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계학습 활용을 위한 학습 데이터세트 구축 표준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strategy for building of learning data set for machine learning application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10, 2018년, pp.205 - 212  

최정열 (성결대학교 컴퓨터공학부 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성능 CPU/GPU의 개발과 심층신경망 등의 인공지능 알고리즘, 그리고 다량의 데이터 확보를 통해 기계학습이 다양한 응용 분야로 확대 적용되고 있다. 특히, 사물인터넷, 사회관계망서비스, 웹페이지, 공공데이터로부터 수집된 다량의 데이터들이 기계학습의 활용에 가속화를 가하고 있다. 기계학습을 위한 학습 데이터세트는 응용 분야와 데이터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식으로 존재하고 있어 효과적으로 데이터를 처리하고 기계학습에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본 논문은 표준화된 절차에 따라 기계학습을 위한 학습 데이터세트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였다. 먼저 학습 데이터세트가 갖추어야할 요구사항을 문제 유형과 데이터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기계학습 활용을 위한 학습 데이터세트 구축에 관한 참조모델을 제안하였다. 또한 학습 데이터세트 구축 참조모델을 국제 표준으로 개발하기 위해 대상 표준화 기구의 선정 및 표준화 전략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development of high performance CPU / GPU,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s such as deep neural networks, and a large amount of data, machine learning has been extended to various applications. In particular, a large amount of data collected from the Internet of Things, social network ser...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럼에도 불구하고 데이터의 종류의 응용 분야에 따라 데이터 양식과 내용이 상이하여 개발자들이 쉽게 활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계학습을 위한 학습 데이터세트의 표준화가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2018년 4월에 신설된 JTC 1 SC 42는 인공지능 분야의 표준화 기구로서 학습 데이터세트의 표준화를 위해서 적합한 기구이다.
  • 학습 데이터세트는 기계학습 기반의 여러 응용서비스에 쉽게 적용될 수 있도록 표준화된 절차에 따라 구축될 필요가 있다. 본 절에서는 학습 데이터세트의 구축 참조모델을 국제 표준으로 개발하는 전략에 대해서 기술한다. 먼저 고려해야할 사항은 어떤 표준화 기구에서 표준안을 개발할 것인지를 선택해야 한다.
  • 이를 위해서 본 논문은 기계학습을 위한 학습 데이터 세트 구축 방안을 연구하고, 이러한 데이터세트가 실제로 활용되기 위해서 선행되어야하는 표준화 방안에 대해서 살펴본다. 이를 위해서 2장에서는 국내외에서 진행되고 있는 데이터세트와 관련된 표준화 동향을 살펴본다.

가설 설정

  • 분류 문제의 경우에는 적절한 규모의 학습 데이터세트를 선택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N을 데이터세트의 크기라 하고, d를 데이터의 특징(또는 차원, 속성)이라 하고, k를 분류 문제에 있어서 분류의 수라고 하고, m을 데이터세트에서 소수 샘플의 비율이라고 가정하자. 먼저 d > k를 만족해야 하는데, 이는 데이터세트들의 속성이 분류의 수보다는 커야함을 의미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강력한 컴퓨팅 성능, 효율적인 인공지능 알고리즘, 그리고 인공지능을 학습시킬 위한 충분한 양의 데이터가 요구된다[4]. 클라우드 컴퓨팅 인프라와 고성능 GPU의 활용을 통해서 오랜 시간 처리해야 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보다 빠르고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기계학습의 활용을 가속화하는 것은 무엇인가? 기계학습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충분히 많은 데이터가 확보되어야 한다. 사물인터넷, 사회관계망서비스, 인공지능 스피커, 웹페이지, 공공데이터로부터 수집되고 있는 다량의 데이터들이 기계학습의 활용을 가속화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데이터의 종류의 응용 분야에 따라 데이터 양식과 내용이 상이하여 개발자들이 쉽게 활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기계학습을 위한 학습 데이터세트의 표준화가 필요한 이유는? 사물인터넷, 사회관계망서비스, 인공지능 스피커, 웹페이지, 공공데이터로부터 수집되고 있는 다량의 데이터들이 기계학습의 활용을 가속화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데이터의 종류의 응용 분야에 따라 데이터 양식과 내용이 상이하여 개발자들이 쉽게 활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계학습을 위한 학습 데이터세트의 표준화가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O. Y. Al-Jarrah, P. D. Yoo, S. Muhaidat, G. K. Karagiannidis & K. Taha. (2015). Efficient machine learning for big data: A review. Big Data Research, 2(3), 87-93. 

