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물이끼섬을 포함하는 제주도 오미 습원의 군락생태
A Synecological Description of Ohmi Moor with Sphagnum Islet in Jeju, Korea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51 no.2, 2018년, pp.174 - 183  

김종원 (계명대학교 생명과학과) ,  이경연 (계명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  김윤하 (계명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  엄병철 (계명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도 숨은물벵뒤 습지보호지역 내에는 야생 동물과 탈출 가축을 부양하는 작고 얕은 못, 이른바 오미가 있다. 본 연구는 숨은물벵뒤 오미 식물군락의 다양성과 그 분포를 밝힌다. 오미의 크기는 매우 작지만, 미소서식처 환경조건에 대응하는 여섯 가지 식물사회를 정교하게 기재하였다: 이탄소도-보그식생형의 물이끼류군락, 원수대 부엽식생형의 좀어리연꽃군락, 연안대 정수식생형의 송이고랭이군락과 좀올챙이골군락, 연안대 순간식생형의 바늘골-진땅고추풀군락과 검은곡정초-개수염군락. 이들 식물군락은 수심에 따라 대상분포하였다. 고층습원의 전형요소 물이끼섬이 오미 중앙에 발달하고 있음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밝혀졌다. 오미습원은 '빗물의존 약한 빈영양 환경'을 갖는 하나의 독특한 중간습원으로 숨은물벵뒤 습지보호지역 속에서 높은 자연성을 갖는 핵심서식처로 평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Sumeunmulbaengdui Wetland Protected Area of Jeju Island, there exists a unique pond, a so-called 'Ohmi', which is likely to be an oasis supporting the wildlife and escaped-livestock. We exquisitely described the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plant community of the Ohmi. Despite its small ar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제주도 숨은물벵뒤 습지보호지역 내에는 야생 동물과 탈출 가축을 부양하는 작고 얕은 못, 이른바 오미가 있다. 본 연구는 숨은물벵뒤 오미 식물군락의 다양성과 그 분포를 밝힌다. 오미의 크기는 매우 작지만, 미소서식처 환경조건에 대응하는 여섯 가지 식물사회를 정교하게 기재하였다: 이탄소도-보그식생형의 물이끼류군락, 원수대 부엽식생형의 좀어리연꽃군락, 연안대 정수식생형의 송이고랭이 군락과 좀올챙이골군락, 연안대 순간식생형의 바늘골-진땅 고추풀군락과 검은곡정초-개수염군락.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숨은물벵뒤는 식생지리학적으로 어디에 있는가? 생물지리학적으로 제주도의 5 개 생태권역(Kim and Choi, 2012) 가운데 「한라산생태권역」 (Hallasan ecoregion)에 속한다. 식생지리학적으로 냉온대 남부·저산지대 상부의 하록활엽수림대에 위치한다. 취락지구 또는 인간 우세지역으로부터 멀리 이격된 곳이지만, 목초지(meadow) 또는 방목지(pasture)로 이용되었던 미지형의 변형과 탈출 가축의 배설물이 숨은물벵뒤 습원 곳곳에서 발견된다.
오미는 무엇인가? 제주도 숨은물벵뒤 습지보호구역 내에는 오미라 할 만한 물터가 있다. 오미는 “평지보다 조금 얕은 곳으로 물이 늘 괴어 있는 곳”을 일컫는 우리말 고유 명칭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오미를 움푹 파여 물이 괴어 있는 곳을 의미하는 웅덩이 가운데에서도 그 규모나 크기가 연못에 미치지 못하고, 바닥은 평편하면서 가장자리는 그릇의 전처럼 나지막한 두둑의 쟁반형 구조를 갖는 습생 물풀(水草)이 분포하는 하나의 서식처로 정의하였다.
숨은물벵뒤 오미는 어떤 서식처 특성을 갖는가? , 2015). 숨은물벵뒤 오미는 식물체가 크지 않은 왜소형 초본이 풍부하고, 좁은 면적의 늘 얕은 수공간이란 서식처 특성을 갖는다. 경남의 영남알프스 산정 분지에는 크고 작은 중간습원이 분포하는데, 그 가운데 양산습원에서 오미에 대응될 만한 얕은 수심의 유지(溜池, artificial small reservoir)가 있고, 왜소형 식물사회인 올챙이자리바늘골군집과 이삭귀개-흰개수염군락이 기재된 바 있다(Kim and Han,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Ahn, K.H., Y.K. Lee, J.C. Lim, T.B. Choi, H.S. Cho, J.H. Suh, Y.K. Shin and M.J. Kim. 2016. Wetland Management Plan on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in Hwaeom Wetland.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5(3): 190-208. 

