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까시 나무 고온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e Robinia pseudoacacia L. High Temperature Extract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1 no.4, 2018년, pp.294 - 302  

노종현 (한약진흥재단) ,  강병만 (한약진흥재단) ,  정원석 (한약진흥재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아까시나무의 물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및 고온 추출물을 이용하여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에 대해 염증억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RP1(아까시 나무 물 추출물), RP2(아까시 나무 에탄올 추출물) 및 RP3(아까시 나무 고온 추출물)은 세포생존율 분석에서 $200{\mu}g/m{\ell}$의 농도까지 Raw 264.7 세포에 세포독성을 나타나지 않았다. NO 생성 억제효과를 분석하였을 때 LPS 처리군과 비교하여 RP3는 약 87% 정도의 억제효과를 나타내 RP1과 RP2에 비해 NO 억제활성이 가장 높았다. 뿐만 아니라 RP3는 RP1과 RP2와 비교하여 염증매개인자의 억제율이 각각 $PGE_2$ (86.3%), $TNF-{\alpha}$ (64.1%), IL-6 (65.1%) 및 $IL-1{\beta}$ (63.3%)로 가장 높았다. 이는 RP3의 처리가 LPS에 의해 증가된 염증매개인자의 분비를 억제함을 통해 항염증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염증관련 신호전달경로에 직접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Raw 264.7 세포주는 염증조절복합체를 구성하는 ASC 단백질이 발현되지 않아 다른 신호전달 경로를 통해 염증매개인자를 분비하기 때문에, 설치류의 대식세포를 직접 일차배양(primary culture)하여 이에 관련된 신호전달경로를 확인하는 추가 실험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anti-inflammatory effect of Robinia pseudoacacia L. using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water extraction, ethanol extraction and high temperature extraction). We investigated anti-inflammatory effect of Robinia pseudoacacia L. extract (RP1, water extract; RP2, e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그람음성균에 존재하며 내독소를 일으키는 물질인 LPS (lopopolysaccaride)를 마우스유래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주에 처리하여 염증반응을 유발시키고, 추출방법이 각기 다른 아까시 추출물들(물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고온 추출물)을 처리하여 염증반응을 억제할 수 있는지 조사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아까시나무의 물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및 고온 추출물을 이용하여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에 대해 염증억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RP1(아까시 나무 물 추출물), RP2(아까시 나무 에탄올 추출물) 및 RP3(아까시 나무 고온 추출물)은 세포생존율 분석에서 200 ㎍/㎖의 농도까지 Raw 26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식세포의 특징은? , 2009). 대식세포(macrophage)는 생체 내에서 숙주의 항상성(homeostasis)을 유지하며 많은 종류의 숙주 반응에 관여하며, NO (nitric oxide)와 cytokine (염증매개물질)의 분비를 통해 염증 반응 시 생체를 방어하는 역할을 한다(Higuchi et al., 1990).
천연소재의 추출을 통해 얻어지는 추출물은 어떤 단점이 있는가? 천연소재의 추출방법은 물 증류 또는 수증기 증류와 같은 증류추출법, 각기 다른 용매를 사용한 용매추출법, 기계를 이용한 압착법이 흔하게 이용되고 있지만(Shin et al., 2012), 추출을 통해 얻어지는 추출물은 추출효율이 낮고 추출 시간이 길며, 유효성분 파괴와 변화 같은 단점이 나타날 뿐만 아니라(Kwon, 2002; Park et al., 2004), 여러 천연소재의 추출방식에 따라서 분리되는 성분과 수율의 차이가 나타난다고 여러 연구를 통해 밝혀져 있다(Lee et al.
아까시나무의 추출물인 RP1, RP2, RP3의 염증억제 효과를 비교하시오. 7 세포에 세포독성을 나타나지 않았다. NO 생성 억제효과를 분석하였을 때 LPS 처리군 과 비교하여 RP3는 약 87% 정도의 억제효과를 나타내 RP1과 RP2에 비해 NO 억제활성이 가장 높았다. 뿐만 아니라 RP3는 RP1과 RP2와 비교하여 염증매개인자의 억제율이 각각 PGE2 (86.3%), TNF-α (64.1%), IL-6 (65.1%) 및 IL-1β (63.3%)로 가장 높았다. 이는 RP3의 처리가 LPS에 의해 증가된 염증매개인자의 분비를 억제함을 통해 항염증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염증관련 신호전달경로에 직접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hn, S.H., D.G. Jeong, S.J. Oh, S.H. Lee and D.H. Chung. 2017. GM-CSF and IL-4 produced by NKT cells inversely regulate IL- $1{\beta}$ production by macrophages. Immunol Lett. 82:50-56. 

  2. Blaise, G.A., D. Gauvin, M. Gangal and S. Authier. 2005. Nitric oxide, cell signaling and cell death. Toxicology 15:177-192. 

  3. Bradley, J.R. 2008. TNF-mediated inflammatory disease. J Pathol. 214:149-160. 

  4. Borthwick, L.A. 2016. The IL-1 cytokine family and its role in inflammation and fibrosis in the lung. Semin Immunopathol. 38:517-534. 

  5. Chung, H.Y., M. Cesari, S. Anton, E. Marzetti, S. Giovannini, A.Y. Seo, C. Carter, B.P. Yu and C. Leeuwenburgh. 2009. Molecular inflammation: underpinnings of aging and agerelated disease. Ageing Res Rev. 8:18-30. 

