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의 모유수유 기간 및 임신 횟수와 치주염의 연관성에 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f association between breastfeeding and pregnancy and periodontitis in Women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10, 2018년, pp.149 - 157  

이세영 (경동대학교 치위생학과) ,  박정란 (백석대학교 치위생학과) ,  심선주 (백석대학교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성인여성에서 임신관련 건강요인과 치주염과의 상관성을 연구하기 위해 2010-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종속변수는 치주염이었으며 독립변수는 임신관련 건강요인으로서 출산후 수유기간과 임신횟수를 분석하였으며, 사회경제학적변수 및 건강관련행위는 혼란변수로 보정하였다. 임신횟수와 치주염은 여러 혼란요인을 보정한 후에 상관성이 높았다[임신횟수 2-3번인 여성의 교차비: 2.66(95% 신뢰구간: 1.56-4.54); 임신횟수 4회 이상인 여성의 교차비: 3.02(95% 신뢰구간: 1.70-5.36)]. 결론적으로 치주염은 임신횟수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향후 임산부 구강보건교육 및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함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for 2010-2014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gnancy-related health factors and periodontitis in adult women. Dependent variable was periodontitis, and independent variables, pregnancy-related health factors(dura...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임신 여성과 치주질환의 연관성은 보고되고 있으나, 임신으로 인한 수유 기간이나 임신 횟수와 구강건강과의 연관성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여성의 모유 수유 기간 및 임신 횟수와 치주염과의 연관성을 파악하고 역학적 관계를 확인하여 향후 지역사회주민들의 포괄적인 건강증진과 구강건강 증진에 필요한 예방 지향적인 정책을 만드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성인여성에서 임신관련 건강요인과 치주염과의 상관성을 연구하기 위해 2010- 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종속변수는 치주염이었으며 독립변수는 임신관련 건강요인으로서 출산후 수유 기간과 임신 횟수를 분석하였으며, 사회경제학적변수 및 건강관련행위는 혼란변수로 보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행 연구에서 밝혀진 임신 여성의 치주질환이 태아에게 끼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9%가 치주염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14] 또한 임신 여성의 치주질환은 치주염의 원인균이 혈류를 통해서 태아에게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조산 분만의 가능성이 4배 증가하며[13] 저체중아 출산 가능성은 1.6배 높았으며, 제태기간에 비해 저성장한 신생아 출산 가능성은 2.28배 증가한다는 연구와[15] 임신 합병증과 관련되어 있다는 연구 논문들이 다수 있다[16-19]. 모체의 치주 염증은 조산 위험성을 높일 수 있으며 치주질환을 더 진행시키고 태아에도 감염이 될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20]. 하지만 임신 중기부터 가능한 치석제거와 치근활택술과 같은 시술이 이루어진다면 치주질환 진행 속도를 억제하고, 조산율 또한 감소가 된다는 연구도 있다[16].
치주질환의 정의를 포함한 특징은 무엇인가? 구강병의 대표적인 질환인 치주질환은 치아 표면에 부착된 치면 세균막과 숙주의 반응으로 인해 중년기 이후의 치아 상실의 되는 주요한 원인으로 치은 출혈과 같은 치은염, 치조골의 흡수가 되는 초기 치주염의 현상을 나타내고 있으며[8], 우리나라 성인의 37%가 치주질환에이환되어 유병율이 높은 만성질환 중 하나이며 성인기에 대표적인 치아 상실의 원인이라고 보고가 있으며[9], 미국 그리고 유럽에서도 성인 대다수가 치주염에 이환되었다고 조사되었다[10-11].
여성이 남성에 비해 상실 치아 수와 무치악 비율이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여성은 임신과 출산으로 인해 남성과 비교하여 상실 치아수가 더 많으며 무치악 비율도 높다는 연구가 있으며, 이러한 이유는 임신 기간 동안 스트레스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지고 감염에 대한 저항력도 낮아져 구강내 감염이 발생되어 치과 질환에 쉽게 걸리기 때문이라고 보고되었다[25]. 그리고 임신 기간에는 입안 환경의 변화와 호르몬의 변화는 혈관벽이 약해져서 잇몸이 붓는 염증 증상이 잘 나타나고 타액의 산성화로 인해 세균번식이 쉬운 환경 변화로 치주염에 취약해진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U. Baser, A. Cekici, S. Tanrikulu-Kucuk, A. Kantarci, E. Ademoglu & F. Yalcin. (2009) Gingival inflammation and interleukin-1 beta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levels in gingival crevicular fluid during the menstrual cycle. Journal of periodontology. 80(12), 1983-1990. 

