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주요 재배 매실 품종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Major Cultivars Prunus mume in Korea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6 no.3, 2018년, pp.477 - 488  

서호진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연구소) ,  임순희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연구소) ,  송장훈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재배 매실 품종의 총 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64.13-93.43mg{\cdot}100g^{-1}$으로 품종 간 함량에 차이가 있었다. 이 중 '앵숙'과 '단아'의 함량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6.16-18.57mg{\cdot}100g^{-1}$으로 총 페놀과 같이 품종 간에 유의적인 함량 차이를 보였다. 이 중 '고성'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남고', '회향실', '장속', '단아', '앵숙'에서 모두 50% 이상 비교적 강하게 나타났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 결과 모든 품종에서 80% 이상으로 전체적으로 높은 소거할성을 보였다. 이 중 '앵숙'이 가장 높은 소거활성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 능력은 모든 품종에서 50% 이상의 높은 소거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는데 이중 '남고'(76.03%), '고성'(70.56%), '양로'(70.32%)에서 70% 이상으로 비교적 높은 소거 활성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mpounds, and the antioxi dant activity of major cultivars of Prunus mume in Korea. The total phenolic content ranged from 64.13 to $93.43mg{\cdot}100g^{-1}$, with the content in 'Osuku' being higher than that in the other cultivar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최근 매실의 기능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대부분 소수 품종만을 대상으로 한 기능성 분석 연구결과만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여러 매실 품종을 대상으로 총 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여 천연 항산화 소재로써의 가치 여부를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활성산소란? 최근 들어서 기후변화와 환경오염, 화학물질, 자외선, 스트레스 등으로 인하여 좋지 않은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가 사람의 몸속에 과잉생산이 되어 산화작용을 일으키고 있다. 활성산소는 불안정한 상태로 세포에 손상을 일으키는 모든 산소를 의미하는데 신체 내에서 발생하는 슈퍼옥사이드 이온(superoxide ion O2-),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H2O2), 수산화 라디칼(hydroxyl radical ․ OH), 일중항산소(singlet oxygen 1O2) 등이 대표적인 활성산소들이다(Atmani et al., 2009).
매실의 특징은? , 1999). 매실은 예로부터 소화불량이나 기침에 효과가 있다고 하였으며, 무기질, 유기산 당분, 칼슘 등의 다양한 영양소가 들어있는 과실로 알려져 있다(Kang et al.,1999).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유해성은? , 2009). 이렇게 생성된 활성산소는 신체 내 단백질 분해, DNA 합성 억제, 세포막 파괴 등 유해한 작용을 일으키고, 생리적 기능을 저하시켜 각종 질병과 노화의 원인이 되고 있다(Bagchi et al.,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tmani, D., N. Chaher, M. Berboucha, K. Ayouni, H.Lounis, H. Boudaoud, N. Debbache, and D. Atmani. 2009. Antioxidant capacity and phenol content of selected Algerian medicinal plants. Food Chem. 112: 303-309. 

  2. Adom, K. K., M. E. Sorrells, and R. H. Liu. 2003. Phytochemical profil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wheat varieties. J. Agric. Food Chem. 51: 7825-7834. 

  3. Bagchi, D., M. Bagchi, S. J. Stohs, D. K. Das, S. D. Ray, C. A. Kuszynski, S. S. Joshi, and H. G. Pruess. 2000. Free radicals and grape seed proanthocyanidin extract: importance in human health and disease prevention. Toxicol. 148: 187-197. 

  4. Bang, H. Y., S. D. Cho, D. M. Kim, and G. H. Kim. 2015. Comparison of antioxidative activities of Fuji Apples parts according to production region. J. Kor. Soc. Food Sci. Nutr. 44: 557-563. 

  5. Brand-Williams, W., M. E. Cuvelier, and C. Berset. 1995. Use of a free 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LWT Food Sci. Technol. 28: 25-30. 

  6. Choi, H. Y. 2009. Antioxidant activity of Curcuma Longa L. novel foodstuff. Mol. Cell. Toxicol. 5: 237-242. 

  7. Choi, J. J., S. H. Yim, J. H. Choi, J. H. Park, S. H. Nam, and H. C. Lee. 2013. Antioxidant activity of Pyrus pyrifolia fruit in different cultivars and parts. Kor. J. Food Preserv. 20: 222-226. 

  8. Chu, Y. H., C. L. Chang, and H. F. Hsu. 2000. Flavonoid content of several vegetable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J. Sci. Food Agri. 80: 561-566. 