  2. F. Cady. (2017). The data science handbook. Wiley. 

  3. S. Kim & Y. Jeong. (2017). Machine Learning. Seoul : Hanbit Media. 

  4. A. Moore & M. S. Lee. (1988). Cached sufficient statistics for efficient machine learning with large datasets. Journal of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 8, 67-91. 

  5. S. Lee. (2017) Artificial Intelligence: Recent Artificial Intelligence Development Trend and Future Evolution Direction. LG Economic Research Institute(Online). http://www.lgeri.com/report/view.do?idx19584 

  6. Open Data Portal, https://www.data.go.kr/ 

  7. Seoul Open Data Plaza, http://data.seoul.go.kr/ 

  8. Gyeonggi Data Dream, https://data.gg.go.kr/portal/mainPage.do 

  9. Healthcare Bigdata Hub, http://opendata.hira.or.kr/ 

  10. T. Borovicka, M. Jirina Jr, P. Kordik & M. Jirina. (2012). Selecting representative data sets. Advances in data mining knowledge discovery and applications, InTech. 43-70. 

  11. A. Ferrari, G. O. Spagnolo & S. Gnesi. (2017). Towards a Dataset for Natural Language Requirements Processing,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Working Conference on Requirements Engineering: Foundation for Software Quality. 

  12. ICT Standardization Strategy Map ver.2018. (2017).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13. TTAK.KO-10.0974, Big Data - Definition, Concept and Use Cases of Data Providing Service, TTA Standards. (2016) 

  14. TTAK.KO-10.0975, Big Data - Requriements and Functional Architecture for Data Providing Service. TTA Standards, 2016. 

  15. ITU-T SG20 TR.AI4IoT,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ternet of Thing (work in progress), 2018 

  16. ISO/IEC AWI TR 20547-1, Information technology -- Big data reference architecture -- Part 1: Framework and application process 

  17. ISO/IEC AWI 22989, Artificial Intelligence Concepts and Terminology (work in progress), 

  18. ISO/IEC AWI 23053, Framework for Artificial Intelligence (AI) Systems Using Machine Learning (ML) (work in progress) 

  19. List of datasets for machine learning research,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datasets_for_machine_learning_research, Wikipedia, 2018. 

  20. T. Bertin-Mahieux, D. P. W. Ellis, B. Whitman, & P. Lamere. (2011). The Million Song Dataset. Proceedings of the 12th International Society for Music Information Retrieval Conference, 2(9), 591-596. 

  21. S. J. Raudys & A. K. Jain. (1991). Small sample size effects in statistical pattern recognition: Recommendations for practitioners. IEEE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 Machine Intelligence, 13(3), 252-264. 

  22. G. Pant, P. Srinivasan & F. Menczer. (2004). Crawling the web. Web Dynamics, 153-177. 

  23. J. Morcos, Z. Abedjan, I. F. Ilyas, M. Ouzzani, P. Papotti & M. Stonebraker. (2015). Dataxformer: An interactive data transformation tool. Proceedings of the 2015 ACM SIGMO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nagement of Data, 883-888. 

  24. Y. Li, R. Krishnamurthy, S. Raghavan, S. Vaithyanathan & H. V. Jagadish. (2008). Regular expression learning for information extraction.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on Empirical Methods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21-30. 

  25. I. Guyon & A. Elisseeff. (2006). An introduction to feature extraction. In Feature extraction. Springer, 1-25. 

  26. T. Fushiki. (2011). Estimation of prediction error by using K-fold cross-validation. Statistics and Computing, 21(2), 137-1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