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과 비노인 외상환자의 손상중증도에 따른 특성 비교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Injury Severity Score between Elderly and Non-elderly with Trauma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32 no.2, 2018년, pp.304 - 318  

김현주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전남대학교병원 진료비심사과) ,  김윤경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 of the Injury Severity Score (ISS) of Korean geriatric patients with a traumatic injury in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to determine the optimal cutoff of ISS of mortality according to age. Methods: The subjects were 3,018 non-elderly patients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차적으로 긴급도를 평가하고, 2차적으로 중증도를 예상하여 즉각적인 소생술이 필요한 1등급로 분류되면 의료진이 즉시 진료를 하게되고, 2등급(중증)는15분 이내, 3등급(응급)는 30분 이내, 4등급(준응급)는 1시간 이내, 5등급(비응급)는 2시간 이내에 의사가 진료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Emergency MedicalFoundation, 2014).
  • 65세 미만 비노인 외상환자와 65세 이상 노인 외상 환자의 손상중증도 점수와 이에 따른 특성을 비교하고 분석하기 위해 보건의료빅데이터를 활용한 2차 분석 연구이다.
  • 노인 외상환자들은 비노인 외상환자와 비교했을 때 생리적 노화와 선행하는 질병들로 인하여 높은 이환율과 사망률을 보이므로(Chang et al., 2008; Hammer et al., 2016; The Korean Society of Traumatology, 2018), 외상 발생 시 환자의 분류를 일반 성인과 달리 하고 노인 외상환자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함을 제시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보건의료빅데이터를 이용하여 2016년 ISS와 KTAS를 기재하여 청구된 전체 데이터를 바탕으로 65세 이상의 노인과 18~64세 비노인의 ISS에 따른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과 비노인의 외상 발생, 진단 및 치료결과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 중 손상중증도점수(ISS)에 따른 특성에 따라 비교함으로써 분석하였다. 이는 증가하는 노인인구를 대상으로 외상에 따른특성을 이해하여 노인외상환자의 분류를 일반 성인과 달리하고 노인 외상환자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함을 제시함에 따라 노인외상환자의 정책개발에 도움을주고, 치료예후를 탐색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 본 연구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노인과 비노인 환자의 손상관련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중증 손상군에서 노인이 비노인보다 중증외상이 발생할 확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KTAS 등급의 분포는 ISS 중증도가 높음에도 비노인에 비해 노인이 상위등급에 적게 분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의료빅데이터를 이용하여, 2016년 ISS와 KTAS를 기재하여 청구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노인과 비노인의 손상중증도점수에 따른 특성을 비교, 분석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인구의 사망외인은? 노인인구의 빠른 증가는 노인의 사회활동이나여가생활의 증가로 외상에 노출되는 기회는 더 늘어나고 있다. 노인 사망의 외인도 자살을 제외하면 운수사고, 추락사고, 익사사고 순이며, 외인에 의한 노인의 사망률을 살펴보면, 60대 외인에 의한 사망률은 인구 10만명 당 80.8명으로 30대 34.1명의 2배를 넘어서고,70대 154.2명, 80대 이상 355.1명으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Statistics Korea,2017).
고령화가 문제가 되는 이유? 사회·경제적 수준의 향상과 의료기술의 발달로 평균수명이 길어짐에 따라 고령화의 문제는 전 세계적 추세이나 특히 우리나라의 고령화는 더욱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2000년 고령화 사회(7.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노인인구 추세는 어떠한가? 사회·경제적 수준의 향상과 의료기술의 발달로 평균수명이 길어짐에 따라 고령화의 문제는 전 세계적 추세이나 특히 우리나라의 고령화는 더욱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2000년 고령화 사회(7.2%)로의 진입을 시작으로 2018년에는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총인구의 14%를 넘어 고령사회가 되고, 2025년에는 20%를 넘어서초고령 사회가 될 것을 예상하고 있다(Statistics Korea,2017). 노인인구의 빠른 증가는 노인의 사회활동이나여가생활의 증가로 외상에 노출되는 기회는 더 늘어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B. M., Choi, S. P., Park, J. H., Wee, J. H., Hong, S. Y., & Jeong, S. K. (2015).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in severely injured elderly trauma presenting to emergency department.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19(3), 138-146. https://doi.org/10.4235/jkgs.2015.19.3.138 

  2. Allen, C. J., Hannay, W. M., Murray, C. R., Straker, R. J., Hanna, M. M., Meizoso, J. P., Ray, J. J., Livingstone, A. S., Schulman, C. I., Namias, N., & Proctor, K. G. (2015). Causes of death differ between elderly and adult falls. Journal of Trauma Acute Care Surgery, 79(4). 617-621. https://doi.org/10.1097/TA.0000000000000811 

  3. Baker, S. P., O'Neill, B., Haddon, W. Jr., & Long, W. B. (1974). The injury severity score: A method for describing patients with multiple injuries and evaluating emergency care. Journal of Trauma, 14(3), 187-196. 

  4. Becher, R. D., Meredith, J. W., & Kilgo, P. D. (2013). Injury severity scoring and outcomes research. In Mattox K. L., Moore E. E., & Feliciano D. V.(Eds.), Trauma(pp. 77-90). New York: McGraw-Hill. 

  5. Chang, W. H., Tsai, S. H., Su, Y. J., Huang, C. H., Chang, K. S., & Tsai, C. H. (2008). Trauma mortality factors in the elderly popu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Gerontology, 2(1), 11-17. 

