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쑥부쟁이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활성 평가
Determination of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Aster yomena (Kitam.) Honda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9, 2018년, pp.402 - 407  

김민정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지현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상현 (중앙대학교 식물시스템과학과) ,  조은주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현영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hydroxyl radical ($^{\cdot}OH$), 그리고 superoxide radical ($O_2{^-}$) 소거능 실험을 통해 쑥부쟁이의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였다. 쑥부쟁이는 에탄올로 추출한 뒤, n-hexane, methylene chloride ($CH_2Cl_2$), ethylacetate (EtOAc), 그리고 n-butanol (n-BuOH)로 분획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실험에서 모든 추출 및 분획물이 $10-100{\mu}g/mL$의 농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EtOAc 분획물은 가장 강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쑥부쟁이는 $50{\mu}g/mL$ 농도에서 80% 이상의 $^{\cdot}OH$ 라디칼 소거율을 보였다. 특히 EtOAc 분획물은 $0.03{\mu}g/mL$에서 IC50 값을 나타내어 추출물과 분획물 중 가장 강한 $^{\cdot}OH$ 라디칼 소거능을 보여주었다. 또한, EtOAc 분획물은 $O_2{^-}$ 라디칼 소거능에서도 가장 강한 소거활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쑥부쟁이가 산화스트레스로 인한 질병을 예방하는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AY by measuring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hydroxyl radical ($^{\cdot}OH$), and superoxide radical ($O_2{^-}$) scavenging activities in vitro. AY was extracted with ethanol and then partitioned with n-hexa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쑥부쟁이의 활성물질이 아닌 쑥부쟁이를 추출물과 분획물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 평가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n vitro 라디칼 소거실험을 통하여 쑥부쟁이를 추출물과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쑥부쟁이의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DPPH, ˙OH, 그리고 O2- 라디칼 소거실험을 이용하여 쑥부쟁이의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쑥부쟁이 추출물 및 네가지 분획물(n-hexane, CH2Cl2, EtOAc 및 n-BuOH)은DPPH 라디칼 소거능 실험에서 모든 추출 및 분획물이 10-100 μg/mL의 농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EtOAc 분획물은 가장 강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유라디칼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은? 이와 같은 자유라디칼의 생성량과 항산화 방어 시스템의 불균형으로 인하여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발된다. 이와 같은 ROS와 RNS는암, 심혈관질환, 신경퇴행성질환과 같은 만성퇴행성 질환뿐만 아니라 노화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여겨진다[2]. 이러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막기 위한 방법중 하나로 항산화제가 이용되고 있으나, 합성된 항산화제에서 독성 또는 부작용이 일어난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자유라디칼이란? 자유라디칼(free radical)은 홀전자를 가진 분자로, 일반적으로 불안정하기 때문에 체내에서 세포에 손상을 가한다. 대표적인 자유라디칼로는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와 활성질소(reactive mitrogen species, RNS)가 있다[1].
자유라디칼에는 무엇이 있는가? 자유라디칼(free radical)은 홀전자를 가진 분자로, 일반적으로 불안정하기 때문에 체내에서 세포에 손상을 가한다. 대표적인 자유라디칼로는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와 활성질소(reactive mitrogen species, RNS)가 있다[1]. 일반적으로 자유라디칼은 체내 감염원에 대한 방어 시스템과 세포 신호 전달 체계를 통해 생성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M. Valko, D. Leibfritz, J. Moncol, M. T. D. Cronin, M. Mazur, J. Telser,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normal physiological functions and human disease",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Biochemistry & Cell Biology, Vol.39, No.1 pp.44-84, 2007. DOI: https://dx.doi.org/10.1016/j.biocel.2006.07.001 

  2. K. B. Beckman, B. N. Ames, "The Free Radical Theory of Aging Matures", Physiological Reviews, Vol.78, No.2 pp.547-581, 1998. DOI: https://dx.doi.org/10.1152/physrev.1998.78.2.547 

