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한강의 어류군집과 외래종 분포 특성

Characteristic of Fish Community and Distribution of Exotic Species at the Hangang River in Seoul, Korea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한국어류학회지, v.30 no.3, 2018년, pp.144 - 154  

변화근 (서원대학교 생물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서울시 한강 어류군집 특성 분석을 위해 2016년 6월부터 2017년 3월까지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5개 조사지점에서 출현한 어종은 총 17과 56종이었다. 기수역에 주로 서식하는 웅어 (Coilia nasus), 밀자개 (Leiocassis nitidus), 점농어 (Lateolabrax maculata), 강주걱양태(Repomucenus olidus), 꺽정이 (Trachidermus fasciatus), 숭어 (Mugil cephalus), 가숭어 (Chelon haematocheilus), 풀망둑 (Synechogobius hastus), 민물두줄망둑 (Tridentiger bifasciatus), 황복 (Takifugu obscurus) 등이 출현하였다. 회유성 어종인 뱀장어 (Anguilla japonica), 웅어, 은어(Plecoglossus altivelis), 빙어(Hypomesus nipponensis), 황복 등이 출현하였다. 한반도 고유종은 11종 (17.9%)로 매우 낮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국외에서 도입된 어종은 유럽잉어 (Cyprinus carpio nudus), 떡붕어 (Carassius cuvieri), 백련어 (Hypophthalmichthys molitrix), 단두어 (Megalobrama amblycephala), 블루길(Lepomis macrochirus), 배스 (Micropterus salmoides) 등 6종 (10.7%)이었다. 각 조사지점별 우점종은 가시납지리 (Acheilognathus gracilis, St. 1)와 누치 (Hemibarbus labeo, St. 2, 3, 4, 5)이었다. 수질 내성도 guild에서 민감종의 상대풍부도는 3종 (7.1%), 중간종은 24종 (42.9%), 내성종은 28종 (50.0%)로 내성종이 매우 높았다. 섭식특성 gulid에서 충식성은 20종 (35.7%), 잡식성 18종 (32.1%), 육식성 14종(25.0%), 초식성 4종(7.1%)으로 충식성과 잡식성 어종이 매우 풍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fish communities at the Hangang River in Seoul from Jun 2016 to March 2017. During the survey period, there were 56 species of 17 families collected from 5 survey stations. The species that appeared mainly in the brackish water was Coilia nasus, Leioc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 2005)를 이용하였고 분류체계는 Nelson (2006)에 따라 목록을 정리하였다. 각 조사 지점의 어류 군집을 분석하기 위해 각 조사지점에 대하여 우점도지수 (McNaughton, 1967), 종다양도지수(Margalef, 1958; Pielou, 1969), 균등도(Pielou, 1975), 종풍부도(Margalef, 1958) 등을 산출하였다. 어종별 생태적 특성 분류는 환경부 수생태 건강성 조사 및 평가(ME, 2017)를 따랐다.
  • 4. 군집지수

    군집분석은 각 조사 지점별로 우점도, 종다양도, 균등도, 종풍부도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점도지수는 0.

  • 본류는 각 조사 지점별로 수심이 깊은 곳에서는 정치망(삼각망, 20×20 mm)을 이용하여 채집하였고 정치망을 설치한인접한 수역 중 수심이 얕은 곳(1.5 m 이내)에서는 투망(망목 7×7 mm)과 족대(망목 5×5 mm)를 이용하여 채집을 실시하였다.
  • 현장 조사는 2016년 5월, 2016년 8월,2016년 10월, 2017년 4월 등 총 4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산란을 위해 한강 하류로 이동하는 회유성 어류를 보다 상세하게 파악하기 위해 봄철은 2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 투망과 족대는 각 조사 지점 당 40분 실시하였고 정치망은 보다 정확한 어류상과 어류군집의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 각 조사 지점 당 3곳에 설치하였으며, 설치 후 3일 경과 후 회수하였다. 채집된 표본은 현장에서 확인 후 대부분 방류 하였으며 일부 개체는 분석을 위해 10% formalin 용액으로 고정하여 실험실에서 동정하였다. 어류의 동정에는 국내에서 현재까지 발표된 검색표(Kim, 1997; Choi et al.
  • 5 m 이내)에서는 투망(망목 7×7 mm)과 족대(망목 5×5 mm)를 이용하여 채집을 실시하였다. 투망과 족대는 각 조사 지점 당 40분 실시하였고 정치망은 보다 정확한 어류상과 어류군집의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 각 조사 지점 당 3곳에 설치하였으며, 설치 후 3일 경과 후 회수하였다. 채집된 표본은 현장에서 확인 후 대부분 방류 하였으며 일부 개체는 분석을 위해 10% formalin 용액으로 고정하여 실험실에서 동정하였다.
  • (2004)에 의한 잠실수중보 어도 소상기능 평가 등이 이루어졌으나 매우 단편적이며 학술적 연구가 미흡한 상태이다. 한강의 어류군집 안정성과 종다양성 증대를 위한 자연성회복 방안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어류상과 어류분포 특성, 어류군집 특징과 외래종의 분포현황, 각 어종의 생태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대상 데이터

