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암세포주에서 상피간엽전환억제를 통한 Silymarin의 침윤 및 전이 억제 효과
Silymarin Attenuates Invasion and Migration through the Regulation of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in Huh7 Cell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KJCLS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v.50 no.3, 2018년, pp.337 - 344  

김도훈 (동의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박소정 (동의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이승연 (동의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윤현서 (동의대학교 치위생학과) ,  박충무 (동의대학교 임상병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발생하는 간암 중 가장 주요한 형태인 간세포암은 강한 전이특성으로 인해 높은 재발율과 사망률을 보인다. Silymarin은 엉겅퀴에서 추출한 플라보노이드 성분으로 여러 암세포주에서 상피간엽전환(epithelial mesenchymal transition, EMT) 조절을 통해 항암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silymarin이 EMT의 조절을 통해 간세포암 세포주인 Huh7 cell의 침윤과 전이를 억제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Huh7 cell의 침윤과 전이 활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wound healing assay와 in vitro invasion assay를 시행하였고 EMT 관련 유전자와 상위 신호전달물질의 발현 분석을 위해 Western blot assay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silymarin은 농도 의존적으로 Huh7 cell의 침윤과 전이를 억제하였다. EMT 관련 유전자 중 세포 부착 단백질인 E-cadherin은 증가하였으나, 중간엽세포의 지표인 vimentin, 종양미세환경 조절에 관여하는 MMP-9의 발현은 억제되었고 이들의 활성에 관여하는 전사인자인 Snail과 nuclear factor $(NF)-{\kappa}B$ 또한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상위신호전달물질 중 silymarin은 phosphoinositide-3-kinase (PI3K)/Akt의 인산화 억제를 통해 EMT 관련 유전자들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것은 selective inhibitor인 LY294002의 처리 결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silymarin은 PI3K/Akt 경로를 통해 EMT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Huh7 cell의 침윤과 전이를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통해 silymarin이 간세포암의 전이 억제에 효과적인 항암물질의 후보가 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후보물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a major type of hepatoma, is associated with high recurrence and mortality because of its uncontrolled metastatic feature. Silymarin is a polyphenolic flavonoid from Silybum marianun (milk thistle) and exhibits anti-carcinogenic activity through modulation of the ep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이들은 leptin으로 유도된 간세포암의 성장, 침윤과 전이에 관련된 것으로 보고되기도 하였다[1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Huh7 cell의 EMT관련 유전자 조절에 어떤 신호전달물질이 관여하고, silymarin에 의해 조절되는지의 여부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Figure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silymarin이 ERK, JNK, p38의 인산화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나 Akt의 인산화는 유의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절제 후 초기에 재발하는 암은 주로 간내 전이로부터 발생되고 후기 재발 암은 다발성 발암과정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9, 20].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염의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진 silymarin이 EMT 조절을 통해 간세포암의 침윤과 전이를 억제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Huh7 cell의 운동성에 의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wound healing이 이루어졌으나 silymarin을 처리한 세포는 운동성이 현저히 떨어져 wound healing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았다.
  • Silymarin은 엉겅퀴에서 추출한 플라보노이드 성분으로 여러 암세포주에서 상피간엽전환(epithelial mesenchymal transition, EMT) 조절을 통해 항암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silymarin이 EMT의 조절을 통해 간세포암 세포주인 Huh7 cell의 침윤과 전이를 억제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Huh7 cell의 침윤과 전이 활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wound healing assay와 in vitro invasion assay를 시행하였고 EMT 관련 유전자와 상위 신호전달물질의 발현 분석을 위해 Western blot assay를 실시하였다.
  • Silymarin은 항산화효과, 지질과산화 억제효과 등으로 인해 간 보호효과가 있고, 간세포막의 독성물질이 수용체와 결합 후 세포막을 파괴하는 작용을 방해함으로써 세포를 안정시켜 간세포를 보호하기도 하며 혈중지단백의 대사를 정상화함으로써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0]. 특히, silymarin은 non-small cell lung carcinoma, prostate cancer, bladder cancer 등 다양한 암세포에서 EMT 조절을 통해 항암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간세포암에서는 그 효과가 보고되지 않았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그 활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7, 9, 1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세포암이 가진 특성은 무엇인가? 발생하는 간암 중 가장 주요한 형태인 간세포암은 강한 전이특성으로 인해 높은 재발율과 사망률을 보인다. Silymarin은 엉겅퀴에서 추출한 플라보노이드 성분으로 여러 암세포주에서 상피간엽전환(epithelial mesenchymal transition, EMT) 조절을 통해 항암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Silymarin은 암세포에서 어떤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었는가? 발생하는 간암 중 가장 주요한 형태인 간세포암은 강한 전이특성으로 인해 높은 재발율과 사망률을 보인다. Silymarin은 엉겅퀴에서 추출한 플라보노이드 성분으로 여러 암세포주에서 상피간엽전환(epithelial mesenchymal transition, EMT) 조절을 통해 항암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silymarin이 EMT의 조절을 통해 간세포암 세포주인 Huh7 cell의 침윤과 전이를 억제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EMT 관련 유전자와 상위 신호전달물질의 발현이 silymarin 에 어떤 영향을 받는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위신호전달물질이 어떤 과정을 통해 EMT 관련 유전자들을 조절하는 지 알 수 있었으며 관련 물질은 무엇이었는가 ? EMT 관련 유전자 중 세포 부착 단백질인 E-cadherin은 증가하였으나, 중간엽세포의 지표인 vimentin, 종양미세환경 조절에 관여하는 MMP-9의 발현은 억제되었고 이들의 활성에 관여하는 전사인자인 Snail과 nuclear factor $(NF)-{\kappa}B$ 또한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상위신호전달물질 중 silymarin은 phosphoinositide-3-kinase (PI3K)/Akt의 인산화 억제를 통해 EMT 관련 유전자들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것은 selective inhibitor인 LY294002의 처리 결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silymarin은 PI3K/Akt 경로를 통해 EMT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Huh7 cell의 침윤과 전이를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Zeisberg M, Neilson EG. Biomarkers for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s. J Clin Invest. 2009;119:1429-1437. 

