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천식 아동 및 청소년에서 원격모니터링 중재의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Effectiveness of Telemonitoring Interven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sthm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8 no.4, 2018년, pp.389 - 406  

정유진 (한국보건의료연구원) ,  김지민 (한국보건의료연구원) ,  박동아 (한국보건의료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review ai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elemonitoring (TM) in the manage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sthma. Methods: We searched Ovid-MEDLINE, Ovid-EMBASE, CENTRAL (Cochrane Central Register of Controlled Trials), CINAHL (Cumulative Index to Nursing and Allied Health 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아동 및 청소년 천식 환자에 초점을 맞춰 원격모니터링 중재의 효과를 평가한 첫 번째 연구이며, 원격모니터링 중재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통해 ICT 기술과 접목되어 환자정보가 전송되고 이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질환 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원격모니터링 중재법에 초점을 맞추어 임상 효과를 평가하였다. 둘째, 선행 체계적 문헌고찰이 원격의료 또는 원격모니터링 중재의 효과 평가에 초점을 두었던 반면에 본 연구는 최신의 근거자료를 기반으로 다양한 형태의 원격모니터링 중재의 상세내용을 구체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추후 원격모니터링을 활용한 중재방안 및 중재연구의 방향을 계획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더불어, 질환 관리에 있어 원격모니터링 중재는 상당 부분 간호사의 참여가 요구되는데, 본 연구에 포함된 일차연구들 중 모니터링한 환자 정보의 검토 및 중재자로 간호사가 원격모니터링 중재에 직접적으로 참여한 연구는 절반 정도에 해당하였고, 그 외에도 원격모니터링과 연계하여 제공되는 자가관리 교육 내용의 개발 등 직·간접적으로 원격모니터링 중재의 개발, 관리, 조정에 있어 간호사의 역할이 중요한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는 아동 및 청소년 천식 환자에게 시행한 원격모니터링 중재의 임상적 효과를 검증한 무작위배정 비교임상연구(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본 연구는 코크란 연합(Cochrane collaboration)의 중재법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핸드북[18] 및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그룹이 제시한 체계적 문헌고찰 보고지침[19]에 따라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원격모니터링 중재연구 중 아동 및 청소년 천식 환자 대상의 원격모니터링 중재의 효과를 확인하고, 중재의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검토에 포함된 무작위배정 비교임상연구는 총 8편으로, 천식 조절, 천식 악화, 입원, 응급실 방문, 천식 관련 삶의 질, 폐기능 검사 결과에 대한 메타분석 결과, 원격모니터링 중재와 통상적 관리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 본 연구에서는 선택연구들의 중재결과 중 약물 순응도 및 중재 순응도에 대한 메타분석이 불가능하여 질적 검토를 수행하였다. Wiecha 등[29]의 연구에서 기저시점에 조절제 사용 순응도가 낮았던 고위험군 환자에서 원격모니터링 중재 적용 전-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천식 아동 및 청소년에서 시행되는 원격 모니터링 중재의 효과에 대해 평가하고자 기존 출판된 문헌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였다. 국내·외 주요 전자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총 3,095건(국내 120, 국외 2,975)을 검색하였으며, 중복 검색된 문헌은 EndNote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제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천식 아동 및 청소년을 관리하는데 있어 적용되고 있는 원격모니터링 중재의 방법을 확인하고, 그 효과를 통합하기 위하여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체계적 문헌고찰에 포함된 연구는 2002년 이후 보고된 RCT 연구 총 8편(문헌 9건)으로 연구 대상자수는 총 855명(중재군 442명, 대조군 413명)이며, 대부분의 연구는 천식 중증도의 제한 없이 경증부터 중증의 환자를 모두 포함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 및 청소년 천식 환자에서 증상 조절을 위해 적용한 원격모니터링 중재의 임상적 효과를 보고한 국내·외 논문들을 대상으로 증상 조절, 천식 악화, 삶의 질 등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 원격모니터링 중재의 세부적인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다.
