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링가 추출물에 대한 화장품약리활성 검증
Studies on Cosmeceutical Activity of Extracts of Moringa oleifera Extract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4 no.3, 2018년, pp.219 - 229  

김소라 (호서대학교 화장품생명공학부) ,  유단희 (호서대학교 화장품생명공학부) ,  염현지 (호서대학교 화장품생명공학부) ,  오민정 (호서대학교 화장품생명공학부) ,  이진영 (호서대학교 화장품생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천연소재로서 모링가 에탄올 추출물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yrosinase와 elast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각각 $1,000{\mu}g/mL$에서 47%, 39%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모링가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collage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1,000{\mu}g/mL$에서 31%의 활성을 확인하였다. 세포 생존율을 MTT 분석법으로 확인한 결과 대식 세포(Raw264.7)와 멜라노마 세포(B16F10)의 농도 구간이 $100{\mu}g/mL$ 일 때 각각 94.2%, 94.8%의 생존율을 보였다. 항염증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griess 분석에 의하여 대식 세포에 lipopolysaccharides (LPS)를 처리하였다. 그 결과 모링가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NO 발현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Western blot을 통한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25, 50, $100{\mu}g/mL$ 농도의 모링가 에탄올 추출물과 ${\beta}-actin$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iNOS, COX-2, MITF, TRP-1, TRP-2, tyrosinase의 단백질 발현양이 $1 00{\mu}g/mL$에서 85.8%, 57.5%, 80.7%, 30%, 29.9%, 23.6%로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미백 및 항염증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고, 모링가 에탄올 추출물의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the Moringa oleifera (M. oleifera) extract as a cosmetic additive. The tyrosinase and elastase inhibitory effects showed 47% and 39% at $1,000{\mu}g/mL$ concentration, respectively. Also, the collagenase inhibition effect was 31% 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약적으로도 많은 효능 ·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진 모링가를 화장품 천연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모링가 에탄올 추출물의 미백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tyrosinase 저해 활성 측정 결과 1,000 μg/mL에서 47%의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억제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약리성분과 효능, 효과를 가지고 있는 모링가 추출물을 이용하여 B16F10 melanoma 세포 및 RAW 264.7 세포에서의 독성 및 항염증, in vitro 미백활성을 검증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염증 반응은 무엇인가? 이로 의해 다양한 연령층에서 면역조절 이상으로 유발되는 염증 반응, 알러지 및 아토피 질환과 같은 염증성 질환의 발생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3]. 염증 반응은 체내에 여러 가지 형태의 이물질이 외부로부터 침입하였거나 조직이 감염되어 생긴 물리적, 화학적 자극에 의한 피부 손상을 방어하기 위해 반응하는 현상을 말한다. 하지만 이러한 생체 방어에 이상이 생겨 과잉반응이 일어나게 되면 염증 조직 주위에 있는 정상 조직을 손상시켜 염증 질환을 일으킨다[4].
멜라닌은 피부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자외선은 표피와 진피를 통과하며, 교원질(collagen) 및 탄력 섬유(elastin fiber) 등의 기질 단백질이 손상되어 피부 내의 탄력섬유의 변성과 교원질 양의 부족에 따라 주름이 유발되고 기미, 주근깨 및 검버섯이 증가하는 현상을 보인다[8-10]. 피부에는 강한 자외선으로부터 신체를 지켜주기 위한 멜라닌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자외선이 체내로 흡수되는 것을 막아 인체 내부가 손상되는 것을 지켜주고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조직의 유전자변형을 막아 피부암의 발생을 억제한다. 멜라닌은 인체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색소로서 내형질세망 (endoplasmic reticulum)이나 골지체(golgi apparatus)에서 생성되는데, 피부 표피층의 melanocyte에서 생성되며 크게 짙은색의 eumelanin과 옅은색의 pheomelanin으로 구성되어있다.
자외선으로 인한 광노화는 어떤 식으로 진행되는가? 내인성 노화에는 해부학적 요인과 유전적 요인이 있고, 외인성 노화에는 환경적 요인으로 광노화가 주된 요인이다. 자외선은 표피와 진피를 통과하며, 교원질(collagen) 및 탄력 섬유(elastin fiber) 등의 기질 단백질이 손상되어 피부 내의 탄력섬유의 변성과 교원질 양의 부족에 따라 주름이 유발되고 기미, 주근깨 및 검버섯이 증가하는 현상을 보인다[8-10]. 피부에는 강한 자외선으로부터 신체를 지켜주기 위한 멜라닌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자외선이 체내로 흡수되는 것을 막아 인체 내부가 손상되는 것을 지켜주고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조직의 유전자변형을 막아 피부암의 발생을 억제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D. O. Lim, J. S. Park, S. O. Hwang, K. M. Min, and Y. J. Chae, Cosmetics industry analysis report, 57,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2. J. M. Lee and J. S. An, The influence of purchasing behavior on brand attitude, shopping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of herbal cosmetics consumer, J. Fashion Business, 15(1), 129 (2011). 