  • 떡붕어는 국내에 이식 정착되어 전국의 하천 하류, 저수지, 댐호 등에 우점적으로 분포하는 경우가 많다(Byeon, 2015). 고덕동 인접 수역(St. 1, 5개체), 잠실수중보와 탄천합류부 사이의 수역(St. 2, 2개체), 밤섬 인접수역(St. 3, 8개체), 성산대교 인접수역(St. 4, 11개체), 가양대교 하방수역(St. 5, 5개체) 등 전 조사 수역에서 출현하였다. 출현량이 많지 않아 토착어종에 미치는 악영향은 크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 서울시 한강 어류군집 특성 분석을 위해 2016년 6월부터 2017년 3월까지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5개 조사지점에서 출현한 어종은 총 17과 56종이었다.
  • 강한 육식종(어식성)으로 국내 분포지에서는 토착 어종의 감소를 초래하고 있다(Byeon, 2015). 서울시에 위치한 한강에서 1999년에는 1개체가 출현하였고 본 조사에서는 강동구 고덕동(St. 1, 4개체)과 밤섬주변(St. 3, 3개체)에서 소수 개체가 출현하고 있다. 현재 서울시에 위치한 한강 하류역에서 배스가 토착 어류에 미치는 영향은 출현개체수가 적어 크지 않을 것으로 생각되나 정밀조사가 필요한 상태이다.
  • 4, 12개체) 등에서 출현하였다. 조사 지점 중 가장 하류역이며 염분도가 높은 가양대교 하방수역(St. 5)을 제외한 전 수역에 걸쳐 서식하였으며 총 416개체(4.78%)가 출현하고 있다. 1999년에는 강동구 고덕동(St.
  • 조사지점은 서울시에 위치한 한강 하류 본류역으로 가능한 다양한 어류의 서식이 가능한 수역을 중심으로 총 5개 지점을 조사하였다(Fig. 1). 현장 조사는 2016년 5월, 2016년 8월,2016년 10월, 2017년 4월 등 총 4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 만 2년이면 성적 성숙하며 산란기는 5∼6월이며 수초에 알을 붙이는 어종이다. 한강에서는 2012년 조사에서는 출현하지 않았으나(SMG,2017) 본 조사에서는 밤섬주변수역(St. 3, 2개체)과 성산대교 인접수역(St. 4, 2개체)에서 출현하였다. 한강에서는 현재 출현 개체수가 많지 않으나 생태적으로 적응하게 되면 개체군이 급격히 증가할 가능성이 있으며 자연증식하여 개체수가 증가하면 토착어종과 서식지 및 먹이 경쟁이 발생하여 토착어종에 심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 1). 현장 조사는 2016년 5월, 2016년 8월,2016년 10월, 2017년 4월 등 총 4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산란을 위해 한강 하류로 이동하는 회유성 어류를 보다 상세하게 파악하기 위해 봄철은 2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이론/모형