  2. Braun-Blanquet, J. 1932. Plant Sociology: The Study of Plant Communities. Fuller, George D. and Henry S. Conard (trans.). 1st ed. Hafner, New York. 

  3. Choi, G.Y. 2011. Variability of Temperature Lapse Rate with Height and Aspect over Halla Mountain. Journal of Climate Research 6(3): 171-186. 

  4. Choi, K.R. and J.K. Koh. 1989. Studies on Moor Vegetation of Mt. Daeam, East-Central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12(4): 237-244. 

  5. Clymo, R.S. 1973. The Growth of Sphagnum: Some Effects of Environment. Journal of Ecology 61(3): 849-869. 

  6. Clymo, R.S. 1984. Sphagnum-Dominated Peat Bog: A Naturally Acid Ecosystem.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Series B 305: 487-499. 

  7. EPI (Environmental Planning Institute). 1997. Protection Plan for Summit of Mt. Halla. EPI, Seoul. 

  8. Hoshino, T. and T. Masaki. 2011. Illustrated Sedges of Japan. Heibonsha, Tokyo. 

  9. Jeju-do. 1995. Dictionary of the Jeju Language. Jeju-do. s.v. "Baengdui". 

  10. Jeon, Y.M., D.S. Kim, J.S. Ki and J.G. Koh. 2015. A Proposal for Geological Classification of Gotjawal Terrain in Jeju Island and Its Meaning.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1(2): 235-241. 

  11. Kang, S.J. 1970. Ecological Studies of the Raised Bog in the Dae-Am Mountain Adjacent to DMZ in Korea (II) - Relation between Vegetation and Peat. Journal of Plant Biology 13(3): 20-24. 

  12. Kang, S.J. 1988. Peat Structure and Pollen Analysis of High Moor in the Dae-Am Mountain. In: Natural Environmental Survey of the Dae-am mountain. Environment Agency. 

  13. Kang, S.J. and A.K. Kwak. 2000. Study on the Flora and Vegetation of the High Moor in Mt. Daeam. Journal of Wetlands Researh 2(2): 117-131. 

  14. KIGAM (Korean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2017. 1:50,000 Scale Geological Map. KIGAM, Daegeon. https://mgeo.kigam.re.kr (accessed Apr. 22, 2017). 

  15. Kim, J.W. and B.K. Choi. 2012. Discovering the Essence of the Korean Vegetation for Field Excursion. World Science, Seoul. 

  16. Kim, J.W. and S.U. Han. 2005. Moor Vegetation of Mt. Shinbul in Yangs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8(2): 85-92. 

  17. Kim, J.W. and J.H. Kim. 2003. Vegetation of Moojechi Moor in Ulsan: Syntaxonomy and Syndynamics.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6(5): 281-287. 

  18. Kim, J.W. and G.Y. Lee. 2017. Sumeunmulbaengdui. Vegetation. In: Intensive Survey on National Inland Wetlands. National Wetlands Center, Changnyeong, forthcoming. 

  19. Kim, J.W. and Y.K. Lee. 2006.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Plant Communities. World Science, Seoul. 

  20. Kim, M.H., M.S. Han, H.S. Bang, M.P. Jung and Y.E. Na. 2009. Formation of Vegetation in an Inland Wetland, Minarimot, of Jeju Islands, and Its Relationship to Water Environment.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8(4): 365-370. 

  21. Kim, M.H. and K.M. Song. 2012. Sumeunmulbaengdui III. Vegetation, p. 425-448. In: Intensive Survey on National Inland Wetlands. National Wetlands Center, Changnyeong. 

  22. Kim, M.H. and K.M. Song. 2013. 1100 Site III. Vegetation, p. 261-314. In: Intensive Survey on the Wetland Protected Areas. National Wetlands Center, Changnyeong. 

  23. Kim, T.H. 2009. Geomorphic Characteristics of 1100 Highland, and Mulyeongari-Oreum, Wetlands in Jeju Island.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16(4): 35-45. 

  24. KNA (Korea National Arboretum). 2012. Rare Plants in Korea. KNA, Seoul. 

  25. KNA (Korea National Arboretum). 2017. Korean Plant Names Index. KNA. http://www.nature.go.kr (accessed Apr. 22, 2017). 

  26. Ko, S.C., D.C. Son and B.K. Park. 2014. Flora of Sumeunmulbaengdui Wetland in Jeju-Do,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4(3): 222-229. 

  27. Lee, Y.N. 1969. Swamp Plants on Mt. Dae-Am in the Central Part of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1(1): 7-14. 

