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기초한 과학과 핵심역량 조사 문항의 개발 및 적용
Developing and Applying the Questionnaire to Measure Science Core Competencies Based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8 no.4, 2018년, pp.495 - 504  

하민수 (강원대학교) ,  박현주 (조선대학교) ,  김용진 (경상대학교) ,  강남화 (한국교원대학교) ,  오필석 (경인교육대학교) ,  김미점 (경상대학교) ,  민재식 (경상대학교) ,  이윤형 (경상대학교) ,  한효정 (경상대학교) ,  김무경 (경상대학교) ,  고성우 (아라초등학교) ,  손미현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2015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과학과 핵심역량에 관한 서술문을 기초로 학생들의 과학과 핵심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개발하고, 그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2015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탐구 능력, 과학적 문제해결력,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에 대한 설명을 근거로 각 역량별로 5개 문항씩, 총 25개 문항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문항은 전국 17개 시도에 고루 분포한 학생 참여형 과학수업 선도학교의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학생 11,348명을 대상으로 과학과 핵심역량을 조사하여 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타당도는 Messick(1995)이 제안한 6가지 타당도 중 내용 타당도, 실제 타당도, 내적 구조 타당도, 일반화 타당도 등 4가지를 확인하였다. 라쉬 모델문항 적합도(MNSQ)를 분석한 결과, 25개 문항 중 부적합 문항은 없었으며,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 5개 요인 모델은 적합한 모델로 확인되었다. 성별과 학교급별에 따른 차별적 문항 반응을 분석한 결과, 부적합 값은 175개 중 2개에서 나타났다. 성별과 학교급별 다변량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교급 간 및 성별 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교호작용 효과 역시 유의미하였다. 결론적으로 2015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과학과 핵심역량의 설명에 기초하여 개발한 과학과 핵심역량 평가문항은 정신측정학적 관점에서 타당하며, 따라서 교육 현장에서 그 활용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items to measure scientific core competency based on statements of scientific core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and to ident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newly developed items. Based on the explanations of sci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새로운 과학과 교육과정의 효과를 측정하거나 역량 신장을 주된 목표로 개발된 많은 교수-학습 프로그램들의 효용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과학과 핵심역량을 조사하고, 그 변화를 측정 할 수 있는 효율적인 검사도구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기술하고 있는 과학과 핵심역량의 영역별 내용에 기초하여 학생들의 과학과 핵심역량을 조사할 수 있는 문항들을 개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 평가 문항의 타당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내용 타당도이며, 본 연구에서 제시한 다양한 통계치는 문항이 적절한지에 관한 판단을 위한 보조 자료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과학과 핵심역량 문항들이 과학과 핵심역량을 측정하는데 내용상 적합한지 판단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는 학자들의 의견이다. 예를 들어 과학적 사고력과 과학적 탐구능력, 과학적 문제해결력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중복되는 경우가 있다.
  • 이 연구에서 개발된 과학적 핵심역량을 측정하는 25개 문항의 타당도를 앞 절에서 확인하였다. 이 절에서는 성별과 학교급별로 과학적 핵심역량을 비교 분석하여 개발된 검사도구가 집단 간 차이를 유의미하게 보여줄 수 있는지를 판단하고, 집단 간 과학적 핵심역량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 이는 미래 사회에서 요구되는 인재 육성에 대한 개인적⋅사회적 요구가 반영되어 지식 중심의 교육과정에서 핵심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패러다임으로 변화한 것이다. 즉 학교교육을 통해 전인적 측면에서 학생들의 다면적 역량을 키우고 궁극적으로 국가 차원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것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라 각 교과에서도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변화하였다.