  3. A. L. Branen, "Toxicology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ournal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Vol.52, No.2 pp.59-63, 1975. DOI: https://dx.doi.org/10.1007/BF02901825 

  4. M. H. Han, J. S. Jeong, J. W. Jeong, S. H. Choi, S. O. Kim, S. H. Hong, C. Park, B. W. Kim, Y. H. Choi, "Ethanol extracts of Aster yomena (Kitam.) Honda inhibit adipogenesis through the activation of the AMPK signaling pathway in 3T3-L1 preadipocytes", Drug Discoveries & Therapeutics, Vol.11, No.5 pp.281-287, 2017. DOI: https://dx.doi.org/10.5582/ddt.2017.01046 

  5. H. J. Kang, J. S. Jeong, N. J. Park, G. B. Go, S. O. Kim, S. H. Honh, C. Park, B. W. Kim, Y. H. Choi, "An ethanol extract of Aster yomena (Kitam.) Honda inhibits lipopolysaccharide-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in murine RAW 264.7 macrophages", BioScience Trends, Vol.11, No.1 pp.85-94, 2017. DOI: https://dx.doi.org/10.5582/bst.2016.01217 

  6. J. H. Sim, H. S. Lee, S. Lee, D. E. Park, K. Oh, K. A. Hwang, S. K. Ye, H. R. Kim, "Anti-asthmatic activities of an ethanol extract of Aster yomena in an ovalbumin-induced murine asthma model", Journal of Medicinal Food, Vol.17, No.5 pp.606-611, 2014. DOI: https://dx.doi.org/10.1089/jmf.2013.2939 

  7. A. R. Kim, Q. Jin, H. G. Jin, H. J. Ko, E. R. Woo, "Phenolic compounds with IL-6 inhibitory activity from Aster yomena",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Vol.37, No.7 pp.845-851, 2014. DOI: https://dx.doi.org/10.1007/s12272-013-0236-x 

  8. I. Gulcin, "Antioxidant activity of caffeic acid (3,4-dihydroxycinnamic acid)", Toxicology, Vol.217, No.2-3, pp.213-220, 2006. DOI: https://dx.doi.org/10.1016/j.tox.2005.09.011 

  9. C. G. Silva, R. J. Raulino, D. M. Cerqueira, S. C. Mannarino, M. D. Pereiraa, A. D. Paneka, J. F. M. Silva, F. S. Menezes, E. C. A. Eleutherioa, "In vitro and in vivo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and mode of action of isoquercitrin and Hyptis fasciculata", Phytomedicine, Vol.16, No.8 pp.761-767, 2009. DOI: https://dx.doi.org/10.1016/j.phymed.2008.12.019 

  10. A. Y. Kim, H. M. Shin, J. S. Kim, H. J. Shim, K. W. Nam, K. A. Hwang, H. S. Youn, "Anti-inflammatory Effects of Aster yomena Extracts by the Sup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Expression", Biomedical Science Letters, Vol.23, No.2 pp.104-110, 2017. DOI: https://dx.doi.org/10.15616/BSL.2017.23.2.104 

  11. T. Hatano, R. Edamatsu, M. Hiramatsu, A. Mori, Y. Fujita, T. Yasuhara, T. Yoshida, T. Okuda, "Effects of the Interaction of Tannins with Co-existing Substances. VI. : Effects of Tannins and Related Polyphenols on Superoxide Anion Radical, and on 1, 1-Diphenyl-2- picrylhydrazyl Radical", Chem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Vol.37, No.8 pp.2016-2021, 1989. DOI: https://dx.doi.org/10.1248/cpb.37.2016 

  12. S. K. Chung, T. Osawa, S. Kawakishi, "Hydroxyl Radical-scavenging Effects of Spices and Scavengers from Brown Mustard (Brassica nigra)", Bioscience, Biotechnology, and Biochemistry, Vol.61, No.1, pp.118-123, 1997. DOI: https://dx.doi.org/10.1271/bbb.61.118 