  2. Thiery JP, Acloque H, Huang RY, Nieto MA.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s in development and disease. Cell. 2009; 139:871-890. 

  3. van Zijl F, Zulehner G, Petz M, Schneller D, Kornauth C, Hau M, et al.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in hepatocellular carcinoma. Future Oncol. 2009;5:1169-1179. 

  4. Lamouille S, Xu J, Derynck R. Molecular mechanisms of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Nat Rev Mol Cell Biol. 2014; 15:178-196. 

  5. Kim SM, Han JH, Park SM. The role of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in the gastroenterology. Kor J Gastroenterol. 2010; 56:69-77. 

  6. Chen PN, Hsieh YS, Chiou HL Chu SC. Silibinin inhibits cell invasion through inactivation of both PI3K-Akt and MAPK signaling pathways. Chem Biol Interact. 2005;156:141-150. 

  7. Cufi S, Bonavia R, Vazquez-Martin A, Corominas-Faja B, Oliveras-Ferraros C, Cuyas E, et al. Silibinin meglumine, a water-soluble form of milk thistle silymarin, is an orally active anti-cancer agent that impedes the epithelial-to-mesenchymal transition (EMT) in EGFR-mutant non-small-cell lung carcinoma cells. Food Chem Toxicol. 2013;60:360-368. 

  8. Deep G, Agarwal R. Antimetastatic efficacy of silibinin: molecular mechanisms and therapeutic potential against cancer. Cancer Metastasis Rev. 2010;29:447-463. 

  9. Deep G, Gangar SC, Agarwal C, Agarwal R. Role of E-cadherin in antimigratory and antiinvasive efficacy of silibinin in prostate cancer cells. Cancer Prev Res (Phila). 2011;4:1222-1232. 

