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약국에서 보고된 전문의약품과 일반의약품의 이상사례 보고현황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Ethical-the-counter Drugs and Over-the-counter Drugs for the Adverse Events from the Community Pharmacy 원문보기

한국임상약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v.28 no.3, 2018년, pp.230 - 237  

이모세 (대한약사회 지역의약품 안전센터) ,  박소희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  김나영 (대한약사회 지역의약품 안전센터) ,  오인선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  이정민 (대한약사회 지역의약품 안전센터) ,  이의경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  신주영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o compare adverse event reporting patterns between ethical-the-counter and over-the-counter drugs from community pharmacies and outpatient settings. Methods: We conducted a descriptive study using the adverse event reporting database, wherein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regional pharm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상사례 보고 양상을 전문의약품과 일반의약품으로 나누어서 의약품 분류의 구분에 따른 연령, 성별 등 인구학적 특징의 차이, 다빈도로 보고되는 의약품 계열, 다빈도로 보고되는 부작용의 종류 및 인과성의 강도 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2016년 전국의 약국으로부터 대한약사회 지역의약품안전센터에 보고된 외래환자의 약물 이상사례를 분석한 것으로, 전문의약품과 일반의약품의 보고 양상의 차이와 일반의약품 내에서 처방과 비처방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보고된 이상사례는 전문의약품의 비중이 일반의약품보다 높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약물이상반응이란? 약물이상반응(adverse drug reaction, ADR)은 의약품 등을 정상적인 용량에 따라 약물을 투여한 후 발생한 유해하고 의도하지 않은 약물반응으로 해당 의약품과의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경우를 말한다.1) ADR은 환자의 입원기간과 치료기간 연장을 유발하고, 치료비용을 상승시켜 환자와 보험제정 모두의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킨다.
본 연구에 따른 성별에 따른 이상사례 보고 차이는? 본 연구에서 이상사례 보고 환자 중 여성의 비율이 남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이전의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약물 이상반응이 여성에서 남성보다 약 1.5배 정도 많이 보고 된다는 것과 일치한다.
ADR이 끼치는 악영향은? 약물이상반응(adverse drug reaction, ADR)은 의약품 등을 정상적인 용량에 따라 약물을 투여한 후 발생한 유해하고 의도하지 않은 약물반응으로 해당 의약품과의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경우를 말한다.1) ADR은 환자의 입원기간과 치료기간 연장을 유발하고, 치료비용을 상승시켜 환자와 보험제정 모두의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킨다.2) 이외에도 환자가 연장된 입원기간 동안 일을 쉬게 되거나, ADR 발생에 따른 불안장애 유병률이 증가하는 등의 간접비용이 추가로 발생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Korea Institute of Drug Safety and Risk Management. Pharmacovigilance terms. Available from https://www.drugsafe.or.kr/iwt/ds/ko/information/EgovDrugWatchTerm.do. Accessed April 18, 2018. 

  2. Yu YM, Choi SA, Lee MS, et al.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dverse drug reactions reported from the community pharmacy. Korean J Clin Pharm 2014;24. 

  3. Sultana J, Cutroneo P, Trifiro G. Clinical and economic burden of adverse drug reactions. J Pharmacol Pharmacother 2013;4(Suppl1): S73. 

  4. Chan SL, Ang X, Sani LL, et al.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adverse drug reactions at admission to hospital: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Br J Clin Pharmacol 2016;82(6):1636-46. 

  5. Rodriguez-Monguio R, Otero MJ, Rovira J. Assessing the economic impact of adverse drug effects. Pharmacoeconomics 2003;21(9):623- 50. 

  6. Tache SV, Sonnichsen A, Ashcroft DM. Prevalence of adverse drug events in ambulatory care: a systematic review. Ann Pharmacother 2011;45(7-8):977-89. 

  7.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Results of medical care benefits by type of medical care institutions and medical type (Total).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50&tblIdTX_35001_A037. Accessed March 7, 2018. 

  8.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Outpatients prescription number by prescription day and type of medical care institutions.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54&tblIdDT_LEE_28. Accessed March 7, 2018. 

  9. Korea Institute of Drug Safety and Risk Management. 2017 Trends in safety information reporting pharmaceuticals. Available from http://open.drugsafe.or.kr/trend/trend/Read.jsp?ntt_id2081. Accessed April 12, 2018. 

  10.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Regulation on standard of medicines category: Notification No.2015-81, article 2 Enforcement November 11, 2015. 

  11. Korea Institute of Drug Safety & Risk Management. Adverse Drug Reaction Assessment Report, 1st ed. Korea: Korea Institute of Drug Safety & Risk Management 2013;60-3. 

  12. Lim KH, Shin HT, Sohn HS, et al. Comparison of WHO-ART Versus MedDRA, Internationally Standardized Terminology of adverse Drug Reaction Classification. Korean J Clin Pharm 2007;17(1):46-52. 

  13. WHO collaboration Centre for Drug Statistics Methodology. ATC Structure and principls. Available from https://www.whocc.no/atc/structure_and_principles/. Accessed March 28, 2018. 

  14. Uppsala Monitoring Centre. The use of the WHO-UMC system for standardised case causality assessment. Available from http://www.who-umc.org. Accessed June 11, 2018. 

  15.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OTC drugs regestration status.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54&tblIdDT_354004N_007. Accessed March 23, 2018. 

  16.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ETC/OTC drugs claim status.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54& tblIdDT_354004N_020. Accessed November 21, 2017. 

  17. Rademaker M. Do women have more adverse drug reactions? Am J Clin Dermatol 2001;2(6):349-51. 

  18. Rew SY, Koh YI, Shin HY, et al. Reporting and clinical features of adverse drug reactions from a single university hospital. Korean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2011;31(3):184-91. 

  19. Kim MG, Kang HR, Kim JH, et al. Analysis of adverse drug reactions collected by an electronic reporting system in a single hospital. Korean J Med 2009;77(5):601-9. 

  20. Gavaza P, Brown CM, Lawson KA, et al. Influence of attitudes on pharmacists' intention to report serious adverse drug events to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Br J Clin Pharmacol 2011; 72(1): 143-52. 

  21. Cosentino M, Leoni O, Oria C, et al. Hospital-based survey of doctors' attitudes to adverse drug reactions and perception of drug-related risk for adverse reaction occurrence. Pharmacoepidemiol Drug Saf 1999; 8(Suppl 1): S27-35. 

  22. Kim H. Attitude and knowlege of community pharmacists to adverse drug reaction reporting. Korean J Clin Pharm 2009;19(2): 159-66. 

  23.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Frequent disease statistics. Available from http://opendata.hira.or.kr/op/opc/olapHifrqSickInfo.do. Accessed March 28, 2018. 

  24. Chung EH. Clinical implication of adverse drug reaction surveillance in children.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6;4(5):309-10. 

  25. Lee JK. Factors associated with drug misuse behaviors among polypharmacy elderly. Korean J Adult Nurs 2011;23(6):554-63. 

  26. Choi YH, Sohn UD. The surveillance of adverse drug reaction(ADR) reported. Korean J Clin Pharm 2003;13(2):72-81. 

  27. Sriram S, Ghasemi A, Ramasamy R, et al. Prevalence of adverse drug reactions at a private tertiary care hospital in south India. J Res Med Sci 2011;16(1):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