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양교육과 운동을 병행한 프로그램이 중등도비만여성의 비만도와 행동변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and Exercise Program on Obesity Index and Behavioral Modification in Moderate Obese Women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3 no.4, 2018년, pp.318 - 332  

장명희 (전주시 보건소) ,  정수진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12주 동안 성인 여성 중 체지방률 40% 이상 또는 BMI 30 이상인 여성을 대상으로 37차시의 비만관리 프로그램일환으로 영양교육과 운동중재를 병행 실시하여 대상자의 식습관 및 운동 습관 조사, 신체성분과 식이섭취와 생화학적 지표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1. 조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44.8세였으며 참여자의 55%가 폐경이었다. 2. 체중조절 관심도 변화에서 체중 조절 방법은 식사조절과 운동이 프로그램 참여 전 34.4%에서 프로그램 후 37.5%로 증가하였다(p<0.01). 3. 신체활동 변화에서 중등도 신체활동을 10분 이상 한날은 프로그램 참여 전 3.20일에서 프로그램 후 4.25일로 증가하고, 스트레칭 등 유연성 운동을 한 날은 프로그램 참여 전 2.60일에서 프로그램 참여 후 3.85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1). 4. 바른 식습관 점수 변화는 프로그램 참여 전 4.15점에서 프로그램 참여 후 7.10점으로 유의적(p<0.001)으로 증가하였다. 5. 에너지 및 다량 영양소 섭취는 프로그램 전후간 차이는 없었으나 식이섬유(p<0.01), 철, 칼륨, 비타민A, 비타민 $B_6$, 나이아신의 섭취는 프로그램 참여 전에 비해 프로그램 참여 후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6. 혈압과 혈액 생화학적 특성 지표인 TC, 공복혈당 및 TG는 프로그램 참여 전후 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7. 영양교육과 운동 프로그램 종료 후 체중, 체지방률, 복부둘레 및 내방지방 수치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근육양과 신체발달 점수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01).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중등도 비만여성에서 12주간 영양교육과 운동 중재 프로그램 실시는 식사의 질을 향상시키고 바림직한 식습관의 변화를 유도하였으며 비만도는 감소하면서 근육양이 증가하여 요요현상이 없이 비만관리 프로그램 교육 내용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향후 장기적인 비만의 지속관리와 체계적인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ehavioral modification of obese adults who underwent nutritional and physical activity education. Twenty obese females, aged 20-60 years old, with BMIs (Body Mass Index) >30 or body fat (%) >40 were subjected to this study. Methods: The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보건소 비만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중등도이상의 성인 비만여성을 대상으로 영양교육과 운동 중재를 실시하여 비만지표, 건강인자, 식이섭취 조사, 운동습관 및 생화학적 지표를 평가함으로써 비만도 및 행동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전북지역에 소재한 J시에 위치한 보건소에서 비만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등도 이상 비만여성을 대상으로 비만관리 프로그램(영양교육과 운동중재)을 실시함과 더불어 SNS를 활용하여 피드백을 함으로써 프로그램 중재 이후에 변화된 식이섭취 상태, 운동습관, 혈액학적 지표 및 비만지표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중등도비만 관리의 구축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12주 동안 성인 여성 중 체지방률 40% 이상 또는 BMI 30 이상인 여성을 대상으로 37차시의 비만관리 프로그램일환으로 영양교육과 운동중재를 병행 실시하여 대상자의 식습관 및 운동 습관 조사, 신체성분과 식이섭취와 생화학적 지표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체중조절의 관심도는 본인의 적정체중과 체중에 대한 만족도, 체중조절 경험 및 방법, 그리고 본인에게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방법을 알고 있는지를 묻는 내용을 조사하였다. 신체활동 조사는 중등도 이상의 신체활동 횟수와 시간, 걷는 일수와 시간, 근력운동을 한 일수, 유연성 운동을 한 일수, 신체활동 증가 계획단계를 묻는 내용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년기 여성의 비만을 다른 인구 집단보다 더 세밀하게 관리해야 하는 이유는? 이 시기에 신체활동이 감소하거나 칼로리의 과잉 섭취로 인해 비만발생률은 더욱 가중시킨다[4-6]. 더욱이 중년기 여성의 비만을 다른 인구집단의 비만보다 더 세밀하게 관리해야하는 이유는 폐경기에 이르면서 급격한 근육량의 감소와 더불어 복부체지방률이 증가하는 경향이 함께 나타나 만성질환의 위험이 높아지며[9], 골다공증 및 심혈관계의 위험을 더욱 가중시키기 때문이다[7, 8]. 따라서 중년여성의 체계적인 체중조절과 비만률을 낮추는 전략이 무엇보다 시급하다.
보건복지부에서는 국민건강증진 및 질병 예방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가? 특히, 아침식사 결식률과 외식률이 증가함과 더불어 가공식품 및 고열량식품의 섭취의 증가로 인해 영양과잉과 영양결핍이 공존하는 영양불균형이 초래되어 만성질환과 비만률이 급증하고 있다[1, 2]. 이에 보건복지부에서는 국민건강증진법 제4조에 따라 국민건강증진 및 질병 예방을 위해 매 5년마다 수립하는 국가차원의 건강증진 로드맵 “Health Plan 2020”등 국민건강증진 종합계획을 발표하고 건강생활실천 확산과 만성퇴행성질환과 발병위험요인의 관리 등 다양한 건강증진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지역사회주민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건강증진 기반사업이 강화되고 있으며 보건소를 중심으로 비만, 영양, 운동 및 절주 등의 건강생활실천사업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국가 차원에서 효과적으로 성인 비만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일환으로써 식이조절과 운동실시 등 생활습관의 개선을 통한 비만관리 프로그램을 지역 보건소별로 확대하여 실시하고 있다.
중등도 비만 여성에게 실시한 영양교육과 운동 중재 프로그램이 바림직한 식습관의 변화를 유도했다는 결과는 어디에서 찾을 수 있는가? Lee등 [14]은 과체중 및 비만성인 여성에게서 영양교육 및 운동중재 후 에너지와 지방의 섭취량은 감소한 반면, 단백질 섭취는 증가하였다는 연구와 비교하였을 때 본 연구와는 차이를 보였으나, 비만여성에서 영양교육과 운동병행 시 열량 및 다량영양소 섭취량의 변화는 없었다[13]는 연구와는 유사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중등도 비만여성에서 열량 섭취의 변화는 없으면서 식이섬유,철, 칼륨, 비타민 A, 비타민B6 및 나이아신의 섭취는 프로그램 참여 전보다 후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12주간의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대상자들은 균형 잡힌 영양섭취가 이루어진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Kim & Kim[11]은 과체중 및 비만 중년여성에서 식이섬유 섭취량은 프로그램 참여 전 후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는 연구와 비교해 볼 때, 본 연구와는 차이를 보였으나 Lee 등[19]의 연구에서 교육 후에 식이섬유소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는 것과 본 연구와는 일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Jeon ER.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and aerobic exercise program on weight control in program of middle aged abdominal obesity women. Korean J Hum Ecol 2006; 9(2): 65-73. 