  13. N. Nishikimi, N. A. Rao, K. Yagi, "The occurrence of superoxide anion in the reaction of reduced phenazine methosulfate and molecular oxygen",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Vol.46, No.2, pp.849-854, 1972. DOI: https://dx.doi.org/10.1016/S0006-291X(72)80218-3 

  14. I. I. Koleva, T. A. van Beek, J. P. H. Linssen, A. de Groot, L. N. Evstatieva, "Screening of Plan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y: a Comparative Study on Three Testing Methods", Vol.13, No.1, pp.8-17, 2002. DOI: https://dx.doi.org/10.1002/pca.611 

  15. L. J. Machlin, A. Bendich, "Free radical tissue damage: protective role of antioxidant nutrients", The FASEB Journal, Vol.1, No.6, pp.441-445, 1987. DOI: https://dx.doi.org/10.1096/fasebj.1.6.3315807 

  16. B. A. Freeman, J. D. Crapo, "Biology of disease: free radicals and tissue injury", Lab Invest, Vol.47, No.5, pp.412-426, 1982. 

  17. R. O. Poyton, K. A. Ball, P. R. Castello, "Mitochondrial generation of free radicals and hypoxic signaling", Trends in Endocrinology & Metabolism, Vol.20, No.7, pp.332-340, 2009. DOI: https://dx.doi.org/10.1016/j.tem.2009.04.001 

  18. S. Suman, P. K. Sharma, G. Rai, S. Mishra, D. Arora, P. Gupta, Y. Shukla, "Current perspectives of molecular pathways involved in chronic inflammation-mediated breast cancer",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Vol.472, No.3, pp.401-409, 2016. DOI: https://dx.doi.org/10.1016/j.bbrc.2015.10.133 

  19. R. A. Floyd, "Antioxidants, oxidative stress, and degenerative neurological disorders", Proceedings of the Society for Experimental Biology and Medicine, Vol.22, No.3, pp.236-245, 1999. DOI: https://dx.doi.org/10.1046/j.1525-1373.1999.d01-140.x 

  20. A. Y. Lee, J. M. Choi, M. H. Lee, J. Lee, S. Lee, E. J. Cho, "Protective effects of perilla oil and alpha linolenic acid on SH-SY5Y neuronal cell death induced by hydrogen peroxide",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Vol.12, No.2, pp.93-100, 2018. DOI: https://dx.doi.org/10.4162/nrp.2018.12.2.93 

  21. V. Lobo, A. Patil, A. Phatak, N. Chandra, "Free radicals, antioxidants and functional foods: Impact on human health", Pharmacognosy Reviews, Vol.4, No.8 pp.118-126, 2010. DOI: https://dx.doi.org/10.4103/0973-7847.70902 

  22. A. M. Papas, "Diet and antioxidant status",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Vol.37, No.9-10, pp.999-1007, 1999. DOI: https://dx.doi.org/10.1016/S0278-6915(99)00088-5 

  23. L. C. Lee, H. R. Kim, J. Kim, Y. S. Jang, "Antioxidant Property of an Ethanol Extract of the Stem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Vol.50, No.22, pp.6490-6496, 1999. DOI: https://dx.doi.org/10.1021/jf020388c 

  24. A. Kunwar, K. I. Priyadarsini, "Free radicals, oxidative stress and importance of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Journal of Medical and Allied Sciences, Vol.1, No.2, pp.53-60, 2011. 

  25. M. Nikoo, J. M. Regenstein, H. A. Gavlighi,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pigallocatechin-3-gallate (EGCG) and its potential to preserve the quality and safety of foods", Comprehensive Reviews in Food Science and Food Safety, Vol.17, No.3 pp.732-753, 2018. DOI: https://dx.doi.org/10.1111/1541-4337.1234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