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바일 소셜 커머스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쇼핑가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Mobile Social Commerce Characteristics on the Purchase Inten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hopping Value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8, 2018년, pp.89 - 98  

최빛나 (안양대학교 경영학과) ,  한경일 (안양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모바일 커머스 시장이 최근 새로운 대세로 떠오르며 국내 온라인 시장에서 모바일 쇼핑이 중요한 유통채널로 부각되고 있으며, 모바일 구매상황이나 행위에 대해 소비자가 지각하는 가치가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본 연구는 모바일 소셜 커머스 사용자들이 지각하는 쇼핑 가치에 주목하여 모바일 소셜 커머스를 통한 쇼핑 가치와 구매의도에 소셜커머스 특성 요인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해서 SPSS 19.0, AMOS 19.0을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확인적 요인분석 및 공변형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소셜 커머스 특성 중 실용적 쇼핑가치를 추구하는 사람들에게는 가격할인율, 쾌락적 쇼핑 가치를 추구하는 사람들에게는 상호작용성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이트 제공자와 판매회사들은 소셜 커머스의 특성들도 매우 중요하지만 특히, 이용자들의 모바일 구매상황이나 행위에 대하여 소비자들의 실용적 가치와 쾌락적 가치를 고려한 전략을 추구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mergence of the mobile commerce market as a new megatrend, mobile shopping is becoming an important distribution channel in the domestic online shopping mark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shopping values perceived by mobile social commerce users into a utilitarian value and a hed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모바일 소셜 커머스 이용자들이 지각하는 쇼핑 가치에 주목하여 Babin et al.[44]이 제시한 실용적가치와 쾌락적 가치로 선정하여 모바일 소셜 커머스를 통한 구매의도와 쇼핑 가치에 소셜 커머스 특성 요인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또한 사용자들의 모바일 구매상황 및 행위에 대해 소비자들이 지각하는 가치가 중요하게 고려되는 상황에서 쇼핑 가치를 통하여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확인한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소셜 커머스 특성에 따라 쇼핑 가치에 대해 다르게 인지 할 수 있고, 이러한 가치가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여 소셜 커머스 기업들에게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제공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소셜 커머스 이용자들이 지각하는 소셜 커머스 특성이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지는 확인하고자 한다. 특히, 이들 간의 관계에서 쇼핑 가치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위의 이론적 배경에 근거하여 Fig.
  • 본 연구는 학문적인 측면에서 모바일 환경에서의 소셜 커머스 특성을 실증 분석하여 밝혔다는 점과 소비자가 지각하는 쇼핑 가치가 소셜 커머스 특성과 구매의도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함을 실증분석한데에 학술적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실무적인 측면에서는 시장의 확대에 따라 소셜 커머스 업체는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모바일을 이용한 쇼핑은 인터넷 쇼핑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스마트한 소비자들의 마음을 잡기 위해서는, 다른 업체와의 차별화나 가격경쟁, 그리고 손안의 편리한 모바일을 활용하는 것이다.

가설 설정

  • 가설 4 : 소셜 커머스 특성과 구매의도 간에 실용적 쇼핑가치가 매개할 것이다.
  • 가설 5 : 소셜 커머스 특성과 구매의도 간에 쾌락적 쇼핑가치가 매개할 것이다.
  • 위에서 보고한 한계점에 따른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 소셜 커머스를 이용함에 있어 서로 다른 가치의 차이를 성별 혹은 연령대별로 반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설문지를 이용한 일회성 측정은 다양한 편의(bias)를 야기 시킬 수 있으므로 향후에는 다양한 연구기법이 추가되어 좀 더 현실적인 정보 획득과 분석이 이루어지도록 연구를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2C 전자상거래가 모바일 소셜 커머스 이용자들에게 무엇을 제공하여 구매의도를 향상시키는가? 웹 사이트의 기본적인 성공요인은 고객 들이 지식과 만족을 획득하는데 있어 마케팅 서비스의 제공과 최상의 정보시스템 제공이다[11]. 따라서 모바일 소셜 커머스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즉시접속성, 위치기반서비스, 잘 디자인된 인터페이스, 다양한 제품정보, 고객맞춤형 정보, 고객과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반응성, 공감성, 신뢰성, 및 경쟁력 있는 가격과 같은 다양한 이점을 제공함으로 구매의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소셜 커머스의 특성을 소셜 미디어의 속성과 온라인 쇼핑몰 거래 속성의 두 영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요인들로 도출하였다.
모바일 커머스란 무엇인가? 인터넷이 유선에서 무선으로, 다시 무선에서 모바일로 진화됨에 따라 쇼핑 분야도 그 중심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옮겨가고 있다[2]. 지금까지의 전형적인 쇼핑방식이 매장에 직접 방문 후 필요한 제품들을 고르고 구매하는 것이었다면, 모바일 커머스는 모바일 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행되는 금전적인 가치가 있는 거래행위를 의미한다[6].
유통채널 확장의 측면에서 추가 연구 필요성이 제기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1%로최근 파격적인 가격할인, 모바일 거래의 최적화, 큐레이션 차별화, 로켓배송 등을 강점으로 내세운 소셜 커머스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새로운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다[3].이와 같이 모바일 쇼핑이 중요한 유통채널로써 부각되고있으나 대다수 선행연구들은 PC를 활용한 구매상황에서의 소셜 커머스에 대해 주로 다루고 있기 때문에 유통채널 확장의 측면에서 추가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최근 모바일 중심의 소셜 커머스에 대해 다룬 연구들도 일부 진행되고 있으나[4,5], 소셜 커머스의 특성, 동기, 만족, 그리고 재구매의도 간 관계에 대해 단선적으로만 다루고 있기 때문에 실제 모바일 소셜 커머스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소셜 커머스 특성에 따른 구매행동 변화에 대해 체계적으로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Seoul Economy(2018). The heyday of mobile shopping. http://www.sedaily.com/NewsView/1S1YC0FM2X 

