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울산광역시의 도시공원 요소가 노인의 걷기 일 수에 미치는 영향
Factor Influence of Urban Park Elements on Walking Days of the Elderly in Ulsan Metropolitan Cit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8, 2018년, pp.230 - 238  

김명관 (경북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 노인에 대해 구군별 공원 형태와 공원내부 요소들이 실외에서 얼마나 자주 나와서 걷는지에 대한 걷기 일 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울산광역시 노인 건강증진을 위한 도시개발 및 물리적 환경개선과 발전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지역사회건강조사 2015년 원시데이터를 이용하여 울산광역시의 65세 이상 노인 1,274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울산광역시 5개 구군에 따른 지역 수준 요인 변수가 걷기 일 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위계적 선형 모형으로 다수준 분석을 시행하였다. 노인의 걷기 일 수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 수준 요인은 체육시설이 많으면 걷기 일 수가 증가하였고, 어린이가 주로 이용하는 유희시설이 많으면 노인의 걷기 일 수가 감소하였다. 울산광역시 내에서 중구의 경우는 공원 개수와 공원 면적이 많음에도 걷기 일 수가 낮았고, 북구의 경우는 공원 개수와 공원 면적이 적음에도 걷기 일 수가 높았다. 울산광역시 중구의 노인은 걷기 촉진을 위한 건강증진 사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울산광역시 북구의 노인은 걷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k type and inner elements of parks on the number of walking days of walking out of Ulsan Metropolitan City, And to make policy suggestions for them. The elderly people aged 65 and 1,274 persons or over in Ulsan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높은 악성 신생물과 뇌혈관 사망률을 보이는 울산광역시 노인에 대해 구군별 공원 형태와 공원내부 요소들이 실외에서 얼마나 자주 나와서 걷는지에 대한 걷기 일 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울산광역시 노인 건강증진을 위한 도시개발 및 물리적 환경개선과 발전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 노인 건강증진을 위한 도시개발 및 물리적 환경개선과 발전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가설 설정

  • 이런 본 연구결과와 관련된 선행연구[24]에서는 노인이 앉아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질수록 스트레스와 우울의 증가에 영향을 주었다고 보고하였다. 노인이 앉아만 있는 시간과 최소걷기를 하는 것은 상응되는 사항이므로 적은 시간이더라도 주중에 조금이라도 더 실외로 걸으러 나가는 경우의 노인이 걷기로 인해 스트레스와 우울감 해소의 효과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공원이 노인의 신체활동에 적합한 이유는? 특히, 노인은 청년, 중년층에 비해 노화로 신체기능이 낮은 편이다. 도시공원은 거주지 근린에 위치하여, 내부에 차량이 다닐 수 없어 교통사고의 위험이 없으므로 안전감을 느낄 수 있고, 근력 향상을 도와줄 수 있는 체육시설과 앉아서 쉴 수 있는 벤치 등의 편익시설이 다양하게 공존할 수 있는 공간이므로 노인의 신체활동에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2017년도에 이르러 고령인구의 추세는? 7%로 매년 증가했었다[1]. 그리고 최근 2017년도에 이르러서는 고령인구가 전체 인구의 13.8%를 차지하여 65세 이상 1명을 생산 가능인구 5.3명이 부양하는 형태이고, 2016년 고령자 1인당 진료비는 381만 1천원으로 계속 증가하는 추세였다[2]. 이들이 적절한 건강을 유지할 수 있어야 우리나라의 사회·경제적인 비용이 절감될 것이라 생각된다.
걷기 운동이 노인들에게 적절한 운동인 이유는? 이러한 상황에서 울산광역시의 노인이 좀 더 건강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걷기 운동이 요구된다. 걷기는 가볍고, 단순하지만, 부상의 위험이 적어, 안전한 운동이므로 노인층에 적합하다[6-7]. 지속적으로 걷기를 수행하면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및 LDL 콜레스테롤의 감소, HDL 콜레스테롤의 증가의 효과가 있다[8-9]. 또한 걷기는 질병 예방 및 감소적인 측면에서도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비만 등의 만성질환 관리에도 효율적이다[10]. 선행연구에서는 노인이 걷기 운동을 하지 않을 시 걷기운동을 하는 노인보다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Statistics Korea, 2014 year Elderly person statistics, 2014. http://kostat.go.kr 

