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이용시간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Smartphone Using Time among Korean Adolescents

가정간호학회지, v.25 no.2, 2018년, pp.197 - 208  

이인숙 (한남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martphone using time, troubles with smartphone usage, and related factors in Korean adolescent smartphone users.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54,603 subjects aged 13 to 18 years in the 2017 13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Results: The study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심리, 정서적으로 변화가 급격한 청소년들에게 스마트폰 이용시간 및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갈등을 파악하고, 특히 스트레스, 행복감, 우울감과 같은 정서적 상태가 스마트폰 이용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특히 스마트폰 과의존이 청소년의 성장발달을 저해시킬 수 있음을 예측할 때 건전하고 건강한 스마트폰 사용을 통해 스마트폰의 긍정적 순기능은 강화하고, 청소년의 건강한 신체, 정서적 발달을 도모할 수 있는 간호학적 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한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 관련 특성을 살펴보고, 스마트폰 이용시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하며,이에 따른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 관련 특성을 살펴보고, 스마트폰 이용시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제13차(2017년)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 조사 통계자료를 이용한 2차 자료 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 관련 특성을 살펴보고, 스마트폰 이용시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2017년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 조사 통계자료를 이용한 2차자료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 대상자의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가족, 친구, 학업에서의 갈등은 학교, 학업성취도, 거주형태, 일주일 평균용돈, 고민상담자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자료의 대표성이 높은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 조사에 2017년부터 추가된 항목인 스마트폰 중독 관련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 관련 특성을 살펴보고, 스마트폰 이용시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결과를 도출해 냈다는 점에 의의를 둔다. 그러나 본 연구는 2차 자료분석 연구로서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 관련 특성을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가족 간의 갈등, 친구 혹은 선후배간의 갈등 및 학업 갈등 및 주중, 주말 하루 평균 스마트폰 이용시간만으로 측정하여 결과를 해석하였으므로 스마트폰 과의존여부나 연구결과에 대한 해석에는 신중할 필요가 있겠다.
  • 청소년은 카메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및 엔터테인먼트의기능으로 스마트 폰을 이용하는데, 스마트폰의 활용 범위는 스마트폰 이용 시간을 늘리고 습관적 의존으로 나타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제 13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 특성 차이와 이용시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심리, 정서적으로 변화가 급격한 청소년들에게 스마트폰 이용시간 및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갈등을 파악하고, 특히 스트레스, 행복감, 우울감과 같은 정서적 상태가 스마트폰 이용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특히 스마트폰 과의존이 청소년의 성장발달을 저해시킬 수 있음을 예측할 때 건전하고 건강한 스마트폰 사용을 통해 스마트폰의 긍정적 순기능은 강화하고, 청소년의 건강한 신체, 정서적 발달을 도모할 수 있는 간호학적 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폰 과의존이란 무엇인가? 6%)의국민들이 스마트폰으로 언제 어디서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해짐에 따라 스마트폰 과의존이 심화되는 양상도 보이고 있다[2]. 스마트폰 과의존이란 ‘과도한 스마트폰 이용으로 스마트폰에 대한 현저성이 증가하고, 이용 조절력이 감소하여 문제적 결과를 경험하는 상태’로 조절실패, 현저성, 문제적 결과 세 가지 요인으로 구성되며, 스마트폰 중독 고위험군과 잠재적 위험군을 포함한다[2].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은 매년 상승 추세에 있으며, 특히 30.
청소년들이 스마트폰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경우에 어떠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가? 적절한 스트레스 해소공간, 방법, 시간이 부족한 우리나라의 입시위주 교육 하에서 청소년들은 쉽게 선택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있다[6]. 이 경우 행동에 대한 통제력이 낮은 청소년은 가상세계에 빠져들고 학업성취도가 하락하는 등 일상생활에서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크다[6]. 특히 청소년들은 성인에 비해 조절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스마트폰 과의존혹은 중독의 위험도 높아질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청소년들이 변화 적응에 어려움을 겪을 경우 어떠한 현상이 나타나는가? 청소년기는 신체적, 심리적, 정서적 발달이 동시에 급격하게 일어나는 시기로, 가정과 학교에서의 새로운 역할 변화와 사회적 기대에 효과적으로 부응하고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되고, 적응에 어려움을 겪을 경우 갈등, 긴장, 스트레스 등의 불안정한 심리상태를 경험하게 되며, 이로 인해 무언가에 몰입하게 되는 현상이 나타난다[5]. 적절한 스트레스 해소공간, 방법, 시간이 부족한 우리나라의 입시위주 교육 하에서 청소년들은 쉽게 선택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Norris P. Digital divide: Civic engagement, information poverty, and the Internet worldwid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2. The survey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2017. Gyeonggi-do & Daegu City: Ministry of Science and ICT &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7 December. Report No.: NIA V-RER-C-17042. 

