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을 위한 전문직 간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Interprofessional Education Programs for Nursing Students: A Systematic Review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4 no.3, 2018년, pp.235 - 249  

박하영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  조진영 (숙명여자대학교 특수대학원 교육공학과) ,  추상희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김모임간호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interprofessional education has been designed, implemented, and evaluated in undergraduate programs in nursing through a systematic review. Methods: The literature was searched using the PubMed, CINAHL, EMBASE, and Cochrane central databas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제는 간호교육에서도 임상에서 강조되는 전문직 정체성 및 팀워크와 협업, 의사소통 능력을 개발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이 포함된 전문직 간 교육프로그램의 전반적인 특성을 분석하여, 향후 체계화된 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이 포함된 전문직 간 교육프로그램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향후 간호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전문직 간 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이 포함된 전문직 간 교육활동 및 교육프로그램을 분석하기 위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본연구의 설계방식은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의 체계적 문헌고찰 매뉴얼(Kim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문직 간 교육의 장점은 무엇인가? 전문직 간 교육(interprofessional education)은 “둘 혹은 그 이상의 전문가들이 함께 배우고, 상대방으로부터 배우고, 그리고 서로에 대하여 배우는 과정”을 의미한다(Centre for the Advancement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 2002). 그러므로 다른 교육 배경을 가진 둘 이상의 보건의료 전문가들 사이의 장벽과 갈등을 제거하고, 모든 직업에 대한 올바른 가치와 태도를 함양시키므로 양질의 환자중심 돌봄(patient centered care)을 촉진시킨다는 장점이 있다(World Health Organization,1988). 또한 전문직 간 교육이 임상에서 실제 서로의 역할을 잘 이해하며, 팀워크, 의사소통 및 협업역량을 극대화 시킨다는 연구 결과들이 지속적으로 보고됨에 따라(D’amour &Oandasan, 2005), 유럽을 비롯한 캐나다, 호주, 미국 등의 국가에서는 면허취득 전 단계부터 정부와 각 학교 차원에서 전문직 간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Hammick, Freeth, Koppel, Reeves, & Barr, 2007).
간호교육에서 전문직 간 교육이 특히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간호교육에서도 환자간호에 대한 효율적인 접근과 환자중심 돌봄이라는 공동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다른 전문가들과 협업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한 간호교육의 혁신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Captuti, 2016). 특히 간호사는 모든 보건의료 전문가 및 환자와의 관계에 있어 매개체 역할을 하므로 원활하고 정확한 의사소통을 위한 협업역량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Kim et al., 2012).
전문직 간 교육이란 무엇인가? 전문직 간 교육(interprofessional education)은 “둘 혹은 그 이상의 전문가들이 함께 배우고, 상대방으로부터 배우고, 그리고 서로에 대하여 배우는 과정”을 의미한다(Centre for the Advancement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 2002). 그러므로 다른 교육 배경을 가진 둘 이상의 보건의료 전문가들 사이의 장벽과 갈등을 제거하고, 모든 직업에 대한 올바른 가치와 태도를 함양시키므로 양질의 환자중심 돌봄(patient centered care)을 촉진시킨다는 장점이 있다(World Health Organization,198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rr, J., Bull, R., & Rooney, K. (2015). Developing a patient focussed professional identity: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of medical students' encounters with patient partnership in learning. Advances in Health Sciences Education, 20(2), 325-338. 

  2. Bench, S., Day, T., & Metcalfe, A. (2013).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An introduction for nurse researchers. Nurse Researcher, 20(5), 38-44. 

  3. Caputi L. (2016). Innovations in nursing education: Building the future of nursing (1st ed). United States: National League for Nursing. 

  4. Centre for the advancement in interprofessional education. (2002). Interprofessional education - A definition. Retreived from http://www.caipe.org. 

  5. D'amour, D., & Oandasan, I. (2005). Interprofessionality as the field of interprofessional practice and interprofessional education: An emerging concept. Journal of Interprofessional Care, 19(1), 8-20. 

  6. Green, C. (2014). The making of the interprofessional arena in the United Kingdom: A social and political history. Journal of Interprofessional Care, 28(2), 116-122. 

  7. Hallin, K., Kiessling, A., Waldner, A., & Henriksson, P. (2009). Active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n a patient based setting increases perceived collaborative and professional compet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 in the Health Science, 31(2), 151-157. 

  8. Hammick, M., Freeth, D., Koppel, I., Reeves, S., & Barr, H. (2007). A best evidence systematic review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 BEME Guide no. 9.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 in the Health Science, 29(8), 735-751. 

  9. Han, H. Y. (2017).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n medical education: Can we break the silos?.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19(1), 1-9. 