  2. J. Y. Lee. (2013). Domestic Online Shopping Market Status and Forecast: Focusing on internet and mobile shopping,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25(13), 96-108. 

  3. T. H. Ahn. (2015). Recent online shopping trends and responses, Retail CEO Report, 18, 1-26. 

  4. M. Y. Baek & S. L. Han. (2015). Analysis of usage motivation and repeat-using intention in mobile social commerce,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8(1), 103-120. 

  5. Y. Jin & C. Park. (2013). The effect of mobile social commerce attributes on satisfaction and trust. Proceedings of the Korea Distribution Association Conference, Winter Conference Korea, 137-161. 

  6. F. Muller-Veerse. (2000). Mobile Commerce Report, London: Durlacher Corp. 

  7. J. H. Ma, C. S. Kim & H. S. Ahn. (2016). A Study on User Characteristics and Social Commerce Factors that Impact Repurchase Intentions in Mobile Social Commerc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14(7), 139-154. 

  8. T. C. Albert, P. B. Goes & A. Gupta. (2004). GIST: a model for design and management of content and interactivity of customer-centric web sites. MIS Quarterly, 161-182. 

  9. Stafford, T. F. (2003). E-services. Communications of the ACM, 46(6), 26-28. 

  10. C. Ranganathan & S. Ganapathy. (2002). Key dimensions of business-to-consumer web sites. Information &Management, 39(6), 457-465. 

  11. W. Hong, J. Y. Thong & W. M. Wong, K. Y. Tam. (2002). Determinants of user acceptance of digital libraries: an empirical examination of individual differences and system characteristics.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18(3), 97-124. 

  12. Z. Ahmed & M. Hurst. (2000). The wireless customer experience, New York: Creative Good Inc. 

  13. S. J. Choi. (2013). Determinants of User Perceived Value and Its Influence on the Usage of Smartphonebased Mobile Commerce : Focusing on Service Ubiquity and User Control,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18(4), 237-299. 

  14. Y. H. Kwon & S. R. Lee. (2009). Lbs(Location-Based Service) emerging as a convergence service, DigiEco Focus: KT Economics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15. J. K. Kim & S. H. Kim. (2012). Intention to Disclose Personal Information in LBS : Based on Privacy Calculus Perspective, Th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21(4), 55-79. 

  16. J. C. Wetherbe, E. Turban, D. E. Leidner & E. R. McLean. (2007). Information technology for management: Transforming organizations in the digital economy. New York: Wiley. ISBN 0-471-78712-4. 

  17. J. J. Jun & T. M. Lee. (2004). A study on the Effects of Ubiquitous Connectivity and Contextual Offer on the Mobile-Commerce Adoption: An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Korea Business Review, 33(4), 1043-1071. 

  18. D. H. Lee & J. E. Koo. (2010). A Study on the Interaction at Internet Shopping Malls : Scale Development and Effect Analysis. Journal of Korean Marketing Association, 16(2), 115-140. 

  19. M. Lombard & J. Snyder-Duch. (2001). Interactive advertising and presence: A framework. Journal of Interactive Advertising, 1(2), 56-65. 

  20. M. S. Lee, J. H., Park & D. Y. Kim. (2001). A Study on the Effect of Internet Shopping Values on Purchase Intention. Jounal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6(1), 61-84. 

  21. Y. Kim & I. H. Bae. (2009). The Relationship among Retail Mix Asset, Shopping Value, Shopping Satisfaction and Share of Wallet in the Retailing Context. Korea Research Academy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view, 12(2), 5-30. 

  22. C. Park. (2003). Online Hedonic-Experiential Value in Internet Shopping: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The journal of MIS research, 13(4), 73-96. 

