedul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1), 43-51. http://dx.doi.org/10.4040/jkan.2010.40.1.43 

  14. Kim, K. H. (2014). Correlation of stress-coping, humor sense, and adaptation to college of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Contents Society, 14(3), 301-313. http://dx.doi.org/10.5392/JKCA.2014.14.03.301 

  15. Kim, J. K. (1998). Circadian rhythm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3(1), 129-140. 

  16. Kim, J. K., Song, H. S., & Yeon, M. Y. (2009). The preliminary study of sleep patterns, circadian typology and depression level in Korean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4(3), 617-632. http://dx.doi.org/10.17315/kjhp.2009.14.3.009 

  17. Lucassen, E. A., Zhao, X., Rother, K. I., Mattingly, M. S., Courville, A. B., de Jonge, L., Csako, G., Cizza, G., & for the Sleep Extension Study Group. (2013). Evening chronotype is associated with changes in eating behavior, more sleep apnea, and increased stress hormones in short sleeping obese individuals. PLoS One, 8(3), e56519.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0056519 

  18. Lund, H. G., Reider, B. D., Whiting, A. B., & Prichard, J. R. (2010). Sleep patterns and predictors of disturbed sleep in a large population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46(2), 124-132. http://dx.doi.org/10.1016/j.jadohealth.2009.06.016 

  19. Merikanto, I., Lahti, T., Kronholm, E., Peltonen, M., Laatikainen, T., Vartiainen, E., Salomaa, V., & Partonen, T. (2013). Evening types are prone to depression. Chronobiology International, 30(5), 719-725. http://dx.doi.org/10.3109/07420528.2013.784770 

  20. Morin, C. M. (1993). Insomnia: psychological assessment and management. New York: Guilford Press. 

  21. National Institute of General Medical Sciences. (2017, August). Circadian rhythms fact sheet. Retrieved June 27, 2018, from http://www.nigms.nih.gov/education/pages/Factsheet_CircadianRhythms.aspx 

  22. Park, Y. R., & Jang, E. H. (2013). Impact of stress on depress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testing for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5(5), 549-558. http://dx.doi.org/10.7475/kjan.2013.25.5.549 

  23.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 report depression scale 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 385-401. 

  24. Schlarb, A. A., Friedrich, A., & Classen, M. (2017). Sleep problems in university students - an intervention. Neuropsychiatric Disease and Treatment, 13, 1989-2001. 

  25. Shin, S. J., Yang, E. B., Hwang, E. H., Kim, K. H., Kim, Y. J., & Jung, D. Y. (2017).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nursing education for clinical practice.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19(2), 76-82. http://dx.doi.org/10.17496/kmer.2017.19.2.76 

  26. Smith, C. S., Reilly, C., & Midkiff, K. (1989). Evaluation of three circadian rhythm questionnaires with suggestions for an improved measure of morningnes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4(5), 728-738. 

  27. Suh, K. H. (2009). The relations of circadian rhythm and sleep deprivation to college life stress and depression: focused on gender differences.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17(3), 247-253. 

  28. Taylor, D. J., Bramoweth, A. D., Grieser, E. A., Tatum, J. I., & Roane, B. M. (2013). Epidemiology of insomnia in college students: relationship with mental health, quality of life, and substance use difficulties. Behavior Therapy, 44(3), 339-348. http://dx.doi.org/10.1016/j.beth.2012.12.001 

  29. Yi, H. (2013). Sleep quality and its associated factors in adul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7(1), 76-88. http://dx.doi.org/10.5932/JKPHN.2013.27.1.76 

  30. Yu, S. J., Song, M. R., & Kim, E. M. (2014).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 71-80. http://dx.doi.org/10.5977/jkasne.2014.20.1.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