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도서관 운영 인력이 학생들의 독서행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chool Library Personnel on Students' Reading Behavior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9 no.1, 2018년, pp.123 - 147  

박주현 () ,  변우열 (공주대학교 문헌정보교육과)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 운영 인력이 학생들의 독서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학생들의 독서행태에 대한 학교간의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전국 154개교의 초, 중, 고등학생 5,349명을 대상으로 독서환경, 학교도서관, DLS와 관련된 내용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분석결과, 사서가 근무하고 있는 학교보다 사서교사가 근무하고 있는 학교의 학생들이 독서하는 시간이 더 많았고, 다양한 독서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으며, 읽을 책을 선정할 때 사서교사의 도움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책을 더 많이 대출하였고, DLS를 이용한 경험이 많았으며 DLS에 대한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간 차이는 '사서선생님의 수업', '대출권수', '책 선정시 사서선생님의 도움', '하루 평균 독서시간', '가정 보유 책 수', '학교도서관에서 책읽기'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간의 교육환경에 대한 불평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학교도서관 운영 인력을 배치하고 이들의 전문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chool library personnel on students' reading behaviors and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schools on i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urveyed 5,349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154 schools across Korea, and conducted a s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독서 장소에 대한 설문은 학생들이 독서할 때 어느 곳에서 독서하는 것을 선호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학생들의 독서 장소에 대한 조사는 복수응답이 가능하도록 하였는데, 그 결과는 <표 5>와 같다.
  • 학생들에게 영향력이 있는 EXO나 방탄소년단과 같은 가수그룹의 멤버들이 그들의 팬들에게 책을 권했을 때나 존경하는 선생님이 특정 도서를 읽을 것을 권장했다면 이는 학생들에게 독서 동기로 작용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독서자료 선택시 도움을 받는 인물과 매체를 통해 그들(그것들)과의 관계성을 파악하여 독서자료 선정에 있어 그들(그것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의 순위를 파악하고자 한다. 학생들이 독서자료를 선택할 때 도움을 받는 인물과 매체에 대한 조사 결과는 <표 10>과 같다.
  • 이 연구의 조사 대상 표집은 단순 무선표집(simple random sampling), 유층 표집(stratified sampling)과 군집표집(cluster sampling)을 혼합하여 추정오차의 한계를 최소 화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시․도교육청과 초․중․고등학교 및 학교도서관 운영 인력의 유형을 유층으로, 학교를 군집으로 사용하며, 각 학교 내에서는 단순무선 표집을 적용하여 학급을 선정하였고, 선정된 학급의 모든 학생을 표본에 포함시켰다.
  • 이때 기준이 되는 변수를 ‘가정 보유 책 수’로 정하여 개별학생 간 가정 보유 책 수의 차이에서 학교 간의 차이가 나타내는 ICC의 값을 다른 지표들의 ICC의 값과 비교하여 ICC값들의 상대적 위치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박주현과 장우권(2014) 은 2012년 PISA의 학업성취도 결과와 학교도서관 배경변인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이들 배경 변수의 영향력을 측정하였고, 학교도서관 인적자원의 수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연구들은 학교도서관의 영향력을 측정하기 위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특히 독서성취도를 결과 값으로 하여 다양한 학교도서관의 배경 변수들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 이에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 운영 인력이 수행해야 할 주요한 직무 중의 하나인 독서교육과 관련하여 학교도서관 운영 인력간의 차이가 학생들의 독서행태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학교도서관 운영 인력의 유형에 따른 학교간의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여 학교도서관 운영 인력에 대한 자격, 선발, 평가 및 전문성 향상 방법을 고찰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가정 보유 책 수는 학교 급에 대한 차이보다는 같은 학교 급에서 학생간의 차이, 즉 가정의 경제․문화․사회적 수준의 차이가 학생들의 독서태도와 독서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된다. 이에 학교도서관 수준의 영향력의 강도를 파악하기 위한 비교변수로 활용하기 위해 가정 보유 책 수의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학생들의 가정에서 보유하고 있는 책의 수를 조사한 결과는 <표12>와 같다.
  • 사서교사의 전문성과 책무성을 높이고자 수행되고 있는 교원능력개발평가 영역에는 교육 및 수업지원에 대한 평가 영역뿐만 아니라 독서교육이나 정보활용교육에 대한 수업 평가와 선택과목 수업에 있어서의 학습지도도 평가 영역에 포함할 수 있다(교육부훈령 제217호; 광주광역시 동부교육지원청 2017). 이와 같은 교원능력 평가 실시의 목적은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통한 공교육 신뢰 제고이다. 이는 단위학교에서 사서교사의 역할이 보다 적극적이고 보다 교육적인 영역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서교사의 배치기준은 어디서 규정하고 있는가? 사서인 동시에 교사인 사서교사의 배치기준은 ‘학교도서관진흥법’에서 규정하고 있고, 사서교사의 능력 평가는 교원능력개발평가 실시에 관한 훈령(교육부훈령 제217호)에 따르고 있다. 사서교사의 전문성과 책무성을 높이고자 수행되고 있는 교원능력개발평가 영역에는 교육 및 수업지원에 대한 평가 영역뿐만 아니라 독서교육이나 정보활용교육에 대한 수업 평가와 선택과목 수업에 있어서의 학습지도도 평가 영역에 포함할 수 있다(교육부훈령 제217호; 광주광역시 동부교육지원청 2017).
미국에서 사서교사 자격 기준 강화는 무엇을 위한 것인가? 이에 미국 대부분의 주에서는 기본적인 학력 조건 외에도 비영리기구인 ETS(Educational Testing Service)가 관장하는 미국교사자 격시험(American Teacher Certification Exams)인 Praxis의 패스를 요구하고 있다(이병기 2011, 128). 이처럼 사서교사 자격 기준 강화에 대한 미국의 이러한 변화는 사회의 요구에 맞게 교육분야의 전문성을 갖추고 그에 맞는 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사서교사의 교원능력개발평가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와 같은 교원능력 평가 실시의 목적은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통한 공교육 신뢰 제고이다. 이는 단위학교에서 사서교사의 역할이 보다 적극적이고 보다 교육적인 영역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공교육의 목적중 하나인 모든 학교 학생에 대한 공평한 교육적 접근을 제공하는 방법이기도 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Instructions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Teacher's Skills Development Assessment. No.217. Enforcement 2017.5.19. 