  6. Choi, Y.J., W.S. Jo, H.J. Kim, B.H. Nam, E.Y. Kang, S.J. Oh, G.A. Lee and M.H. Jeong. 2010. Anti-inflammatory effect of Chlorella ellipsoidea extracted from seawater by organic solvents. Korean J Fish Aquat Sci. 43:39-45. 

  7. Emanuela, R. and A.F. Garret. 2011. Prostaglandins and inflammation.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31:986-1000. 

  8. Guo, H.F. and M.H. Wang. 2018. Anti-inflammatory and anticancer effect of Stachys affinis Tubers. Korean J Plant Res. 30:679-685. 

  9. Higuchi, M., N. Higashi, H. Taki and T. Osawa. 1990. Cytolytic mechanism of activated macrophages. tumor necrosis factor and L-arginine-dependent mechanism act as synergistically as the major cytolytic mechanism of activated macrophage. J Immunol. 144:1425-1431. 

  10. Jaffrey, S.R. and S.H. Snyder. 1995. Nitric oxide: a neural messenger. Annu Rev Cell Dev Biol. 11:417-440. 

  11. Ji, J.D., Y.H. Lee and G.G. Song. 2004. Prostaglandin E2 (PGE2): roles in immun responses and inflammation. J Korean Rheum Assoc. 11:307-315. 

  12. Kwon, J.H., M.W. Byun and Y.H. Kim. 1995. Chemical composition of acacia flower (Robinia pseudo-acacia). Korean J Food Sic Technol. 27:789-793. 

  13. Kim, Y.K. and S.K. Kim. 2002. Nitric oxide and dental pulp. J Korean Acad Oper Dent. 27:543-551. 

  14. Kwon, Y.J., K.H. Kim and H.K. Kim. 2002. Changes of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Ligularia fischeri extracts with different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condritions. Kor J Food Preserv. 9:332-337. 

  15. Kim, H.N., S.B. Park, G.H. Park, H.J. Eo, J.H. Song, H.Y. Kwon and J.B. Jeong. 2018.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e root extracts from Hibiscus syriacus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Korean J Plant Res. 31:211-217. 

  16. Lowenstein, C.J., E.W. Alley, P. Raval, A.M. Snowman, S.H. Synder, S.W. Russcll and W.J. Murphy. 1993. Macrophage nitric oxide synthase gene: two upstream regions mediate induction by interferon gamma and lipopolysaccharide. PNASU. 90:9730-9734. 

  17. Lee, S.H., S.J. Suh, K.H. Lee, J.B. Yang, S.U. Choi and S.S. Park. 2013. Anti-inflammatory effect of Peel extracts from Citrus fruits. J Fd Hyg Safety 28:342-348. 

  18. Lee, J.W. and Y.J. Kang. 2018. Anti-inflammatory effect of Abeliophyllum distichum Flower extract and associated MAPKs and NF- ${\kappa}B$ pathway in Raw264.7 cells. Korean J Plant Res. 31:202-210. 

  19. Medzhitov, R. 2008. Origin and physiological roles of inflammation. Nature 454:428-435. 

  20. Park, J.H., H.S. Lee, H.C. Mun, D.H. Kim, N.S. Seong, H.G. Jung, J.K. Bang and H.Y. Lee. 2004. Improvement of anticancer activation of ultrasonificated extracts from Acanthopanax senticosus Harms, Ephedra sinica Stapf, Rubus coreanus Miq. and Artemisia capillaris Thunb. Kor J Med Crop Sci. 12: 273-278. 

  21. Popa, C., M.G. van, Netea, P.L. Riel, J.W. van, der Meer and A.F. Stalenhoef. 2007. The role of TNF-alpha in chronic inflammatory condritions, intermediary metabolism, and cardiovascular risk. J Lipid Res. 48:751-762. 

  22. Pelegrin, P., C. Gutierrez and A. Surprenant. 2008. P2X7 receptor differentially couples to distinct release pathways for IL-1beta in mouse macrophage. J Immunol. 180:7147-7157. 

  23. Park, H.M. and J.H. Hong. 2014. Effect of extraction methods on antioxidant activities of Mori ramul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1709-1715. 

  24. Park, S.B., H.M. Song, H.N. Kim, G.H. Park, H.J. Son, Y. Um, J.A. Park and J.B. Jeong. 2018. Anti-inflammatory effect of Biji (Soybean curd residue) o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Korean J Plant Res. 31:117-123. 

  25. Patra, J.K., E.S. Kim, K. Oh, H.J. Kim, R. Dgakal, Y Kim, and K.H. Baek, 2015. Bactericidal effect of extracts and metabolites of Robinia pseudoacacia L. on streptococcus mutans and porphyromonas gingivalis causing dental plaque and periodontal inflammatory diseases. Molecules 8:6128-6139. 

  26. Ren, K. and R. Torres. 2009. Role of inerleukin-1beta during pain and inflammation. Brain Res Rev. 60:57-64. 

  27. Shin, Y.H., H.J. Kim, J.Y. Lee, Y.J. Cho and B.J. An. 2012. Major compound analysis and assessment of natural essential oil on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effects. J Life Sci. 22(10):1344-1351. 

  28. Woo, J.H., S.L. Shin, Y.D. Chang and C.H. Lee. 2010. Antioxidant effect according to extraction method in extracts of Dendranthema zawadskii var. yezoense and Cosmos bipinnatus. Kor J Hort Sci Technol. 28:462-468. 

  29. Youn, S.H., J.S. Han and A.J. Kim. 2017.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activities of mouthwash prepared with acacia flower, songin, and topan solar salt. Asian J Beauty Cosmetol. 15:160-16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