  • 더불어, 질환 관리에 있어 원격모니터링 중재는 상당 부분 간호사의 참여가 요구되는데, 본 연구에 포함된 일차연구들 중 모니터링한 환자 정보의 검토 및 중재자로 간호사가 원격모니터링 중재에 직접적으로 참여한 연구는 절반 정도에 해당하였고, 그 외에도 원격모니터링과 연계하여 제공되는 자가관리 교육 내용의 개발 등 직·간접적으로 원격모니터링 중재의 개발, 관리, 조정에 있어 간호사의 역할이 중요한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연구를 기반으로 추후 효과적인 중재 개발의 기초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 이처럼 최근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원격의료 중재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만성질환의 영역에서 다수 보고되고 있으나, 천식 아동 및 청소년의 효과적인 자가관리의 핵심적인 요소로서 원격모니터링 중재 효과에 초점을 맞춘 체계적 문헌고찰은 미비한 실정이며[16], 스마트 흡입기(smart inhaler)와 같은 최신의 기술이 천식 환자 관리에 적용되는 등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상황에서[17] 최신의 근거에 대한 종합적 분석이 필요하리라 본다. 이에 본 체계적 문헌고찰에서는 아동 및 청소년 천식 환자에서 적용한 원격모니터링 중재의 세부적 내용 및 임상적 효과를 면밀히 분석하여, 근거기반 실무에 효과적인 중재 방안 및 중재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둘째, 결과변수 측면에서 문헌마다 보고하고 있는 지표의 종류 및 보고 형식이 매우 다양하여 통합분석 결과를 제시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천식 악화의 경우, 문헌에서 악화를 정의하고 있는 경우와 그 외 결과변수로 보고하는 경우 등으로 다양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를 조작적으로 정의하여 문헌 간 변수 정의의 차이를 최소화하고자 하였으나 여전히 이질적인 특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추후 임상시험 연구에서는 동 영역에서의 주요 결과 지표 및 보고 형식에 대한 합일을 이루는 것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기의 천식의 특징은 무엇인가? 천식은 전 세계적으로 3억 명 정도가 이환되어 있는 주요 만성질환으로 특히 아동기에 가장 흔한 만성질환이다[1,2]. 아동기의 천식은 정확한 치료 및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불가역적인 기도 변형이 초래되어 성인기로 이행되는 위험이 있으며[3], 조절되지 않는 천식은 아동 자신은 물론 가족의 삶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고, 천식 악화, 입원 및 사망과 같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어 신체적, 심리적, 사회∙ 경제적 부담을 초래하게 된다[4].
코크란 연합의 ‘Cochrane’s risk of bias’ 도구를 사용한 비뚤림 위험 평가 영역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 문헌의 비뚤림 위험은 코크란 연합의 ‘Cochrane’s risk of bias’ 도구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이는 RCT에 대한 비뚤림 위험 평가 방법으로 ‘무작위 배정순서 생성’, ‘배정순서 은폐’, ‘연구참여자와 연구자 눈가림’, ‘결과 평가자의 눈가림’, ‘불충분한 결과자료’, ‘선택적 결과 보고’, ‘타당도를 위협하는 다른 잠재적 비뚤림 위험’의 7가지 영역을 평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평가 결과 비뚤림의 위험이 낮음(low), 높음(high), 불확실(unclear)로 평가하게 된다[20]. 본 연구에서는 타당도를 위협하는 다른 잠재적 비뚤림 위험으로 ‘기저 특성 불균형’ 및 ‘민간연구비 지원’을 고려하여 8가지 영역으로 비뚤림 위험을 평가하였다.
원격의료란 무엇인가? 최근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의 발달로 인해 이를 의료분야에 적용한 원격의료(telehealth)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많은 국가들에서 각국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원격의료 서비스를 적용하고 있다. 원격의료는 환자의 건강 향상을 위해 ICT를 사용하여 어떤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전달된 의료정보를 활용하는 것이라고 정의되어 있다[8]. 원격의료 서비스의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들이 다수 보고되고 있으며, 당뇨, 심부전 등의 만성질환에서의 원격의료 서비스의 효과는 상당히 입증된 것으로 확인되며, 호흡기질환, 정신질환 등으로 중재의 적용영역이 확장되고 있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Global Initiative for Asthma (GINA). Global Strategy for Asthma Management and Prevention [Internet]. c2016 [cited 2016 Oct 12]. Available from: https://ginasthma.org/wp-content/uploads/2016/04/wms-GINA-2016-main-report-final.pdf. 

