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세 조절 운동이 심장이식환자의 심박수 상승지연에 미치는 영향 -단일사례연구-
Effects of Postural Control Exercise on the Delayed Heart Rate Increase in Heart Transplant Patients -A Case Study- 원문보기

PNF and movement, v.16 no.2, 2018년, pp.161 - 168  

최수홍 (부산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  이상열 (경성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stural control exercise on the delayed heart rate increase in heart transplant patients. Methods: The subject was a female heart transplant recipient who had a delayed increase in heart rate during exercise. The intensity of exercise was per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사례연구는 지연된 심박수의 상승을 보이는 심장이식 환자에게 상, 하지의 불안정성을 제공하여 심박수 상승 지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장이식 환자의 운동 시 나타나는 정상적인 심박수 상승 지연의 원인은 무엇인가? , 1997). 특히 운동 시 나타나는 정상적인 심박수 상승이 지연되는데 이는 신경이 절단된 심장이 심박출량의 자율조절능력을 상실하고 대신 호르몬에 의해 심박출량을 조절하기 때문이다 (Badenhop, 1995). 정상인에 있어서는 운동 시 부교감신경의 지배가 사라짐으로써 1차적으로 심박수가 증가하고 2차적인 반응으로 호르몬에 의한 심박출량 조절이 나타나 는데 이러한 차이로 인해 심장이식 환자들은 정상인에 비해 반응이 지연되거나 둔화되게 된다 (Pope et al.
심장이식이란 무엇인가? 심장이식은 심장질환의 최후 단계에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이 환자의 생존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판단되는 환자에게 적용되는 선택적 치료방법이다. 심장이식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Christian Barnard 에 의해 1967년 최초로 성공한 수술 방법으로서 초기 짧은 시간 생존을 연장하는데 그쳤었지만 의학의 발전으로 점차 생존기간이 길어졌다 (Hosenpud et al.
심장이식 환자의 생존율은 어떠한가? , 1999; Kriett & Kaye, 1991). 현재에 이르러서는 1년생존율이 80∼90%, 5년 생존율이 60∼70% 를 넘어설 만큼 심장이식 환자의 생존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Kaye, 199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adenhop DT. The therapeutic role of exercise in patients with orthotopic heart transplant.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1995;27(7):975-985. 

  2. Barge-Caballero E, Jimenez-Lopez J, Chavez-Leal S, et al. Prognostic significance of heart rate and its long-term trend in cardiac transplant patients. Revista espanola de cardiologia (English ed.). 2015;68(11):943-950. 

  3. Braith RW, Edwards DG. Exercise following heart transplantation. Sports Medicine. 2000;30(3):171-192. 

  4. Ehrman J, Keteyian S, Fedel F, et al. Cardiovascular responses of heart transplant recipients to graded exercise testing.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1992;73(1):260-264. 

  5. Geny B, Saini J, Mettauer B, et al. Effect of short-term endurance training on exercise capacity, haemodynamics and atrial natriuretic peptide secretion in heart transplant recipients.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and occupational physiology. 1996;73(3):259-266. 

  6. Givertz MM, Hartley LH, Colucci WS. Long-term sequential changes in exercise capacity and chronotropic responsiveness after cardiac transplantation. Circulation. 1997;96(1):232-237. 

  7. Horsak B, Heller M, Baca A. Muscle co-contraction around the knee when walking with unstable shoes. Journal of Electromyography Kinesiology. 2015;25(1): 175-181. 

  8. Hosenpud JD, Bennett LE, Keck BM, et al. The registry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heart and lung transplantation: Sixteenth official report-1999. The Journal of heart and lung transplantation. 1999; 18(7):611-626. 

  9. Hsieh PL, Wu YT, Chao WJ. Effects of exercise training in heart transplant recipients: a meta-analysis. Cardiology. 2011;120(1):27-35. 

  10. Kao AC, Van Trigt P, Shaeffer-McCall GS, et al. Central and peripheral limitations to upright exercise in untrained cardiac transplant recipients. Circulation. 1994;89(6):2605-2615. 

  11. Kaye M. The registry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heart and lung transplantation: tenth official report--1993. The Journal of heart and lung transplantation: the official publication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Heart Transplantation. 1993;12(4):541. 

  12. Kriett JM, Kaye MP. The registry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heart and lung transplantation: eighth official report--1991. The Journal of heart and lung transplantation: the official publication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Heart Transplantation. 1991;10(4):491-498. 

  13. Lee HJ. Effects of endurance exercise training on chronotropic response and functional capacity after heart transplan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Dissertation of Doctorate Degree. 2001. 

  14. Manyande A, Berg S, Gettins D, et al. Preoperative rehearsal of active coping imagery influences subjective and hormonal responses to abdominal surgery. Psychosomatic Medicine. 1995;57(2):177-182. 

  15. Pope SE, Stinson EB, Daughters GT, et al. Exercise response of the denervated heart in long-term cardiac transplant recipients. The American journal of cardiology. 1980;46(2):213-218. 

  16. Quigg RJ, Rocco MB, Gauthier DF, et al. Mechanism of the attenuated peak heart rate response to exercise after orthotopic cardiac transplantation.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1989;14(2): 338-344. 

  17. Salmon P, Evans R, Humphrey DE. Anxiety and endocrine changes in surgical patients.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86;25(2):135-141. 

  18. Savin WM, Haskell WL, Schroeder JS, et al. Cardiorespiratory responses of cardiac transplant patients to graded, symptom-limited exercise. Circulation. 1980;62(1): 55-60. 

  19. Shane E, Rodino MA, McMahon DJ, et al. Prevention of bone loss after heart transplantation with antiresorptive therapy: a pilot study. The Journal of heart and lung transplantation: the official publication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Heart Transplantation. 1998;17(11):1089-1096. 

  20. Takakura IT, Hoshi RA, Santos MA, et al. Recurrence plots: a new tool for quantification of cardiac autonomic nervous system recovery after transplant. Brazilian journal of cardiovascular surgery. 2017;32(4): 245-252. 

  21. Van Cleemput J, Daenen W, Geusens P, et al. Prevention of bone loss in cardiac transplant recipients: a comparison of biphosphonates and vitamin d. Transplantation. 1996;61(10):1495-14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