  3. Hwang HS, Sohn SH, Choi YJ. Exploring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addiction - characteristics of users and functional attributes.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2011;25(2):277-313. 

  4. Ahn HJ, Park G, Lee HY.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usage monitoring and regulation application for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smartphone addiction for teenag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2013;26(2):99-106. 

  5. Yoon YS. Middle school student's use of smartphone and spirit correlation of health: Eastern education support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focusing on the school in Cheong-in. [master's thesis]. Incheon: Inha University; 2013. 

  6. Kim DH, Park YJ, Jang JW. The study on effect of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related to academic stress.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2017;37:67-89. 

  7. Samaha M, Hawi NS. Relationships among smartphone addiction, stress, academic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with lif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016;57:321-325. https://doi.org/10.1016/j.chb.2015.12.045. 

  8. No UK. Meta-analysis about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and mental health.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2018;66:141-168. 

  9. Hwang KH, Yoo YS, Cho OH. Smartphone overuse and upper extremity pain, anxiety,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2;12(10):365-75. 

  10. Yang IY, Lee SY. Exploring smartphone early adopters categories on the basis of motivation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2011;55(1):110-39. 

  11. Kim NS, Lee KE. Effects of self-control and life stress on smart phone addiction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2012;37(2):72-83. 

  12. Cho GY, Kim YH.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4;15(3):1632-1640. https://doi.org/10.5762/kais.2014.15.3.1632. 

  13. Park MJ, Oh JH, Shin SM.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martphone addi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14;19(4):1185-1202. https://doi.org/10.17315/kjhp.2014.19.4.016. 

  14. Park H, Choi E. Smartphone addiction and depressi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resilienc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7;28(3):280-90. https://doi.org/10.12799/jkachn.2017.28.3.280 

  15. Suk MS, Ku YG. The effects of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factors on smart-phone addiction of adolescents. Journal of Youth Welfare. 2016;18(1):53-77. 

  16. Jeong M.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factors associated with smartphone addiction amongst middle school students: With a focus on the ecological perspective. Studies on Korean Youth. 2015;26(3):103-31. https://doi.org/10.14816/sky.2015.26.3.103. 

  17. Jun DS, Kim DW. The effects of smart phone addiction on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and adults?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support.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2015;31(3):159-181. https://doi.org/10.18859/ssrr.2015.08.31.3.159. 

  18. Kim BN, Ko EJ, Choi HI.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addiction in university students: A focus on differences in classifying risk groups. Studies on Korean Youth. 2013;24(3):67-98. 

  19. Lee E, Eo J. The Effects of Perceived Stress and Impulsivity of High School Students as well as the Parents' Parenting Attitude on Smartphone Addiction. Family and Family Therapy. 2015;23(1):1-22. https://doi.org/10.21479/kaft.2015.23.1.1. 

  20. Wheaton B, Montazer S. Stressors, stress, and distress. In: Teresa LS, Tomy NB. A handbook for the study of mental health: Social contexts, theories, and systems. 2nd ed.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p. 171-199. 

  21. Wilburn VR, Smith DE. Stress, self-esteem, and suicidal ideation in late adolescents. Adolescence. 2005;40:157 

  22. Oh HS, Choi IJ, Youm YS, Kim SG. A study on the survey of young people 's happy community indicators and projects v: analysis of survey on community indicators of happy youth and operation of pilot project and development of happy village specialized model. Seoul: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17 December. Report NO. : 17-R11. 

  23. Jeon HS, Jang SO. A study on the influence of depression and stress on smartphone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focused on moderating effect of gender.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4;21(8):103-29. 

  24. Go JR. The relationship of adolescents' academic stress, mental health, addiction to smartphone and suicidal ideation: moderation effects of ego-resilience and family health. [dissertation], Seoul. Seoul Venture University; 2015. p. 1-223 

  25. Lee HC, Hong MH, Oh CK, Shim SH, Jun YJ, Lee SB et al. Smart-phone addiction, depression/anxiety, and self-esteem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Korean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2015;26(3):159-64. https://doi.org/10. 5765/jkacap.2015.26.3.159 

  26. 2017 Survey on Damage of Content Use. Naju City, Jeollanam-do: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2017 December. Report NO.: KOCCA 17-41. 

  27. Jeing WC, Park SS.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ggression and smartphone addiction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Welfare for The Correction. 2015;38:219-242. 

  28. 2017 Survey on the Internet usage. Naju City, Jeollanam-do: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018 March. Report No.: 120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