  10. Hwang, J. I., Yoon, T. Y., Jin, H. J., Park, Y., Park, J. Y., & Lee, B. J. (2016). Patient safety competence for final-year health professional students: Perceptions of effectiveness of an interprofessional education course. Journal of Interprofessional Care, 30(6), 732-738. 

  11. Kim, K. H., Hwang, E. H., & Shin, S. J. (2017).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n nursing education.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19(1), 18-24. 

  12. Kim, K. J., Han, J. S., Seo, M. S., Jang, B. H., Park, M. M., Ham, H. M., et al. (2012). Relationship between intra-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safety attitude o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8(2), 213-221. 

  13. Kim, S. Y., Park, J. E., Lee, Y. J., Seo, H. J., Sheen, S. S., Hahn, S., et al. (2013). Testing a tool for assessing the risk of bias for nonrandomized studies showed moderate reliability and promising validity.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66(4), 408-414. 

  14. Kim, S. Y., Park, J. E., Seo, H. J., Lee, Y. J., Jang, B. H., Son, H. J., et al. (2011). NECA's guidance for undertak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for intervention. Seoul: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15. Klugman, C. M., Peel, J., & Beckmann-Mendez, D. (2011). Art rounds: Teaching interprofessional students visual thinking strategies at one school. Academic Medicine, 86(10), 1266-1271. 

  16. Lee, Y. H., Ahn, D., Moon, J., & Han, K. (2014). Perception of interprofessional conflicts and interprofessional education by doctors and nurses.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26(4), 257-264. 

  17. Luctkar-Flude, M., Baker, C., Pulling, C., Mcgraw, R., Dagnone, D., Medves, J., et al. (2010). Evaluating an undergraduate interprofessional simulation-based educational module: Communication, teamwork, and confidence performing cardiac resuscitation skills. Advances in Medical Education and Practice, 1, 59. 

  18. Martin, J. S., Ummenhofer, W., Manser, T., & Spirig, R. (2010).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among nurses and physicians: Making a difference in patient outcome. The European Journal of Medical Science, 140, w13062. 

  19. McGettigan, P., & McKendree, J. (2015). Interprofessional training for final year healthcare students: A mixed methods evaluation of the impact on ward staff and students of a two-week placement and of factors affecting sustainability. BMC Medical Education, 15(1), 185. 

  20. Mohaupt, J., van Soeren, M., Andrusyszyn, M. A., MacMillan, K., Devlin-Cop, S., & Reeves, S. (2012). Understanding interprofessional relationships by the use of contact theory. Journal of Interprofessional Care, 26(5), 370-375. 

  21. Moher, D., Liberati, A., Tetzlaff, J., & Altman, D. G. (2009).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PRISMA statement.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51(4), 264-269. 

  22. Nagelkerk, J., Peterson, T., Pawl, B. L., Teman, S., Anyangu, A. C., Mlynarczyk, S., et al. (2014). Patient safety culture transformation in a children's hospital: An interprofessional approach. Journal of Interprofessional Care, 28(4), 358-364. 

  23. Paige, J. T., Garbee, D. D., Kozmenko, V., Yu, Q., Kozmenko, L., Yang, T., et al. (2014). Getting a head start: High-fidelity, simulation-based operating room team training of interprofessional students.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Surgeons, 218(1), 140-149. 

  24. Interprofessional education collaborative expert panel. (2011). Core competencies for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ve practice: Report of an expert panel. Washington, DC: Interprofessional Education Collaborative. 

  25. Parsell, G., & Bligh, J. (1999). The development of a questionnaire to assess the readiness of health care students for interprofessional learning (RIPLS). Medical Education, 33(2), 95-100. 

  26. Phillips, C. B., Hall, S., & Irving, M. (2016). Impact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 about psychological and medical comorbidities on practitioners' knowledge and collaborative practice: Mixed method evaluation of a national program.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16(1), 465-474. 

  27. Vazirani, S., Hays, R. D., Shapiro, M. F., & Cowan, M. (2005). Effect of a multidisciplinary intervention on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among physicians and nurse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4(1), 71-77. 

  28. Whelan, J. J., Spencer, J. F., & Rooney, K. (2008). A 'RIPPER' project: Advancing rural inter-professional health education at the university of Tasmania. Rural and Remote Health, 8(1017), 1-9. 

  29. World Health Organization. (1988). Learning together to work together for health. Report of a WHO study group on multiprofessional education for health personnel: The Team Approach. World Health Organization Technical Report Series, 769, 1-72. 

  30. Yoon, B. J., & Lee, J. H. (2010). A review study on interprofessional college education in health care sector,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11(1), 149-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