가설 설정

  • 2. 성별, 학교급별 과학과 핵심역량의 점수는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타나는가?
  • 3. 성별, 학교급별 과학과 핵심역량의 요인별 상관관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가?
  • 일반화 타당도는 검사도구의 기능이 응답자 그룹의 특성에 따라 변화하지 않고 일관성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타당도로 차별적 문항반응을 통해 확인한다. 과학적 핵심역량에 관한 검사도구가 학교급 간, 성별 간 비교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음을 가정하고, 차별적 문항반응은 학급과 성별에 따라 수행하였다. 라쉬 모델 분석에서 DIF값의 차이가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생들의 역량 및 변화 추이를 분석하기 위한 핵심역량 조사도구 개발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은? 핵심역량 기반 교육이 강조되면서 학생들의 역량 및 변화 추이를 분석하기 위한 핵심역량 조사도구 개발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Noh & Lee, 2013a; 2013b). 한국교육개발원의 학생역량 조사 도구 개발 및 지수 분석 연구(Kang et al., 2014; Kim et al., 2013),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핵심역량 관련 교육과정 연구(Lee et al., 2008; Lee et al., 2009; Lee et al., 2013; Yoon et al., 2007),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청소년들의 핵심역량 진단을 위한 조사 도구 개발 및 지수 분석 연구(Chang et al., 2015; Kim et al., 2008; Kim et al., 2009; Seong, Baek & Jin, 2014) 등이 추진된 바 있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역량 진단 도구도 개발되어 왔으며,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K-CESA가 대표적이다. 대학 자체적인 역량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진단 도구를 개발한 사례는 동덕여대의 역량 진단 도구, 숙명여자대학교의 SM-CLA, 성균관대학교의 SCCA, 건양대학교 핵심역량 진단 평가, 동국대학교의 동국 역량진단과 D-CESA의 핵심역량 진단 도구 등이 있다(Son, Song & Lee, 2016). 핵심역량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 개발과 더불어 이를 활용한 실증연구(Baek, 2013) 및 그 결과를 교과⋅비교과 프로그램과 연계하는 연구(Kim & Lee, 2012; 2013; Lee & Lee, 2012)들도 일부 진행되었다.
과학과 핵심역량은? 이에 따라 과학과 교육과정도 핵심 역량을 설정하고 그에 맞게 개정되었다. 과학과 핵심역량은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탐구능력, 과학적 문제해결력,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및 과학적 참여와 평생학습 능력이다. 새로운 교육과정에 바탕을 둔 학교 과학교육은 위의 다섯 가지 과학과 핵심역량을 향상시키는 것을 주된 목표로 하고 있다.
핵심역량이 핵심 키워드로 등장한 근거는? 이러한 움직임의 핵심 키워드로 등장한 것이 핵심역량(core competencies)이다(Kwak, 2013). 이것은 학교교육에서 지향할 것은 정형화된 지식이 아니라 학습자가 실제로 정보와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의 함양이라는 인식에서 근거한 것이다(Jin, Sohn & Chu, 2011; Kim, 2014; Kim, et al., 2009; 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Angner, E. (2006). Economists as experts: Overconfidence in theory and practice. Journal of Economic Methodology, 13(1), 1-24. 

  2. Baars, M., Vink, S., van Gog, T., de Bruin, A., & Paas, F. (2014). Effects of training self-assessment and using assessment standards on retrospective and prospective monitoring of problem solving. Learning and Instruction, 33, 92-107. 

  3. Baek, P. (2013).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nd characteristics between korean collegiate essential skills and undergraduates’ individual variant factors.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7(3), 349-387. 

  4. Benbow, C. P., & Stanley, J. C. (1983). Sex differences in mathematical reasoning ability: More facts. Science, 222(4627), 1029-1031 

  5. Boone, W. J., Staver, J. R., & Yale, M. S. (2014). Rasch Analysis in the Human Sciences. New York, NY: Springer. 

  6. Cavallo, A. M., Potter, W. H., & Rozman, M. (2004). Gender differences in learning constructs, shifts in learning constructs, and their relationship to course achievement in a structured inquiry, yearlong college physics course for life science major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4(6), 288-300. 