  3. Y. Heo and H. A. Kim, Correlation between skin prick test and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using serum for identification of subjects positive to major respiratory allergens, Korea J. Environmental Health, 34(5), 369 (2008). 

  4. D. H. Jeong, K. B. W. R. Kim, B. K. Kang, S. A. Jung, H. J. Kim, H. Y. Jeong, S. W. Park, and D. H. Ahn,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Undaria pin- natifida water extract, J. Appli. Biologi. Chemi., 55(4), 221 (2012). 

  5. J. K. Kundu and Y. J. Surh, Inflammation: gearing the journey to cancer, Mutat. Res-Rev. Mutat., 659(1), 15 (2008). 

  6. M. Miyataka, K. A. Rich, M. Ingram, T. Yamamoto, and R. J. Bing, Nitric oxide, anti-inflammatory drugs on renal prostaglandins and cyclooxygenase-2, Hypertension, 39(3), 785 (2002). 

  7. D. J. Stuehr, H. J. Cho, N. S. Kwon, M. F. Weise, and C. F. Nathan, Purification and characteriazation of the cytokine-induced macrophage nitric oxide syn- thase: an FAD and FMN containing flavoprotein, Proc. Natl. Acad. Sci. U.S.A., 88(17), 7773 (1991). 

  8. M. G. Ryo, KDA textbook editiong board, Dermatology, 5, 348, Seoul (2008). 

  9. K. Maeda and M. Fukuda, In vitro effectiveness of several whitening cosmetic components in human melanocytes, J. Soc. Cos. Chem., 42, 361 (1991). 

  10. N. Smit, J. Vicanova, and S. Pavel, The hunt for natural skin whitening agents, Int. J. Mol. Sci., 10(12), 5326 (2009). 

  11. M. Seiji, K. Shimao, M. S. Birbeck, and T. B. Fitzpatrick, Subcellular localization of melanin biosynthesis, Ann. N. Y. Acad. Sci., 100(1), 497 (1963). 

  12. T. Kushimoto, V. Basrur, J. Valencia, J. Matsunaga, W. D. Vieira, V. J. Ferrans, J. Muller, E. Appella, and V. J. Hearing, A model for melanosome biogenesis based on the purification and analysis of early melanosomes, Proc. Natl. Acad. Sci. U.S.A., 98(19), 10698 (2001). 

  13. E. Y. Kwak, Effect of TPA on MIFT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protein chip and melanogenesis in B16 melanoma cell, Inha Univ., (2006). 

  14. R. Paliwal, V. A. Sharma, and Pracheta, A review on horse radish tree (Moringa oleifera): a multipurpose tree with high economic and commercial importance, J. Biotech., 3(4), 317 (2011). 

  15. F. Anwar, S. Latif, M. Ashraf, and A. H. Gilarni, Moringa oleifera: a food plant with multiple medicinal uses, Phyto. Res., 21(1), 17 (2007). 

  16. A. A. Hamza, Ameliorative effects of Moringa oleifera Lam seed extract on liver fibrosis in rats, Food Chem. Toxicol., 48(1), 345 (2009). 

  17. Y. J. Choi and K. I. Jung, Anti-diabetic, alcohol-metabolizing, and hepatoprotective activities of Moringa (Moringa oleifera Lam.) leaf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5(6), 819 (2016). 

  18. H. H. Ki, K. H. Moon, J. H. Lee, J. H. Lee, D. G. Kim, K. O. Jeong, S. Y. Im, Y. M. Lee, and D. K. Kim, Synergistic inhibition of aronia melanocarpa and Moringa oleifera seed extract on experimental atopic dermatit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6(3), 298 (2017). 

  19. H. J. Lee and Y. C. Chang, Suppression of TNF- ${\alpha}$ -induced inflammation by extract from different parts of Moringa in HaCaT cells, J. Life Sci., 22(9), 1254 (2012). 

  20. A. Yagi, T. Kanbara, and N. Morinobu, Inhibition of mushroom-tyrosinase by aloe extract, Planta. Medica., 53(6), 515 (1986). 

  21. R. J. Cannell, S. J. Kellan, A. M. Owsianks, and J. M. Walker, Results of a large scale screen of microalgae for the production of protease inhibitors, Planta. Medica., 54(1), 10 (1988). 