  • 채집된 표본은 현장에서 확인 후 대부분 방류 하였으며 일부 개체는 분석을 위해 10% formalin 용액으로 고정하여 실험실에서 동정하였다. 어류의 동정에는 국내에서 현재까지 발표된 검색표(Kim, 1997; Choi et al., 2002; Kim et al., 2005)를 이용하였고 분류체계는 Nelson (2006)에 따라 목록을 정리하였다. 각 조사 지점의 어류 군집을 분석하기 위해 각 조사지점에 대하여 우점도지수 (McNaughton, 1967), 종다양도지수(Margalef, 1958; Pielou, 1969), 균등도(Pielou, 1975), 종풍부도(Margalef, 1958) 등을 산출하였다.
  • 각 조사 지점의 어류 군집을 분석하기 위해 각 조사지점에 대하여 우점도지수 (McNaughton, 1967), 종다양도지수(Margalef, 1958; Pielou, 1969), 균등도(Pielou, 1975), 종풍부도(Margalef, 1958) 등을 산출하였다. 어종별 생태적 특성 분류는 환경부 수생태 건강성 조사 및 평가(ME, 2017)를 따랐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반도의 지리적 특징은? 한반도는 동쪽이 높고 서쪽이 낮은 지형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백두대간이 동쪽으로 치우쳐 남북으로 달리고 있어 두만강을 제외한 대부분의 하천이 서해나 동해로 유입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또한 깊고 긴 계곡이 조밀하게 발달하여 유역면적에 비하여 하천의 길이가 길고 하천의 밀도도 대단히 높으며 전형적인 사행성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경우가 많다 (Kwater, 2007; Byeon, 2018). 한강은 우리나라 중부의 가장 중요한 하천으로서 그 유역면적은 26,219 km2, 길이는 514km로 유역면적은 우리나라에서 압록강 다음으로 2번째로 넓으며 하천의 길이는 압록강, 두만강, 낙동강 다음으로 길다.
한강에 있는 국외 도입종은 어떤 게 있는가? 국외에서 도입된 어종은 향어, 떡붕어(Carassius cuvieri), 백련어, 단두어, 블루길, 배스 등 6종(10.7%)이었다.
한강유역의 연평균 강수량은? 한강은 우리나라 중부의 가장 중요한 하천으로서 그 유역면적은 26,219 km2, 길이는 514km로 유역면적은 우리나라에서 압록강 다음으로 2번째로 넓으며 하천의 길이는 압록강, 두만강, 낙동강 다음으로 길다. 한강유역의 연평균 강수량은 1,200 mm이며 수계는 크게 휴전선 북쪽에서 남·서류하는 북한강수계와 강원도 남부에서 북 서류 하는 남한강수계로 크게 구성된다. 북한강과 남한강은 양수리 근처에서 합류하여 북서방향으로 흘러 서울을 지나 서해의 강화만으로 유입되며 팔당댐 하류 수역에는 왕숙천, 중랑천, 탄천, 양재천, 안양천, 창릉천, 곡릉천 등의 지류가 유입된다(Choi and Byeon, 1999; Kwater,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ae, K.S., G.B. Kim, H.K. Kil, B.T. Yu and M.Y. Kim. 2002. Long-term hanges of the fish fauna and fommunity structure in the Jungrang Creek, Seoul, Korea. Korean J. Limnol., 35: 63-70. 

  2. Byeon, H.K. 2013. The Fish fauna fhanges and characteristics populations of Zacco koreanus in Cheonggye Stream after the rehabilitation, Korea. Korean J. Environ. Ecol., 27: 695-703. (in Korean) 

  3. Byeon, H.K. 2015. Fluctuation of introduced fsh and characteristics of fsh community in Lake Soyang. Korean J. Environ. Ecol., 29: 401-409. (in Korean) 

  4. Byeon, H.K. 2018. Characteristic of fsh community in the stream fowing into the Han River in Seoul, Korea. Korean J. Environ. Ecol., 32: 126-273. (in Korean) 

  5. Choi, J.K. and H.K. Byeon. 1999. Fish community in the lower course of Han River. Korean J. Limnol., 32: 49-57. (in Korean) 

  6. Choi, J.K., C.R. Jang and H.K. Byeon. 2011. The characteristic of fsh fauna by habitat type and population of Zacco platypus in the Tan Stream. Korean J. Environ. Ecol., 25: 71-80. (in Korean) 

  7. Choi, J.K., H.K. Byeon, Y.S. Kwon and Y.S. Park. 2008. Spatial and temporal changes of fsh community in the Cheonggye stream after the rehabilitation project. Korean J. Limnol., 41: 374-381. (in Korean) 

