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16F10 melanoma cell을 이용한 캐모마일(Matricaria chamomilla L.) 추출물의 미백 효과
Whitening effect of extracts from Matricaria chamomilla L. with B16F10 melanoma cells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61 no.3, 2018년, pp.267 - 273  

조재범 (School of Food science & Biotechnology) ,  김명욱 (Gyeongbuk Institute for Marine Bio industry) ,  이은호 (School of Food science & Biotechnology) ,  김예진 (School of Food science & Biotechnology) ,  조은비 (School of Food science & Biotechnology) ,  강인규 (Department of Horticultural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조영제 (School of Food science & Biotechnolog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능성 천연물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캐모마일 추출물의 미백 효과를 조사하고 melanin 생성 반응에 관여하는 물질 억제에 대한 기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캐모마일을 water와 60% ethanol을 이용하여 추출하였고, 얻어진 추출물을 phenolic 농도별로 설정하여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알아보았을 때, water 추출물의 경우 효과가 미비하였고, 60% ethanol 추출물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 활성이 나타내어 melanin 생성 저해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캐모마일 60% ethanol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얻어진 분말을 이용하여 B16F10 melanoma cell에 대한 세포 독성을 측정 결과, $75{\mu}g/mL$의 농도에서부터 독성이 관찰되어 농도 구간을 10, 25, $50{\mu}g/mL$으로 선정하였다. ${\alpha}-MSH$로 자극한 B16F10 melanoma cell에서 melanin 생성량을 측정하여 캐모마일의 melanin 성성 억제 효능과 melanin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단백질인 tyrosinase, MITF, TRP-1, TRP-2의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를 알아본 결과, 캐모마일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melanin 생성 함량이 감소하였고, tyrosinase, TRP-1, TRP-2, 등의 단백질 발현량 또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캐모마일 추출물은 B16F10 melanoma cell에서 melanin의 생성을 억제하고, melanin 생성 관련 단백질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위의 결과들로 인하여 캐모마일은 미백 기능성 식품 산업화를 위한 유용한 자원으로 활용 될 것으로 예상되며, 추후 산업적 응용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tricaria chamomilla L. has been used as a bath agent in Europe because of its sterilization effect on the skin. Flowers contain terpenes, flavonoids are effective in relieving inflammation. Matricaria chamomilla L. has been reported to have various drug efficacies such as sedation, anti-diabetic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캐모마일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B16F10 mouse melanoma cell에 처리한 후 cellular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고, MITF, TRP-1, TRP-2 등의 melanin 생성에 관여하는 단백질의 발현 억제를 확인하여 미백 효과에 대한 효능을 확인함으로써 피부 미백 개선 화장료로서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elanin이란? 미백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melanin 형성을 억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 이러한 이유는 keratinocyte에 있는 melanin 분포량에 따라 피부의 색소가 침착되고 피부색까지 결정되기 때문이다[1]. 피부의 색에 관여하는 melanin은 검은 색소와 단백질의 복합체로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는 phenol류의 고분자 물질로서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요인인 유전적 요인을 제외하고 일차적으로 피부 색소에 기인한다[2-4]. 현재 알려진 미백 원료로는 kojic acid, ascorbic acid, arbutin 등이 있다.
chamazulene의 효능은? 캐모마일의 꽃에는 terpenes, flavonoids, coumarin, calicacid,무기질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꽃을 증류 추출하여 얻은 에센셜 오일은 푸른빛을 띠고 28종류의 terpenes (αbisabolol, chamazulene, bisabolol oxide 등)의 성분과 36가지의flavonoids (apogenin 등), 52가지의 유기산 등 120여종의 화합물들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특히 α-bisabolol은 통풍을 감소시키며, 위궤양의 진행을 억제시키고, 피부염 치료에 효과가 있으며, chamazulene은 항염증 지질과산화 억제효과를 가지고 있어 염증을 가라앉히는데 효과적이다[7,8]. 또한 캐모마일은 진정 작용, 항당뇨 효과, 항관절염 효과 등의 다양한약물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9-11].
미백 원료인 kojic acid, ascorbic acid, arbutin의 부작용은 무엇인가? 현재 알려진 미백 원료로는 kojic acid, ascorbic acid, arbutin 등이 있다. 하지만 발암을 유발하거나 유전 독성을 가지며, 수용성에서 분해되며 세포 투과성의 문제로 화장품 미백 원료로서 문제점이대두되고 있다. 그러한 이유로 부작용이 적은 천연적인 미백 소재의 탐구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ho JH, Kim HJ, Kim YB (2003) The study on depigmentation effects of salt, acetum, sesami semen nigrum.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16: 79-95 

  2. Jin Y, Li G, Ahn SY, Kim EK, Row KH (2006) Extraction and effect of whitening agents from chinese plants. Analytical science & Techinology 19: 194-202 

  3. Gates RR, Zimmermann AA (1953) Comparison of skin color with melanin content.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21: 339-348 