  6. Chiang, W. K., Huang, S. T., Chang, W. H., Huang, M. Y., Chien, D. K., & Tsai, C. H. (2012). Mortality factors regarding the injury severity score in elderly trauma pati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Gerontology, 6(3), 192-195. https://doi.org/10.1016/j.ijge.2012.01.016 

  7. Emergency Medical Foundation. (2014). A verification study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n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8. Hammer, P. M., Storey, A. C., Bel1, T., Bayt, D., Hockaday, M. S., Zarzaur, B. L., Feliciano, D. V., & Rozycki. G. S. (2016). Improving geriatric trauma outcomes: a small step toward a big problem. Journal of Trauma and Acute Care Surgery, 81(1), 162-167. https://doi.org/10.1097/ta.0000000000001063 

  9. Hashmi, A. 1., Ibrahim-Zada, I., Rhee, P., Aziz, H., Fain, M. J., Friese, R. S., & Joseph, B. (2014). Predictors of mortality in geriatric trauma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Trauma and Acute Care Surgery, 76(3), 894-901. https://doi.org/10.1097/ta.0b013e3182ab0763 

  10.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7). Analysis of Health Care Big Data. Retrieved April 21, 2018, from http://www.hira.or.kr/dummy.do?pgmidHIRAA990001000440&cmsurl/cms/guide_busi/04/04/index.html 

  11. Jeon, H. J., & Choi, Y. E. (2012). Analysis of risk factors and injury patterns in geriatric trauma patients: Based on the in-depth injury patient surveillance system data. Journal of Korean Gerontology Nursing, 14(3), 151-161. 

  12. Jung, S. W., Kang, M. J., Song, B. H., Jang, J. H., & Choi, J. N. (2017). Comparison of medical costs by results of KTAS(2017-20-023). Goyang: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Ilsan Hospital Research institute. 

  13. Kim, H. S., Kim, J. M., Lim, H. S., Hong, J. S., Ha, D. S., & Gwon, J. B. (2015). A study on the use of acute medical care utilization in stroke patients(2015-20-023). Goyang: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Ilsan Hospital. 

  14. Kim, J. H., Do, B. S., Lee, S. B., Lee, S. H., Kim, O. R., & Chung, J. Y. (2006).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Incidence and the Severity of Geriatric Trauma Patients and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17(2), 180-189. 

  15. Kim, T. S., Lee, K. H., Kim, T. H., Kim, O. H., Cha, Y. S., Cha, K. C., & Hwang, S. O. (2014).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ognostic factors of geriatric patients involved in traffic accidents.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27(4), 101-107. 

  16. Ko, M. J., & Lim, T. H. (2014). Use of Big data for evidence-based healthcare. Journal of Medical Association, 57(5), 413-418. https://doi.org/10.5124/jkma.2014.57.5.413 

  17.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2017).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Retrieved April 21, 2018, from http://www.ktas.org/ 

  18. Kreindler, S. A., Cui, Y., Metge, C. J., & Raynard, M. (2016). Patient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longer emergency department stay: a rapid review. Emergency Medicine Journal, 33(3), 194-199. https://doi.org/10.1136/emermed-2015-204913 

  19. McKevitt, E. C., Calvert, E., Ng, A., Simons, R. K., Kirkpatrick, A. W., Appleton, L., & Brown, D. R. G. (2003). Geriatric trauma: resource use and patient outcomes. Canadian Journal of Surgery, 46(3), 211-215.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The 8th health insurance policy review committee 2015. Retrieved April 21, 2018, from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BOARD_ID140&BOARD_FLAG00&CONT_SEQ319028&page1 

  21. Mowery, N. T., Dougherty, S. D., Hildreth, A. N., Holmes, J. H., Chang, M. C., Martin, R. S., Hoth, J. J., Meredith, J. W., & Miller, P. R. (2011). Emergency department length of stay i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hospital mortality in trauma activation patients. The Journal of Trauma, 70(6), 1317-1325. https://doi.org/10.1097/ta.0b013e3182175199 

  22.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17). 2016 National Emergency Department Information System (NEDIS) statistical yearbook. Retrieved April 21, 2018, from http://www.e-gen.or.kr/nemc/statistics_annual_report.do?brdclscd02 

  23. Palmer, C. (2007). Major trauma and the injury severity score - where should we set the bar? Annual Proceedings /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Automotive Medicine, 51, 13-29. 

  24. Park, H. R. & Moon, J. S. (1999). A study on the accidental patients in emergency room.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13(2), 70-83. 

  25. Park, H. R., Moon, J. S., & Youn, S. J. (2000). Satisfaction regarding the usage of emergency treatment service.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14(2), 293-303. 

  26. Park, J. M., Kim, C. S., & Kim, M. W. (2016). A path analysis on factors- Depression, level of health status, physical function, and regular exercise- Influencing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sex in community dwelling elderl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0(2), 337-348. http://dx.doi.org/10.5932/JKPHN.2016.30.2.337 

  27. Statistics Korea. (2017). 2016 Death rates for the cause of death. Retrieved April 21, 2018,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28. Taylor, M. D., Tracy, J. K., Meyer, W., Pasquale, M., & Napolitano, L. M. (2002). Trauma in the elderly: intensive care unit resource use and outcome. Journal of Trauma and Acute Care Surgery, 53(3), 407-414. https://doi.org/10.1097/00005373-200209000-00001 

  29. The Korean Society of Traumatology (2018). Textbook of TRAUMA. Seoul: PanMun Education. 

  30. Yang, Y. M., & Kim, E. S. (2004). The status of incidence and the prognostic factors in geriatric trauma patients.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17(1), 37-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