  2. Ha AW, Ryu HS. Patterns of food habits and food intake by age: Base on the nutrition counseling data of medical health examination. Korean J Food Nutr 2010; 23(4): 531-541. 

  3. Whitmer RA, Gunderson EP, Barrett-Connor E, Quesenberry, Yaffe K. Obesity in middle age and future risk of dementia: a 27 year longitudinal population based study. BMJ 2005; 330(7504): 1360-1362. 

  4. Layman DK, Evans E, Baum JI, Seyler J, Erickson DJ, Boileau RA. Dietary protein and exercise have additive effects on body composition during weight loss in adult women. J Nutr 2005; 135(8): 1903-1910. 

  5. Varady KA, Lamarche B, Santos S, Demonty I, Charest A, Jones PJ. Effect of weight loss resulting from a combined low-fat diet/exercise regimen on low-density lipoprotein particle size and distribution in obese women. Metabolism 2006; 55(10): 1302-1307. 

  6. Andersson K, Karlstrom B, Freden S, Petersson H, Ohvall M, Zethelius B. A two-year clinical lifestyle intervention program for weight loss in obesity. Food Nutr Res 2008; 52(10): 1656. 

  7. Lee OH, Kim JK, Lee HS, Chou RW. Nutritional status, quality of diet and quality of life postmenopausal women with mild climacteric symptoms based on food group intake patterns.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1): 69-80. 

  8. Choi JH, Yang JH, Han JP. A comparative analysis of body composition and blood lipid profile during exercise and detraining in exercise type in the middle-aged obese women. J Korea Sports Med 2006; 45(3): 526-536. 

  9. Garrow JS. Obesity and obesity related a disease. Edinburgh: Churchill Livingstone; 1988. p. 12-14. 

  10. Lee KW, Lee YM, Oh YJ, Cho YJ, Lee MJ. Attitudes toward family meals and comparisons of dietary quality between family meals eaten alone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J Korean Diet Assoc 2008; 14(2): 127-138. 

  11. Kim SY, Kim SB.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at a community health center on overweight and obese middle aged women in Jeonbuk area: focused on personalized daily energy requirement and food exchange uni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7; 22(4): 307-322. 