  9. Chuda, Y., H. Ono, M. Ohnishi-Kameyama, K. Matsumoto, T. Nagata, and Y. Kikuchi. 1999. Mumefural, citric acid derivative improving blood fluidity from fruit-juice concentrate of Japanese apricot (Prunus mume Sieb. et Zucc). J. Agric. Food Chem. 47: 828-831. 

  10. Chung, M. J., S. H. Lee, and N. J. Sung. 2002. Inhibitory effect of whole strawberries, garlic juice or kale juice on endogenous formation of N-nitrosodimethylamine in humans. Cancer Lett. 182: 1-10. 

  11. Gray, J. I. and L. R. Dugan Jr. 1975. Inhibition of N-nin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s. J. Food Sci. 40: 981-984. 

  12. Han, J. T., S. Y Lee, K. N. Kim, and N. I. Baek. 2001. Rutin, antioxidant compound isolated from the fruit of Prunus mumu.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4: 35-37. 

  13. Hwang, J. Y., J. W. Ham, and S. H. Nam. 2004. The antioxidant activity of maesil (Prunus mume).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461-464. 

  14. Jang, G. H., H. W. Kim, M. K. Lee, S. Y. Jeong, A. Ram Bak, D. J. Lee, and J. B. Kim. 2016. Characterization and quantification of flavonoid glycosides in the prunus genus by UPLC-DAD-QTOF/MS. Saudi J. Biological Sciences (in press). 

  15. Joo, S. Y. 2013. Antioxidant activities of medicinal plant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512-519. 

  16. Kim, E. J., J. Y. Choi, M. Yu, M. Y. Kim, S. Lee, and B. H. Lee. 2012.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natural and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337-342. 

  17. Kim, Y. M., M. S. Choi, J. H. Bae, S. O. Yu, J. Y. Cho, and B. G. Heo. 2009. Physiological activity of bang-a, aster and lettuce greens by the different drying methods. J. Bio-Environ. Control. 18: 60-66. 

  18. Kang, M. Y., Y. H. Jeong, and J. B. Eun. 1999.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flesh and pomace of Japanese apricots (Prunus mume Sieb. et Zucc).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434-1439. 

  19. Kang, Y. H., Y. K. Park, and G. D. Lee. 1996.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232-239. 

  20. Kwon, G. M., J. W. Kim, and K. S. Youn. 2013. Effect of different pre-treatments on the physicochemic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old-vacuum dried peach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466-472. 

  21. Lehua, P., J. B. Forner, F. Hernandeza, and M. A Forner-Giner. 2014. Total phenolics, organic acids, sugar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andarin (Citrus clementina Hort. ex Tan.): Variation from rootstock. Sci. Hort. 174: 60-64. 

  22. Lim, J. A., Y. S. Na, and S. H. Baek. 2004. Antioxidative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ethanol extract from phyllostachys bambusoid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06-310. 

  23. Nho, J. W., I. G. Hwang, E. M. Joung, H. Y. Kim, S. J. Chang, and H. S. Jeong. 2009. Biological activities of Magnolia denudata Desr. flower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478-1484. 

  24. Park, H. J., M. M. Kim, and Y. H. Oh. 2012. Effect of Fruit Extract of Prunus mume on the Scavenging Activity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Melanin Production in B16F1 Cells. J. Life Sci. 22: 936-942. 

  25. Quast, E., I. Vieirai, A. Nogueira, and S. Flavio Luis. 2013. Chemical and physical characterization of mume fruit collected from different locations and at different maturity stages in Sao Paulo State. Food Sci. Technol. 33: 441-445. 

  26. Re, R., N. Pellegrini, A. Proteggente, A. Pannala, M. Yang, and C. Rice-Evans.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27. Rice-Evans, C. A., N. J. Miller, and G. Paganga. 1996. Structure-antioxidant activity relationships of flavonoids and phenolic acid. Free Radical Biol. Med. 20: 933-956. 

  28. Seo, K. S. 2007. Changes of chemical constituents and biological active substances in Prunus mume fruit. PhD thesis, Sunchon National Univ. Sunchon, Korea. 

  29. Seo, K. S., C. K. Huh, and Y. D. Kim. 2008. Comparison of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runus mume fruit in different cultivars. Korean J. Food Soc. Technol 15: 288-292. 

  30. Urquiaga, I. and F. Leighton. 2000. Plant polyphenol antioxidants and oxidative stress. Biol. Res. 33: 55-64. 

  31. Yim, S. H., K. S. Cho., J. H. Choi., J. H. Lee., M. S. Kim, and B. H. N. Lee. 2016. Effect of various pear cultivars at different Fruit development stages on antioxidant and whitening activi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8: 59-6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