  7. Chang, G., Seong, E., Choi, H., Jin, S., & Kim, G. (2015). Measuring Youth Competency Index and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II (IEA ICCS 2016): General Report. Sejong: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8. Chi, M. T. (2006). Two approaches to the study of experts' characteristics. In K.A. Ericson, N. Charness, P.J. Feltovich & R.R. Hoffman (Eds.) The Cambridge Handbook of Expertise and Expert Performance (pp.21-30).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Choi, K., Shin, D., & Lee, H. Y. (2008). Facts on gender difference in science education and solutional strategies. Women’s Studies Review, 25, 117-158. 

  10. Gadermann, A. M., Guhn, M., & Zumbo, B. D. (2011). Investigating the substantive aspect of construct validity for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adapted for children: A focus on cognitive processes. Social Indicators Research, 100(1), 37-60. 

  11. George, D., & Mallery, M. (2003). Using SPSS for Windows Step by Step: a Simple Guide and Reference. Boston, MA: Allyn & Bacon 

  12. Jin, M., Sohn, Y., & Chu, H. (2011). Study on development plan of K-CESA for college education assessment.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9(4), 461-486. 

  13. Kang, Y., Jung, D., Park, S., Lim, H., Hwang, J., & Seol, G. (2014). 2014 KEDI Student Competency Index Survey. KEDI Report RR 2014-26 

  14. Kim, C., Eom, M., Kim, K., Kim, C., Park, J., Park, H., Lee, K., & Lee, S. (2013). A Study for Developing Student Competency Index. KEDI Report RR 2013-23 

  15. Kim, D., Oh, H., Song, Y., Koh, E., Park, S., & Jung, E. (2009). Exploring students’ core competencies in higher education from professors’ perspectives: A case stud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SNU). Asian Journal of Education, 10(2), 195-214. 

  16. Kim, E, (2014). Readiness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for the core competencies in the 21st century. Master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17. Kim, H. & Lee, S. (2012). Diagnosis and direction of the competence-based educational model: Based on the course and effects.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6(4), 11-40. 

  18. Kim, H. & Lee, S. (2013). Application plans of competence assessment: Focusing on the connection between assessment and curriculum.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7(4), 139-172. 

  19. Kim, K., Kim, J., Chang, G., So, K., Kim, J., & Kang, Y. (2008). A Study on Development and Progress Plan of Lifetime Core Competency for Adolescent I : General Report. Seoul: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 Kim, K., Maeng, Y., Chang, G., Ku, J., Kang, Y., & Cho, M. (2009). A Study on Development and Progress Plan of Lifetime Core Competency for Adolescent II : General Report. Seoul: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1. Kostons, D., Van Gog, T., & Paas, F. (2012). Training self-assessment and task-selection skills: A cognitive approach to improving self-regulated learning. Learning and Instruction, 22(2), 121-132. 

  22. Kwak, Y. (2013). Ways of restructuring key competences for a revision of science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4(4), 368-377. 

  23. Lai, J. S., Teresi, J., & Gershon, R. (2005). Procedures for the analysis of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DIF) for small sample sizes. Evaluation & the health professions, 28(3), 283-294. 

  24. Lee, G., Jeon, J., Huh, G., & Hong, W. (2009). A Study on the Vis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for the Improvement of Core Competencies of Future Koreans: General Report RRC 2009-10. Seou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5. Lee, G., Kim, G., Kim, S., Kim, H., Lee, M., Lee, S., & Lee, I (2013). Exploring Curriculum for the Development of Core Competencies in the Future: Focusing on the Linkage of Curriculum, Teaching. Learning and Educational Evaluation. Research Report RRC 2013002. Seou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6. Lee, G., Kwon, H., Lee, J., & Lee, S. (2010). The study on proper way for engineering university education: Based on the perception of current competencies and expected competencies of engineering freshme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3(6), 57-71. 

  27. Lee, G., Min, Y., Jeon, J., & Kim, M. (2008). A Study on the Vis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for the Improvement of Core Competencies of Future Koreans (II): Focusing on Sub-Element Setting by Core Competency Area. Seou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8. Lee, J. K., Shin, S., Rachmatullah, A., & Ha, M. (2017). Exploring the patterns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engineering-related creativity by gender, academic year, and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program through latent class analysi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1(1), 16-35. 