  4. Parra EJ, Kittles RA, Shriver MD (2004) Implications of correlations between skin color and genetic ancestry for biomedical research. Nature Genetics 36: S54-S60 

  5. Cho YJ, Yoon SJ, Kim JH, Chun SS (2005) Biological activity of chamomile (Matricaria chamomilla L.)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446-450 

  6. Lawrence MB, Tobacco RJR (1996) Progress in essential oil. Perfumer and Flavorist 21: 55-68 

  7. Lee SH, Min KJ, Lee KO, Sin JS, Kim YC (2008) Effect of german chamomile oil application to atopoc dermatitis mice on the change of serum IgE level. J Kor Soc Cosm 14: 337-345 

  8. Srivastava JK, Shankar E, Gupta S (2011) Chamomile: A herbal medicine of the past with bright future. Mol Med Report 3: 895-901 

  9. Kim JH, Kim SY, Hong YN Kim YS, Han YM (2014) Effect of chamomile flower extract on septic arthritis due to Candida albicans. Yakhak Hoeji 58: 343-348 

  10. Abebe W (2002) Herbal medication: potential for adverse interactions with analgesic drugs. J Clin Pharm Ther 27: 391-401 

  11. Weidner C, Wowro SJ, Rousseau M, Freiwald A, Kodelja V, Abdel-Aziz H, Kelber O, Sauer S (2013) Antidiabetic effects of chamomile flowers extract in obese mice through transcriptional stimulation of nutrient sensors of the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 family. PLos One 8: e80335 

  12. Hearing VJ Jr (1987) Mammalian monophenol monooxygenase (tyrosinase): purification, properties, and reactions catalyzed. Methods Enzymol 142: 154-165 

  13. Carmichael J, DeGraff WG, Gazdar AF, Minna JD, Mitchell JB (1987) Evaluation of a tetrazolium 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assessment of chemosen- sitivity testing. Cancer Res 47: 936-942 

  14. Hosoi J, Abe E, Suda T, Kuroki T (1985) Regulation of melanin synthesis of B16 melanoma cell by 1 alpha, 25-dihydroxyvitamin D3 and retinoic acid. Cancer Res 45: 1474-1478 

  15. Tsuji N, Moriwaki S, Suzuki Y, Takema Y, Imokawa G (2001) The role of elastases secreted by fibroblasts in wrinkle formation: implication through selective inhibition of elastase activity. Photochem Photobiol 74: 283-290 

  16. Jeon YS, Jo BS, Park HJ, Kang SA, Cho YJ (2012)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y of Caragana sinic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rt 41: 1211-1219 

  17. Mosmann Tim (1983)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 Methods 65: 55-63 

  18. Aroca P, Urave K, Kobayashi K, Taskamoto K, Hearing VJ (1993) Melanin biosynthesis patterns of following hormonal stimulation. J Biol Chem 268: 25650-25655 

  19. Paval S (1993) Dynamics of melanogenesis intermediates. J Invest Dermatol 100: 162S-165S 

  20. Jimenez-Cervantes C, Solano F, Kobayashi T, Urabe K, Hearing VJ, Lozano J (1994) A new enzymatic fuction in the melanogenic pathway. J Biol Chem 269: 17993-18001 

  21. Yu JM, Kim DH, Son JH (2015) Whitening effects of solvent fractions isolated from Vitex rotundifolia. J Appl Biol Chem 58: 266-271 

  22. Abdel-Maldk A, Swope VB, Suzuki I, Harriger MD, Boyce ST, Urabe K (1995) Mitogenic and melanogenic stimulation of normal human melanocytes by melanotropoc peptides. Proc Natl Acad Sci 92: 1789-1793 

  23. Fuller BB, Meyskens FL Jr (1981) Endocrine responsiveness in human melanocyte and melanoma cell in culture. J Natl Cancer Inst 66: 799-802 

  24. Jeon MO, Moon JS (2017) Study on Applicability of Pinus koraiensis Siebold et Zucc Leaf Extract as a Cosmetic Ingredient.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34: 602-612 

  25. Yoo DH, Joo DH, Lee SY, Lee JY (2015) Antioxidant effect of Nelumbo nucifera G. leaf extract and inhibition of MITF, TRP-1, TRP-2 and tyrosinase expression in a B16F10 melanoma cell line. Journal of Life Science 25: 1115-1123 

  26. Hearing VJ, Tsukamoto K, Urabe K, Kameyama K, Montague PM, Jackson IJ (1992) Fuctional properties of cloned melanogenic proteins. Pigment Cell Res 5: 264-270 

  27. Takechi Y, Hera I, Naftzer C, Xu Y, Houghton An (1996) A melanosomal membrane protein is a cell surface taket for melanoma therapy. Clin Cancer Res 2: 1837-1842 

  28. Lee HJ (2016) Effect of Solanum nigrum L. extract on antioxidant activity and melanogenesis. Daejeon University, Daejeon,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