  2. Statistics Korea, 2017 year Elderly person statistics, 2017. http://kostat.go.kr 

  3. S. Golinowska, W. Groot, P. Baji, M. Pavlova, Health Promotion targeting older people,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Vol. 16, No 5, pp. 368-479, 2016. DOI: https://doi.org/10.1186/s12913-016-1514-3 

  4. Statistics Korea, 2014 year Elderly person statistics in the Ulsan Metropolitan city, 2014. http://kostat.go.kr 

  5. KOSIS, Cause of death in 2015 year, 2017. http://kosis.kr 

  6. K. O. Lee, Sports walking approach, Journal of Sports Science, Vol. 86, pp. 46-51, 2003. 

  7. M. S. Sul, Exercise programs for elderly care, Seoul: Hakmun Publishing Inc, 2000. 

  8. Fraga, M. J., Cader, S. A., Ferreia, M. A., Giani, T. S., Dantas, E. H. M. Aerobic resistance, functional autonomy and quality of elderly women impacted by a recreation and walking program.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Vol. 52, pp. 40-43, 2011. 

  9. Perrino, T., Mason, C. A., Brown, S. C., Szapocznik, J.,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 and walking among hispanic older adults: A longitudinal, cross-lagged panel analysis. Aging and Maternal Health, Vol. 14 No. 2, pp. 211-219, 2010. 

  10. H. S. Lee, J. S. Ahn, S. H. Chun, Analysis of Environmental Correlates with Walking among Older Urban Adult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ol. 39. No. 2, pp. 65-72, 2011. 

  11. Samawi H. M., Daily Walking and Life Expectancy of Elderly People in the Iowa 65+ Rural Health Study. Frontiers in Public Health. Vol. 1, No. 11, 2013. DOI: http://doi.org/10.3389/fpubh.2013.00011 

  12. H. S. Lee, J. S. Ahn, S. H. Chun, Analysis of Environmental Correlates with Walking among Older Urban Adult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ol. 39, No. 02, pp. 65-72, 2011. 

  13. M. G. Kim, S. R. Suh, The ecological factors affecting walking in korean adult work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8, No. 5, pp. 68-78, 2017. DOI: http://doi.org/10.5762/KAIS.2017.18.5.68 

  14. Community Health Survey, 2015,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5.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Open Data Portal-The whole country city Park standard data, 2015. www.data.go.kr 

  16. Statistics Korea, SGIS, 2018. https://sgis.kostat.go.kr/view/index 

  17. Y. H. Chung, Y. H. Cho, Health Behavior,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among the Young-old and the Old-old in Korea,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Vol. 40, No. 1, pp. 55-64, 2014. 

  18. Pinto J. M., Kern. D. W., Wroblewski K. E., Chen R. C., Schumm L. P., McClintock M. K., Sensory function: Insights from wave 2 of the National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Vol. 69, No. 8, pp. 144-153, 2014. 

  19. S. Y. Jeon, S. G. Lee, Relationships between the sensory, cognitive and physical functions of young-old and old-old individuals, Korean J Health Educ Promot, Vol. 33, No. 5 pp, 23-36, 2016. DOI: https://doi.org/10.14367/kjhep.2016.33.5.23 

  20. S. O. Hong, B. A. Kim, J. Y. Bae, O. J. Cho, M. I. Cho, S. J .Kim, H. S. Choi, M. J. Song, G. H. Wang, Y. T. Kim,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of Injured Elderly Inpatients in Korea: The Results of the Korea National Hospital Discharge Survey, 2004-2013, Weekly, Health and Disease, Vol. 10, No, 5, 2017. http://www.cdc.go.kr 

  21. G. H.. Im, A. Y. Kim, Analysis of Actual Condition of Outdoor Play Space for the Elderly - Focused on the Elderly Friendly Park and Senior Playground,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13 Spring Conference, pp. 26-30, 2013. 

  22. D. H. Lee, S. H. Lee, K. Y. Baek, A Study on Children's Park Facility Planning Scheme according to User Behavior and Characteristic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12, pp. 232-241, 2016.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6.17.12.232 

  23. E. J. Kang, Clustering of Lifestyle Behaviors of Korean Adults Using Smoking, Drinking, and Physical Activity,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 27, No. 2, pp. 44-66, 2007. 

  24. H. S. Song,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Stress, Sedentary Time and Depression for the Elderly - Focusing on the Moderation Effects of Sedentary Time, Crisisonomy, Vol.12, No. 8, pp. 55-68, 2016. DOI: http://dx.doi.org/10.14251/crisisonomy.2016.12.8.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