  28. Miyawaki, A. and K. Fujiwara. 1970. Vegetation Investigations in Ozegahara Moor, Central Japan. The National Parks Association of Japan, Tokyo. 

  29. Miyawaki, A. and J.W. Kim. 1985. Phytosociologiical Study of the Vegetation of Shonan Sea Shore, Kanagawa Prefecture. Bulletin of the Institute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Yokohama National University 12(1): 105-124. 

  30. NIKL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7.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NIKL.s.v. "Baengdui". http://stdweb2.korean.go.kr (accessed Dec. 10, 2017). 

  31. Okada, M. 2010. Formation of Hitomi-Numa Pond in Sarobetsu Mire. Wetland Research 1: 55-66. 

  32. Okada, M. 2013. Formation Process of Peat Islets in Bog Mire Ponds. Transactions, Japanese Geomorphological Union 34(4): 269-292. 

  33. Pallis, M. 1916. The Structure and History of Plav: The Floating Fen of the Delta of the Danube.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43(291): 233-290. 

  34. Park, S.H., Y.M. Lee, H.J. Kim, J.C. Yang, C.S. Jang, K.H. Lee, J.S. Lee, J.S. Han, H.J. Kim, K.S. Jeong, D.C. Son, D.H. Lee, M.J. Joo, E.M. Sun, C.H. Shin, K. Choi, S.H. Oh, K.S. Chang, S.Y. Jung and S.J. Ji. 2016. Illustrated Cyperaceae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35. Sakaguchi, Y. 1974. Peatland Geology. In: Quoted in Okata 2013, 269-270. University of Tokyo press, Tokyo, Japan. 

  36. Self, R.M., D.R. Self and J. Bell-Haynes. 2010. Marketing Tourism in the Galapagos Islands: Ecotourism or Greenwashing? The International Business & Economics Research Journal 9(6): 111-125. 

  37. Shibayama, Y. and Y. Kadono. 2008. Genetic Variations in the Endangered Aquatic Plant Nymphoides Coreana (Menyanthaceae) in South-Western Japan. Plant Species Biology Union 23: 212-216. 

  38. Shibayama, Y., Y. Ueda and Y. Kadono. 2004. Geographical Variations of Endangered Aquatic Plants of Male Sterility, Nymphoides Coreana, p. 1-91. In: The 51st Conference of the Japan Ecological Society in Kushiro: Poster presentation. Japan Ecological Society, Kushiro. 

  39. Shin, J.S. and H.S. Kim. 2007. Mt. Daeam's Yong-Neup IV. Vegetation, p. 121-187. In: Intensive Survey on the Wetland Protected Areas. National Wetlands Center, Changnyeong. 

  40. Shin, J.S. and S.Y. Park. 2012. Mt. Daeam's Yong-Neup III. Vegetation, p. 247-297. In: Intensive Survey on the Wetland Protected Areas. National Wetlands Center, Changnyeong. 

  41. The Plant List. 2013. Version 1.1. Published on the Internet. http://www.theplantlist.org (accessed Dec. 2, 2017). 

  42. Vitt, D.H. 2006. Functional Characteristics and Indicators of Boreal Peatlands, p. 9-24. In: Boreal Peatland Ecosystems (Wieder, R.K. and D.H. Vitt, eds.). Springer, Berlin, Heidelberg. 

  43. Weber, H.E., J. Moravec and J.-P. Theurillat. 2000. International Code of Phytosociological Nomencalture. 3rd Edition. Journal of Vegetation 1: 739-768. 

  44. Westhoff, V. and E. van der Maarel. 1978. The Braun-Blanquet Approach, p. 287-399. In: Classfication of Plant Communities (Whittaker, R.H., ed.). Dr. W. Junk, The Hague. 

  45. Yabe, K. and S. Uemura. 2001. Variation in Size and Shape of Sphagnum Hummocks in Relation to Climatic Conditions in Hokkaido Island, Northern Japan. Canadian Journal of Botany 79(11): 1318-1326. 

  46. Yang, H.K. and H.K. Han. 2012. Sumeunmulbaengdui II. Hydrology, p. 405-424. In: Intensive Survey on National Inland Wetlands. National Wetlands Center, Changnyeong. 

  47. Yangyang-gun. 2016.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port: Installation Project of Ropeway on Osaek Region of Seoraksan National Park. Yangyang-gun, Yangyang. 

  48. YRBEO (Yeongsan River Basin Environmental Office). 2016. The Study on Conservation Planing for Sumeunmulbaengdui Wetland Protected Area in Jeju. YRBEO, Gwangju.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