  2.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Asthma Fact sheet No. 307 [Internet]. Geneva: WHO; c2017 [cited 2018 Jan 17]. Available from: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307/en/. 

  3. Fuchs O, Bahmer T, Rabe KF, von Mutius E. Asthma transition from childhood into adulthood. The Lancet Respiratory Medicine. 2017;5(3):224-234. https://doi.org/10.1016/S2213-2600(16)30187-4 

  4. Dean BB, Calimlim BC, Sacco P, Aguilar D, Maykut R, Tinkelman D. Uncontrolled asthma: Assessing quality of life and productivity of children and their caregivers using a cross-sectional Internet-based survey.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2010;8:96. https://doi.org/10.1186/1477-7525-8-96 

  5.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SIGN). British guideline on the management of asthma [Internet]. Edinburgh: SIGN; c2016 [cited 2018 Jan 25]. Available from: http://www.sign.ac.uk/sign-153-british-guideline-on-the-managementof-asthma.html. 

  6. The Korean Academy of Asthma,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Allergy and Respiratory Disease, National Strategic Coordination Center for Clinical Research. Korean Guideline for Asthma [Internet]. [place unknown: publisher unknown]; c2015 [cited 2016 Oct 12]. Available from: http://www.allergy.or.kr/file/150527_01.pdf. 

  7. Pinnock H, Slack R, Pagliari C, Price D, Sheikh A. Understanding the potential role of mobile phone-based monitoring on asthma self-management: Qualitative study. Clinical and Experimental Allergy. 2007;37(5):794-802. https://doi.org/10.1111/j.1365-2222.2007.02708.x 

  8. Tuckson RV, Edmunds M, Hodgkins ML. Telehealth.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17;377(16):1585-1592. https://doi.org/10.1056/NEJMsr1503323 

  9. Flodgren G, Rachas A, Farmer AJ, Inzitari M, Shepperd S. Interactive telemedicine: Effects on professional practice and health care outcomes.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5;(9):CD002098. https://doi.org/10.1002/14651858.CD002098.pub2 

  10. de Jongh T, Gurol-Urganci I, Vodopivec-Jamsek V, Car J, Atun R. Mobile phone messaging for facilitating self-management of long-term illnesses.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2;12:CD007459. https://doi.org/10.1002/14651858.CD007459.pub2 

  11. Pare G, Moqadem K, Pineau G, St-Hilaire C. Clinical effects of home telemonitoring in the context of diabetes, asthma, heart failure and hypertension: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2010;12(2):e21. https://doi.org/10.2196/jmir.1357 

  12. Zhao J, Zhai YK, Zhu WJ, Sun DX. Effectiveness of telemedicine for controlling asthma symptom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Telemedicine Journal and e-Health. 2015;21(6):484-492. https://doi.org/10.1089/tmj.2014.0119 

  13. Marcano Belisario JS, Huckvale K, Greenfield G, Car J, Gunn LH. Smartphone and tablet self management apps for asthma.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3;(11): CD010013. https://doi.org/10.1002/14651858.CD010013.pub2 

  14. McLean S, Chandler D, Nurmatov U, Liu J, Pagliari C, Car J, et al. Telehealthcare for asthma.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0;(10):CD007717. https://doi.org/10.1002/14651858.CD007717.pub2 

  15. Kew KM, Cates CJ. Home telemonitoring and remote feedback between clinic visits for asthma.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6;(8):CD011714. https://doi.org/10.1002/14651858.CD011714.pub2 

