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재해율 감소를 위한 위험성평가 방안

A Risk Assessment Counterplan for Reducing the Accident Rates in Medium and Small sized Construction Sites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9 no.5, 2018년, pp.90 - 100  

장윤라 (전남대학교 건축공학과) ,  고성석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부의 국민생명 지키기 3대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전체 사고성 사망사고의 절반이상을 차지하는 건설현장에서의 재해예방을 위한 감소대책과 근본적인 변화를 위한 안전 중시 문화 확산을 위해 사전예방의 실효성 있는 위험성 평가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건설재해 중 중 소규모 현장의 재해는 전체 건설 재해의 88.9%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안전관리감독자의 부재로 인한 관리소홀과 사전 안전조치 미흡이 가장 큰 문제점이라 볼 수 있다. 이에 대한 중 소규모 건설현장의 재해예방을 위해서는 현장의 위험성을 평가하고 예방할 수 있는 적극적인 방안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는 건설재해의 발생빈도가 높은 중 소규모건설현장의 재해율 저감을 위해 건설현장 안전관리 문제점을 도출 분석하여 재해다발요인의 중점 위험항목과 선제적이고 실천 가능한 위험성 평가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overnment needs a risk assessment method that is effective in preventing accidents as a part of the three principal projects of the government for protecting the people's lives for establishing preventative measures to prevent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sites, which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달리 중·소규모 현장에서 적용가능한 범주로 구성하여 관리자와 재해당사자인 근로자의 참여가 바탕이 된 위험성 평가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위험 공정별 협력업체의 안전관리감독자 배치 의무화와 그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 등으로 재해 예방활동에 동기부여가 되도록 한다. 또한 관리감독자 부재로 인한 위험성 평가가 실시되고 있지 않고 있는 실정이므로 사전작업허가제 및 안전감리제도를 도입하여 관리적인 결함을 보완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 본 연구는 건설업의 재해예방을 위하여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위험성평가 방안을 제시하고자 유관 연구자료 분석 및 국내 건설 중인 신축공사 현장대상으로 방문 면담 및 설문조사 통해 실시하였으며, 다음 [Fig. 1]과 같은 절차 및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재해율 저감을 위해 재해현황과 실태조사를 통한 건설현장의 안전관리 문제점을 도출, 분석하여 재해 다발요인의 중점 위험항목과 선제적이고 실천 가능한 위험성 평가 방안을 제시하고자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는 건설재해의 발생빈도가 높은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재해율 저감을 위해 건설현장안전관리 문제점을 도출·분석하여 재해다발요인의 중점위험항목과 선제적이고 실천 가능한 위험성 평가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 첫째, 연구의 배경이 되는 중·소규모 건설현장의 안전관리 실태와 안전 활동 및 위험성 평가 실시 여부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연구의 목적을 제시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위험성 평가란? 위험성 평가란 ‘사업주가 사업장의 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하고 해당 유해위험요인에 의한 부상 또는 질병의 발생 가능성(빈도)과 중대성(강도)을 추정, 결정하고 감소대책을 수립하여 실행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위험성 평가 실시 주체는 누구인가? 위험성 평가 실시 주체는 사업주가 주체가 되어 안전보건관리 책임자, 관리감독자, 안전관리자 및 보건관리자, 대상공정의 작업자가 참여하여 각자의 역할을 분담하여 실시하여야 한다.
건설현장 위험성평가 실태 및 문제점을 조사 분석한 결과 재해가 발생하는 주원인은 ? 그리고 재해 당사자인 근로자는 안전관리에 대해 자발적이지 않고 소극적으로 참여를 하여 가장 큰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재해가 발생하는 원인으로 관리감독자의 부재, 사업주와 근로자의 안전의식 결여. 주체 간 소통부재, 낮은 안전관리비용투자 등으로 분석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KOSHA (2018). Industrial Disaster Occurrences 2017. 

  2. Hong, J. S., Bae, D. K., Kim, J. J. (2005). " A Safety Management Activity Improvement in Construction Sites through Analysis of Success Factors."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6(5), pp 148-156 

  3. Hong, C. H. (2009). "A Safety Management Activity Model in Construction Sites through Analysis of Success Factors."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4. Yang, Y. C., Choi, H., Kim, J. J. (2004). "An Integrated Operation Method of Safety Checklist and Schedule for Construction Accident Prevention."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5(2), pp 123-131 

  5. Won, B. H. (2011). "A Study on Weighting of Impact Factors in Risk Assessment of Occupation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of Hanyang University. 

  6. Seo, Y. H. (2012). "Research on effectiveness of risk assessment of construction industry." Department of Safety and Environmental, Incheon National University. 

  7. Choi, S. H. (2013). "A Study on the Optimized Practical Application of Risk Assessment in Construction Industry." Department of Safety Engineering, Incheon National University. 

  8. No, H. S. (2016). "Research on the facilitation of risk assessment for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Korea National University. 

  9. Kim, J. S. (2016). "A Study on Risk Assessment Improvement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Industry." Department of Safety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10. Ki, S. H. (2016).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 risk assessment model to improve safety activities of construction participants." Department of Disaster Science, University of Seoul. 

  11. Paek, C. H. (2016). "A Study on the Optimization effectiveness of risk assessment in construction industry, Department of Applied Chem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Education. 

  12. Kim, S. H. (2017). "A Study on effectiveness of risk assessment for construction site." Korea National University. 

  13.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KOSHA (2015). Guide for Risk Assessmen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