  2. Gwangju Dongbu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2017. 2017 Teacher's Skills Development Assessment Programme. Gwangju : Gwangju Dongbu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3. Kwon, Eun-Kyung. 2007. The Impact of Teacher Librarian's Professionalism on the School Library Revitalizatio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8(3): 247-276. 

  4. 권은경. 2009.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1): 451-469. 

  5. Ki, Min-Jin, Song, Gi-Ho. 2013. A Study on the Effect of Collaborative Instruction Between a Teacher Librarian and a Korean Language Teacher on a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Interest and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7(2): 123-142. 

  6. Kim, Sungjun, Suh, Jin-Won. 2009.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Variables Affecting the Educational Services of School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4): 163-192. 

  7. Kim, Jong-Sung. 2013. Trends Analysis of School Library Research in Korea. Journal of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4(2): 71-91. 

  8. Park, Juhyeon, Sakong, Bokhee. 2014. Effects of the Library Use Factor on Reading Achievement, Reading Attitude and Behavioral Factors of PISA 2009.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8(3): 169-191. 

  9. Park, Juhyeon, Chang, Wookwon. 2014. Analysis of PISA 2009 Impacts of School Library Level Variables on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3): 331-351. 

  10. Lee, Byeong-Ki. 2011. A Comparative Analysis Teachers' Certification and Recruitment Examination System in the Korea and U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2): 127-149. 

  11. Lee, Jee-Yeon. 2009. A Study on the Effects of School Libraries in School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4): 353-380. 

  12. AASL and AECT. 1998. Information Power : Building Partnerships for Learning. Chicago and London : ALA. 

  13. AASL. 2009. Empowering learners : Guidelines for School Library Programs. Chicago : AASL. 

  14. AASL. 2012. Performance Evaluation of School Librarians. Chicago : AASL. 

  15. Achterman, Douglas L. 2008. Haves, Halves and Have-Nots : School Libraries and Student Achievement in California.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North Texas. 

  16. ALA and AASL. 2010. ALA/AASL Standards for Initial Preparation of School Librarians. [online] [cited 2017.9.2.] 

  17. Coker, E. 2015. Certified Teacher-Librarians, Library Quality and Student Achievement in Washington State Public Schools. Edmonds, WA : Washington Library Media Association. 

  18. Craver, kathleen W. 1986. The Changing Instructional Role of the High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 1950-84 : A Survey of Professional Literature, Standards and Research Studies. School Library Media Quarterly, 14(4): 183-191. 

  19. Dow, Mirah J., Jacqueline McMahon-Lakin and Stephen C. Court. 2012. School Librarian Staffing Levels and Student Achievement as Represented in 2006-2009 Kansas Annual Yearly Progress Data. School Library Research, 15: 1-15. 

  20. Francis, Briana Hovendick, Keith Curry Lance and Zeth Lietzau. 2010. School Librarians Continue to Help Students Achieve Standards : The Third Colorado Study. Denver : Colorado State Library, Library Research Service. 

  21. Haycock, Ken and Cheryl Stenstrom. 2016. Reviewing the Research and Evidence: Towards Best Practices for Garnering Support for School Libraries. School Libraries Worldwide, 22(1): 127-141. 

  22. Lance, Keith Curry and Linda Hosfschire. 2011. Something to Shout About : New Research Shows that More Librarians Means Higher Reading Scores. School Library Journal, 57(9): 28-33. 

  23. Lance, Keith Curry and Linda Hosfschire. 2012. Change in School Librarian Staffing Linked with Change in CSAP Reading Performance, 2005 to 2011. Denver : Colorado State Library, Library Research Service. 

  24. Lance, Keith Curry and Bill Schwarz. 2012. How Pennsylvania School Libraries Pay Off : Investments in Student Achievement and Academic Standards. Colorado : RSL Research Group. 

  25. NBPTS. 2012. Library Media Standards for Teachers of Students Ages 3-18+. 2nd ed. National Board for Professional Teaching Standards. [cited 2016.10.7.] 

  26. OECD. 2013. PISA 2009 Technical Report. [cited 2017.9.3.] 

  27. Scholastic 2017. Kids and Family Reading Report. 6th Edition. [cited 2017.12.8.] 

  28. Small, Ruth V., Jaime Snyder and Katie Parker. 2009. The Impact of New York's School Libraries on Student Achievement and Motivation : Phase I. School Library Media Research, 12: 1-29. 

  29. Stanovich, Keith E. 1986. Matthew Effects in Reading : Some Consequences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Acquisition of Literacy, Reading Research Quarterly, 22: 360-407. 

  30. Todd, Ross J., Carol A. Gordon and Ya-Ling Lu. 2010. Report of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of the New Jersey School Library Survey Phase 1 : One Common Goal : Student Learning. New Jersey : Center for International Scholarship in School Libraries, New Jersey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 

  31. U.S. Department of Education. Improving Literacy Through School Libraries. [cited 2017.5.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