  23. T. H. Moon & J. Y. Park. (2007). A Study on the Effects of Excessive Price Discounts etc. on Consumer Purchase Intention in Internet Shopping Mall, The KIPS Transactions : Part D, 14(4), 395-406. 

  24. P. L. To, C. Liao & T. H. Lin. (2007). Shopping motivations on Internet: A study based on utilitarian and hedonic value. Technovation, 27(12), 774-787. 

  25. K. H. Ahn, S. H. Han, N. H. Chung & Y. K. Lee. (2012).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ustomer Trust, Satisfaction, and Loyalty in Social Commerce Context: Focusing on Social Commerce Providers. Journal of Commodity Science and Technology, 30(1), 145-161. 

  26. S. Y. Chung & C. Park. (2010). A cross-cultural validation of the structural model of online shopping. The e-Business Studies, 11(1), 69-94. 

  27. E. Anderson & B. Weitz. (1989). Determinants of continuity in conventional industrial channel dyads. Marketing science, 8(4), 310-323. 

  28. S. L. Jarvenpaa & P. A. Todd. (1997). Is there a future for retailing on the Internet. Electronic marketing and the consumer. 1(12), 139-154. 

  29. S. J. Yoon. (2000). A Study on the Antecedents of Trust toward Shopping Mall Web Sites and Its Effects on Purchase Intention. Korea Business Review, 29(3), 353-376. 

  30. Y. R. Kim. (2011). The Study on the factors that affect purchase motivation of Social Commerce. Seoul, Korea: Thesis for Doctorate in Ewha Womans University. 

  31. J. W. Kim. (2000). Influences of Shopping Value, Store Attributes, and Task Situation on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Focusing on Consumers' Affect Experienced In-Store. Seoul, Korea: Thesis for Master's in Korea Universitym. 

  32. R. J. Markin, C. M. Lillis & C. L. Narayana. (1976). Social-psychological significance of store space. Journal of Retailing, 52(1), 43-54. 

  33. S. J. Park, J. W. Han & M. S. Kim. (2012). The Impact of Golf Apparel Consumers' Shopping Value on Store Loyalty: The Moderating Role of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and a Store Type.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1(4), 197-210. 

  34. M. B. Holbrook & E. C. Hirschman. (1982). The experiential aspects of consumption: Consumer fantasies, feelings, and fu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9(22), 132-140. 

  35. E. J. Lee & B. S. Hong. (2006). The Effect of Flow Experience and Perceived Utilitarian Value of Internet Shopping on Purchase Intention of the Fashion Merchandi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0(8), 1188-1198. 

  36. J. F. Engel, R. D. Blackwell & P. W. Miniard. (1995). Consumer behavior 8th. New York: Dryder. 

  37. B. S. Hong, E. J. Lee & H. Y. Ma. (2009). The Effect of Merchandise Characteristics of Internet Fashion Shopping Malls on the Shopping Values, Purchas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f Female Consum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11), 1828-1838. 

  38. C. Park. (2000). The Internet Navigation Value and Interneet Shopping Behavior. Korea Marketing Review, 15(1), 143-162. 

  39. S. Dawson, P. H. Bloch & N. M. Ridgway. (1990). Shopping motives, emotional states, and retail outcomes. Journal of retailing, 66(4), 408-428. 

  40. T. L. Childers, C. L. Carr, J. Peck & S. Carson. (2002). Hedonic and utilitarian motivations for online retail shopping behavior. Journal of retailing, 77(4), 511-535. 

  41. J. W. Overby & E. J. Lee. (2006). The effects of utilitarian and hedonic online shopping value on consumer preference and intention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9(10), 1160-1166. 

  42. W. Boulding, A. Kalra, R. Staelin & V. A. Zeithaml. (1993). A dynamic process model of service quality: from expectations to behavioral inten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0(1), 7-27. 

  43. D. A. Aaker, J. G. Myers. & R. Batra. (1992). Advertising management,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44. B. J. Babin, W. R. Darden & M. Griffin. (1994). Work and/or fun: measuring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0(4), 644-656. 

  45. M. J. Noh & H. Y. Kim. (2007). An Study on the Influence of Mobile Characteristics on the Mobile Service Adoption. Management Education Review, 48, 125-150. 

  46. T. M. Lee. (2004). The Effects of Components of Interactivity on Customer Relationship Building and Purchase Intentions in Mobile Environments. Korea Marketing Review, 19(1), 61-96. 

  47. R. Kalakota, M. Robinson & D. R. Kalakota. (2002). M-business: The race to mobility (pp. 3-4). New York, NY: McGraw-Hill. 

  48. J. W. Kim. (2000). Influences of shopping value, store attributes, and task situation on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Focusing on Consumers' Affect Experienced In-Store. Seoul, Korea: Thesis for Doctorate in Ewha Womans University. 

  49. P. H. Bloch & G. D. Bruce. (1984). Product involvement as leisure behavior. NA-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1, 197-2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