  16. Pijnenburg MW, Baraldi E, Brand PL, Carlsen KH, Eber E, Frischer T, et al. Monitoring asthma in children. European Respiratory Journal. 2015;45(4):906-925. https://doi.org/10.1183/09031936.00088814 

  17. Clift J. Connected asthma: How technology will transform care. Asthma UK Report. London: Asthma UK; 2016. 

  18. Higgins JPT, Green S.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Chichester: John Wiley & Sons; 2011. 

  19. Moher D, Liberati A, Tetzlaff J, Altman DG.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PRISMA statement.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2009; 62(10):1006-1012. https://doi.org/10.1016/j.jclinepi.2009.06.005 

  20. Kim SY, Park JE, Seo HJ, Lee YJ, Jang BH, Son HJ, et al. NECA's guidance for undertak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for intervention. Seoul: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2011. p. 65-91. 

  21. Cochrane Collaboration. Review Manager (RevMan) [Computer Program]. Version 5.3. Copenhagen: The Nordic Cochrane Centre; 2014. Available from: https://community.cochrane.org/help/tools-and-software/revman-5. 

  22. Guendelman S, Meade K, Benson M, Chen YQ, Samuels S. Improving asthma outcomes and self-management behaviors of inner-city children: A randomized trial of the Health Buddy interactive device and an asthma diary. Archives of Pediatrics and Adolescent Medicine. 2002;156(2):114-120. https://doi.org/10.1001/archpedi.156.2.114 

  23. Guendelman S, Meade K, Chen YQ, Benson M. Asthma control and hospitalizations among inner-city children: Results of a randomized trial. Telemedicine Journal and e-Health. 2004;10 Suppl 2:S-6-14. 

  24. Deschildre A, Beghin L, Salleron J, Iliescu C, Thumerelle C, Santos C, et al. Home telemonitoring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 in children with severe asthma does not reduce exacerbations. European Respiratory Journal. 2012;39(2):290-296. https://doi.org/10.1183/09031936.00185310 

  25. Rikkers­Mutsaerts ERVM, Winters AE, Bakker MJ, van Stel HF, van der Meer V, de Jongste JC, et al. Internet­based self ­management compared with usual care in adolescents with asthma: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ediatric Pulmonology. 2012;47(12):1170-1179. https://doi.org/10.1002/ppul.22575 

  26. Voorend-van Bergen S, Vaessen-Verberne AA, Brackel HJ, Landstra AM, van den Berg NJ, Hop WC, et al. Monitoring strategies in children with asthma: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Thorax. 2015;70(6):543-550. https://doi.org/10.1136/thoraxjnl-2014-206161 

  27. Jacobson JS, Lieblein A, Fierman AH, Fishkin ER, Hutchinson VE, Rodriguez L, et al. Randomized trial of an electronic asthma monitoring system among New York City children. American Journal of Managed Care. 2009;15(11):809-814. 

  28. Chan DS, Callahan CW, Hatch-Pigott VB, Lawless A, Proffitt HL, Manning NE, et al. Internet-based home monitoring and education of children with asthma is comparable to ideal office-based care: Results of a 1-year asthma in-home monitoring trial. Pediatrics. 2007;119(3):569-578. https://doi.org/10.1542/peds.2006-1884 

  29. Wiecha JM, Adams WG, Rybin D, Rizzodepaoli M, Keller J, Clay JM. Evaluation of a web-based asthma self-management system: A randomised controlled pilot trial. BMC Pulmonary Medicine. 2015;15:17. https://doi.org/10.1186/s12890-015-0007-1 

  30. Jan RL, Wang JY, Huang MC, Tseng SM, Su HJ, Liu LF. An internet-based interactive telemonitoring system for improving childhood asthma outcomes in Taiwan. Telemedicine Journal and e-Health. 2007;13(3):257-268. https://doi.org/10.1089/tmj.2006.00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