  8. Choi, J.W. and K.G. An. 2008. Characteristics of fsh compositions and longitudinal distribution in Yeongsan River watershed. Korean J. Limnol., 41: 301-310. (in Korean) 

  9. Choi, K.C., S.R. Jeon and S.S. Choi. 1968. On the fresh-water fshes inhabiting at Kwangnaroo area in Seoul. Korean J. Limnol., 1: 1-5. (in Korean) 

  10. Choi, K.C., S.R. Jeon, I.S. Kim and Y.M. Son. 2002. Coloured Illustrations of The Freshwater Fishes of Korea. Hyangmunsa Press Co. Seoul. 258pp. (in Korean) 

  11. Clay, H.C. 1995. Design of Fishways and other Fish Facilities. 2nd ed. Lewis Publishers, 248pp. 

  12. Hellawell, J.M. 1986. Biological Indicators of Freshwater Pollution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Elsevier, London. pp. 146-178. 

  13. Jackson, D. and G. Marmulla. 2001. The infuence of dams on river fsheries. Prepared for Thematic Review II. I: Dam, ecosystem functions and environmental restoration. World Commission on Dams, Environmental Issues, Fanal Draft, June 30-2000. 187pp. 

  14. Jeon, S.R. and K.Y. Kim. 1972. A Study on the Fresh-Water in the Han River. R-72-81,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of Korea, 117-120. (in Korean) 

  15. Kwater. 2007. A Guidebook of River in South Korea. Kwater, Daejeon, 582pp. (in Korean) 

  16. Kim, H.M., S.H. Kim, J.R. Song and K.G. An. 2015. Monitoring of Micropterus salmoides and Lepomis macrochirus in Major Artifcial Reservoirs, Korea. Proc.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Eco. and Con., 25: 89. 

  17. Kim, I.S. 1997.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n Vol. 37 Freshwater Fishes. Ministry of Education. pp. 133-520. (in Korean) 

  18. Kim, I.S., Y. Choi, C.L. Lee, Y.J. Lee, B.J. Kim and J.H, Kim. 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Kyo-Hak. pp. 104-468. (in Korean) 

  19. Lee, W.O., C.B. Gang, H.U. Park, C.M. Han, H.K. Byeon, J.G. Myeong, C.H. No, G.P. Hong, H.B. Song, B.S. Chae, G.H. Han, J.R. GO and Y.P. Hong. 2003. The Intruduced Fishes of Korea. Korean J. Ichthyo., 128pp. (in Korean) 

  20.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t., 3: 36-7. 

  21. McNaughton, S.J. 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rassland. Nature, 216: 168-169. 

  22. MCT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2006. Long-term Comprehensive plan for Water Resources. (in Korean) 

  23. ME (Ministry of Environment). 2017. Water ecosystem health investigation and assessment fnal repor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 Korean) 

  24. Nelson, J.S. 2006. Fishes of the World (4rd ed). John Wiely & Sons, Inc., Hoboken, New Jersey, 601pp. 

  25. Park, S.D., S.S. Shin, H.Y. Aha, S.B. Ma and C.S. Hwang. 2004. An assessment of ascending functions of the pool-and-weir fshway at Jamsil Weir in the Han River. Korean J.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7: 541-552. (in Korean) 

  26. Pielou, E.C. 1969. Shannon's Formula as a Measure of Specifc Diversity. The American Naturalist, 1000: 463-465. 

  27. Pielou, E.C. 1975. Ecological Diversity. John Wiley, New York, 167pp. 

  28. Ryu, T.H., Y.P. Kim, J.K. Kim and K.G. An. 2010. Analysis of ecological health using a water quality and fish in Bocheong Stream. Korean J. Limnol., 43: 255-262. (in Korean) 

  29. SMG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7. Investigation and Research of Han River Ecosystem (VIII). (in Korean) 

  30. U.S.EPA. 1993. Fish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Evaluating the Biological Integrity of Surface Waters. EPA 600-R-92-111.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s Laboratory-Cincinnati Offce of Modeling, Monitoring Systems, and Quality Assurance Offce of Research Development, U.S.EPA, Cincinnati, Ohio 4568. 

  31. Yodo, T. and S. Kimura. 1998. Feeding habits of large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in lakes Shorenji and Nishinoko, central Japan. Nippon Suisan Gakkaishi, 64: 26-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