  12. Lee JW, Yoo SY, Yang SY, Kim HS, Cho SK. Effect of an abdominal obesity management on dietary intake, stress index, and waist to hip ratio in abdominally obese women: Focus on comparison of the WHR decrease and WHR increase groups. Korean J Nutr 2012; 45(2): 127-139. 

  13. Choi MS, Kim MS. The effect of nutritional education and exercise intervention on reducing weight of obese women.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006; 17(4): 57-66. 

  14. Lee HS, Lee JW, Chan NS, Kim JM.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and exercise program on body composition and dietary intake, blood lipid and physical fitness in obese women. Korean J Nutr 2009; 42(8): 759-769. 

  15. Kim KD, Song YO, Baek YH. Effects of belly dancing and nutritional education composition and serum lipids profiles of obese women in a study, obesity clinic projects at community healthca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1; 40(10): 1417-1422. 

  16. Kim YH, Kang SH, Kim YS, Song JI, Lee DC, Jeon SH et al. Development of training program for managing obesity and its effects on the application of program. Phys Educ Res Inst 2000; 11(1): 20-48. 

  17. Yu BK. The change of severely obese middle women's body fat, cardiovascular strength and blood hormone on the combined exercise. Phys J Nutr 2005; 9(3): 253-259. 

  18. Kang EJ. Educational attainment and subjective unhealthiness an exploration of the mediators. Korean J Health Econ 2008; 14(1): 51-74. 

  19. Lee YA, Kim KN, Chang NS.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on weight control and diet quality in middle-aged women. Korean J Nutr 2008; 41(1): 54-64. 

  20. Lee HS, Lee JW, Chang NS, Kim JM.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and excercise program on body composition and dietary intakes, blood lipid and physical fitness in obese women. Korean J Nutr 2009; 42(8): 759-769. 

  21. Kim MY, Han SY, Jeong JH, Kim SH, Lee JK, Park ES et al. Effectiveness of nutrition-exercise education program on weight control of adult women. Korean J Community Nutr 2009; 14(2): 168-174. 

  22. Oh JY, Kim SB. Development and effects analysis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diabetes mellitus at community health center: focused on individual daily energy requirements and food exchange uni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0; 14(4): 485-497. 

  23. Heo S. Effects of behavior modification for complex exercise and nutrition education providing feedback on metabolic syndrome related factors, adipocytokine and dietary intakes in obese high school girls. Korean J Sport Stud 2012; 51(2): 441-451. 

  24. Choi IH, Lee MW. The effects of a 12 week walking exercise program on the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in obese college women. J Korean Acad Pub Health Nurs 2008; 22(1): 74-83. 

  25. Kang YH, Lee KO, Ha EH, Kim JY, Kim WY. Evaluation of short term weight control program for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 Nutr 2004; 37(6): 493-501. 

  26. Duncan CS, Blimkie CJ, Cowell CT, Burke ST, Briody JN, Howman Giles R. Bone mineral density in adolescent female athletes: relationship to exercise type and muscle strength. Med Sci Sports Exerc 2002; 34(2): 286-294. 

  27. Lutes LD, Winett RA, Baeger SD, Wojcik JR, Herbert WG, Nickols-Richardson SM et al. Small changes in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promote weight loss and maintenance: 3-month evidence from the ASPIRE randomized trial. Ann Behav Med 2008; 35(3): 351-357. 

  28. Kim JD, Ye SR, Kim TK, Sun WS. The effect of Hula-hoop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of obese women. KJGD 2006; 14(3): 27-38. 

  29. Ha CS. The effect of gradual load method exercise program on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in obese fitness women. KJSS 2004; 13(2): 757-766. 

  30. Kim TY, Han DB, Ahn JH, Lee SH. Effect of mothers' identification on nutrition labeling to children's obesity. Korean J Health Econ policy 2013; 19(3): 51-82. 

  31. Nam JH. Effect of weight control program on obesity degree and blood lipid levels among middle aged obese women. Korean J Food Nutr 2006; 19(1): 70-78. 

  32. Kim NH, Kim JM, Kim HS, Chang NS. Effects of nutrition and exercise education in fat mass and blood lipid profiles in postmenopausal obese women. Korean J Nutr 2007; 40(2): 162-171. 

  33. Colak R. Effects of short-period exercise training and orlistat therapy on body composition and maximal power production capacity in obese patients. Physiol Res 2004; 53(1): 53-60. 

  34. Shin YA, Kim HJ. The effects of long-term aerobic and resistance combined exercise training o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oxidative stress in stroke patients. Korean Soc Exerc Physiol 2010; 19(3): 231-24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