  22. E. Wunsch and H. G. Heindrich, Zur quantitativen bestimmung der kollagenase, Hoppe-Seyler's Z. Physiol. Chem., 333(1), 149 (1963). 

  23. J. Carmichael, W. G. DeGraff, A. F. Gazdar, J. D. Minna, and J. B. Mitchell, Evaluation of a tetrazolium-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assessment of chemosensitivity testing, Cancer Res., 47(4), 936 (1987). 

  24. L. C. Green, D. A. Wagner, J. Glogowski, P. L. Skipper, J. S. Wishnok, and S. R. Tannenbaum, Analysis of nitrate, nitrite, and [15N] nitrate in biological fluids, Analy. Bio., 126(1), 131 (1982). 

  25. S. Im, O. Moro, F. Peng, E. E. Medrano, J. Cornelius, G. Babcock, J. J. Nordlund, and Z. A. Abdel-Malek, Activation of the cyclic AMP pathway by ${\alpha}$ -melanotropin mediates the rest of human melanocytes to ultraviolet B radiation, Cancer Res., 58(1), 47 (1998). 

  26. D. L. DeWitt, T. E. Rollins, J. S. Day, J. A. Gauger, and W. L. Smith, Orientation of the active site and antigenic determinants of prostaglandin endoperoxide of synthase in the endoplasmic reticulum, J. Bio. Chemi., 256(20), 10375 (1981). 

  27. M. E. Choi, B. K. Jeon, D. S. Kim, Y. J. Mun, and W. H. Woo, A study on application for beauty food of mixture of Korean red ginseng and Fagopyrum esculentum: anti-oxidative effect and collagenase inhibitory activity, Herb. Formula Sci., 17(1), 153 (2009). 

  28. S. P. Jeroma, L. Gabrielle, and F. Raul, Identification of collagen fibrils in scleroderma skin, J. Investig. Dermatol., 90(1), 48 (1998). 

  29. M. El-Domyati, S. Attia, F. Saleh, D. Brown, D. E. Birk, F. Gasparro, H. Ahmad, and J. Uitto, Intrinsic aging vs. photoaging: a comparative histopathological, immunohistochemical, and ultrastructural study of skin, Exp. Dermatol., 11(5), 398 (2002). 

  30. P. U. Giacomoni and G. Rein, Factors of skin ageing share common mechanisms, Biogerontology, 2(4), 219 (2001). 

  31. M. Wlaschek, I. Tantcheva-Poor, L. Naderi, W. Ma, L. A. Schneider, Z. Razi-Wolf, J. Schuller, and K. Scharffetter-Kochanek, Solar UV irradiation and dermal photoaging, J. Photochem. Photobiol. B, Biol., 63(1), 41 (2001). 

  32. H. Ukeda, S. Maeda, T. Ishii, and M. Sawamura, Spectrophotometric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based on tetrazolium salt 3'--1--(phenylamino)-carbonyl--3, 4-tetrazolium]-bis(4-methoxy-6-nitro) benzenesulfonic acid hydrate reduction by xanthine-xanthine oxidase, Anal. Biochem., 251(2), 206 (1997). 

  33. B. G. Knowles and S. Moncada, Nitric oxide synthases in mammals, Bio. J., 298(2), 249 (1994). 

  34. C. Nathan,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what difference does it make?, J. Clinical investigation, 100(10), 2417 (1997). 

  35. R. M. Palmer, A. G. Ferrige, and S. Moncada, Nitric oxide release accounts for the biological activity of endothelium-derived relaxing factor, Nature, 327(6122), 524 (1987). 

  36. R. Korhonen, A. Lahti, H. Kankaanranta, and E. Moilanen, Nitric oxide production and signaling in inflammation, Curr. Drug Targets Inflamm. Allergy, 4(4), 471 (2005). 

  37. J. Rodriguez-Vita and T. Lawrence, The resolution of inflammation and cancer, Cytokine Growth Factor Rev., 21(1), 61 (2010). 

  38. D. O. Adams and T. A. Hamilton, The cell biology of macrophage activation, Annu. Rev. Immunol., 2, 283 (1984). 

  39. F. S. Laroux, Mechanisms of inflammation: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Front. Biosci., 9, 3156 (2004). 

  40. M. E. Turini and R. N. DuBois, Cyclooxygenase-2: a therapeutic target, Annu. Rev. Med., 53, 35 (2002). 

  41. C. S. Williams, M. Mann, and R. N. DuBois, The role of cyclooxygenases in inflammation, cancer, and development, Oncogene, 18(55), 7908 (1999). 

  42. G. E. Costin and V. J. Hearing, Human skin pigmentation: melanocytes modulate skin color in response to stress, FASEB J., 21(4), 976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