  29. Lee, S. & Lee, S. (2012). A new direction of undergraduate general education: Through a case study of competence-based education.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6(2), 11-42. 

  30. Lee, V. E., & Burkam, D. T. (1996). Gender differences in middle grade science achievement: Subject domain, ability level, and course emphasis. Science Education, 80(6), 613-650. 

  31. Menkhoff, L., Schmeling, M., & Schmidt, U. (2013). Overconfidence, experience, and professionalism: An experimental study. Journal of Economic Behavior & Organization, 86, 92-101. 

  32. Messick, S. (1995). Standards of validity and the validity of standards in performance assessment. Educational Measurement: Issues and Practice, 14(4), 5-8. 

  33. MOE (Ministry of Education) (2015). 2015 revised Science National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34. Neumann, I., Neumann, K., & Nehm, R. (2011). Evaluating instrument quality in science education: Rasch-based analyses of a nature of science test.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3(10), 1373-1405. 

  35. Noh, Y. & Lee, S. (2013a). The competency model development for Korean 4 year university students: A case study of D Women’s University. Journal of Corporate Education and Talent Research, 15(1), 79-101. 

  36. Noh, Y. & Lee, S. (2013b). A study on developing and validating the instrument for diagnosing the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A case study of D Women's University.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15(3), 273-305. 

  37. OECD (2003). Defining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 OECD Press. 

  38. OECD (2006). Schooling for tomorrow: Thinking scenarios, rethinking education. OECD Press. 

  39. Pajares, F. & Graham, L. (1999). Self-efficacy, motivation constructs, and mathematics performance of entering middle school student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4(2), 124-139. 

  40. Pallier, G. (2003). Gender differences in the self-assessment of accuracy on cognitive tasks. Sex Roles, 48(5), 265-276. 

  41. Panadero, E., Tapia, J. A., & Huertas, J. A. (2012). Rubrics and self-assessment scripts effects on self-regulation, learning and self-efficacy in secondary education.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22(6), 806-813. 

  42. Park, B. T., Shin, D. (2010). Elementary school high achievers’ gender characteristics of successful and unsuccessful process in problem solving.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0(2), 173-189. 

  43. Quirk, P. J. (2010). The trouble with experts. Critical Review, 22(4), 449-465. 

  44. Scott, N. W., Fayers, P. M., Aaronson, N. K., Bottomley, A., de Graeff, A., Groenvold, M., Gundy, C., Koller, M., Petersen, M. A., & Sprangers, M. A. (2009). A simulation study provided sample size guidance for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DIF) studies using short scales. Journal of Clinical Ppidemiology, 62(3), 288-295. 

  45. Seong, E., Baek, H., & Jin, S. (2014). Measuring Youth Competency Index and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I (IEA ICCS 2016): General Report. Sejong: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46. Shin, S., Lee, J. K., & Ha, M. (2017). Influence of career motivation on science learning in Korean high-school students.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13(5), 1517-1538. 

  47. So, K., Lee, S., Lee, J., & Heo., H. (2010). Review on curriculum reform in the New Zealand; Implementation of key competencies-based curriculum. Comparative Education Society, 20(2), 27-50. 

  48. Son, Y., Song, C. & Lee, H. (2016). A Study on the Support for Core Competency of Korean Students in Collegiate Level. Sejong: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49. Stankov, L. & Lee, J. (2008). Confidence and cognitive test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0(4), 961. 

  50. Wright, B.D. & Linacre, J.M. (1994). Reasonable mean-square-fit values. Rasch Measurement Transactions, 8(3), 370. 

  51. Yoon, H., Kim, Y., Lee, G., & Jeon, J. (2007). A Study on the Vis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for the Improvement of Core Competencies of Future Koreans (I): Focusing on Core Competency Criteria and Area Setting. Research Report RRC 2007-1. Seou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