  10. Skottova N, Krecman V, Simanek V. Activities of silymarin and its flavonolignans upon low density lipoprotein oxidizability in vitro. Phytother Res. 1999;13:535-537. 

  11. Wu K, Ning Z, Zeng J, Fan J, Zhou J, Zhang T, et al. Silibinin inhibits $\beta$ -catenin/ZEB1 signaling and suppresses bladder cancer metastasis via dual-blocking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and stemness. Cell Signal. 2013;25:2625-2633. 

  12. Hsieh MJ, Lin CW, Yang SF, Chen MK, Chiou HL. Glabridin inhibits migration and invasion by transcriptional inhibi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 9 through modulation of NF- ${\kappa}B$ and AP-1 activity in human liver cancer cells. Br J Pharmacol. 2014; 171:3037-3050. 

  13. Guarino M, Rubino B, Ballabio G. The role of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in cancer pathology. Pathology. 2007;39: 305-318. 

  14. Hu L, Lau SH, Tzang CH, Wen JM, Wang W, Xie D, et al. Association of vimentin overexpression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metastasis. Oncogene. 2004;23:298-302. 

  15. Saxena NK, Sharma D, Ding X, Lin S, Marra F, Merlin D, et al. Concomitant activation of the JAK/STAT, PI3K/AKT, and ERK signaling is involved in leptin-mediated promotion of invasion and migration of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s. Cancer Res. 2007;67:2497-2507. 

  16.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KR). Cancer statistics. Cancer incidence in 2015 [Internet]. Goyang: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15 [Cited 2018 June 04]. Available from: https://www.cancer.go.kr/lay1/S1T639C641/contents.do. 

  17.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KR). Cancer statistics. Liver cancer incidence by histology group in 2015 [Internet]. Goyang: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15 [Cited 2018 June 04]. Available from: https://www.cancer.go.kr/lay1/program/S1T211C216/cancer/view.do?cancer_ seq3317&menu_seq3322. 

  18. Tang ZY. Hepatocellular carcinoma--cause, treatment and metastasis. World J Gastroenterol. 2001;7:445-454. 

  19. Lee HS, Choi GH, Hwang HK, Kang CM, Choi JS, Lee WJ. The risk factors for extrahepatic recurrence after curative resection of hepatocellular carcinoma. Ann Hepatobiliary Pancreat Surg. 2010;14:227-234. 

  20. Portolani N, Coniglio A, Ghidoni S, Giovanelli M, Benetti A, Tiberio GA, et al. Early and late recurrence after liver resection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prognostic and therapeutic implications. Ann Surg. 2006;243:229-235. 

  21. Mani SA, Guo W, Liao MJ, Eaton EN, Ayyanan A, Zhou AY, et al. The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generates cells with properties of stem cells. Cell. 2008;16:704-715. 

  22. Gilles C, Polette M, Zahm JM, Tournier JM, Volders L, Foidart JM, et al. 1999. Vimentin contributes to human mammary epithelial cell migration. J Cell Sci. 1999;112:4615-4625. 

  23. Huang C, Jacobson K, Schaller, MD. A role for jnk-paxillin signaling in cell migration. Cell Cycle. 2004;3:4-6. 

  24. Huang C, Jacobson K, Schaller MD. Map kinases and cell migration. J Cell Sci. 2004;117(Pt 20):4619-4628. 

  25. Hsieh YS, Chu SC, Yang SF, Chen PN, Liu YC, Lu KH. Silibinin suppresses human osteosarcoma MG-63 cell invasion by inhibiting the ERK-dependent c-Jun/AP-1 induction of MMP-2. Carcinogenesis. 2007;28:977-987. 

  26. Lee SO, Jeong YJ, Im HG, Kim CH, Chang YC, Lee IS. Silibinin suppresses PMA-induced MMP-9 expression by blocking the AP-1 activation via MAPK signaling pathways in MCF-7 human breast carcinoma cells.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07; 354:165-1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