  2. B.L. Rooney & C.W. Schauberger. (2002). Excess pregnancy weight gain and long-term obesity: one decade later. Obstetrics & Gynecology, 100(2), 245-252. 

  3. A. Cohen, C.F. Pieper, A.J. Brown & L.A. Bastian. (2006). Number of children and risk of metabolic in women. Journal of women's health, 15(6), 763-773. 

  4. E.P. Gunderson, D.R. Jacobs, V. Chiang, C.E. Lewis, A. Tsai, C.P. Jr Quesenberry & S. Sidney. (2009). Childbearing is associated with higher incid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among women of reproductive age controlling for measurements before pregnancy: the CARDIA study.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1(2), 177-186. 

  5. E.J. Choi. (2017). Breastfeeding-relate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ir Policy Implication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49, 72-81. 

  6. S.S. Lee, J.S. Park, S.Y. Lee, M.A. Oh & H.J. Choi. (2015).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nnual Report 2015.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7. K.D. Han, Y. Ko, Y.G. Park & J.B. Park. (2016) Associations between the number of natural teeth in postmenopausal women and duration of lactation: The 2010-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Maturitas, 85, 73-78. DOI: 10.1016/j.maturitas.2015.12.010 

  8. P.E. Petersen & H. Ogawa. (2005) Strengthening the prevention of periodontal disease: the WHO approach. Journal of periodontology, 76(12), 2187- 2193. 

  9. Ministy of Health & Welfare. (2010). 2010 Korean National Oral Health Survey: 3 Summary Report,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475. 

  10. G. Thomton-Evans, P. Eke, L. Wei, A. Palmer, R. Moeti, S. Hutchins, &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CDC). (2013). Periodontitis among adults aged >30 years Untied States, 2009-2010. MMWR Surveill Summ, 62, 129-135. 

  11. B. Holtfreter, T. Kocher, M. Desvarieux & W. Micheelis. (2010). Prevalence of periodontal disease and treatment demands based on a German dental survey (DMS 4). Journal of clinical periodontology, 37(3), 211-219. DOI: 10.1111/j.1600-051X.2009.01517.x 

  1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8.30.) Periodontal diseas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ttp://www.cdc.gov/OralHealth/periodontal disease/ 

  13. L. Giannella, S. Giulini, L.B. Cerami, A. La Marca, A. Forabosco & A. Volpe. (2011). Periodontal disease and nitric oxide levels in low risk women with preterm labor. European Journal of Obsterics, Gynecology, and Reproductive Biology, 158(1), 47-51. DOI: 10.1016/j.ejogrb.2011.04.034 

  14. J.E. Ha, B.M. Yeo, H.Y. Roh, D.I. Paik & K.H. Bae. (2010). Periodontal condition and pathogens distribution of pregnant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34(4), 587-594. 

  15. M. Vogt, A.W. Sallum, J.G. Ceratti & S.S. Morais. (2012).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revalence of periodontal disease in low-risk pregnant women. Reproductive Health, 9(1), 3. DOI: 10.1186/1742- 4755-9-3 

  16. S. Offenbacher, D. Lin, R. Strauss, R. Mckaig, J. Irving, S.P. Barros, K. Moss, D.A. Barrow, A. HeftiA & J.D. Beck. (2006) Effects of periodontal therapy during pregnancy on periodontal status, biologic parameters, and pregnancy outcomes: a pilot study. Journal of periodontology, 77(12), 2011-2024. 

  17. A.R. Goepfert, M.K. Jeffcoat, W.W. Andrews, O. Faye-Petersen, S.P. Cliver, R.L. Goldenberg & J.C. Hauth. (2004). Periodontal disease and upper genital tract inflammation in early spontaneous preterm birth. Obstetrics & Gynecology. 104(4), 777-783. 

  18. V. Canakci, C.F. Canakci, H. Canakci, E. Canakci, Y. Cicek, M. Ingec, M. Ozgoz, T. Demir, A. Dilsi & H. Yagiz. (2004). Periodontal disease as a risk factor for pre-eclampsia: A case control study.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aecology, 44(6), 568-573. 

  19. M. Radnai, I. Gorzo, E. Nagy, E. Urban, T. Novak & A. Pal (2004). A possible association between preterm birth and early periodontitis. Journal of clinical periodontology, 31(9), 736-741. 

  20. P. Madianos, S. Lieff, A.P. Murtha, K.A. Boggess, R.L. J.D. Auten Jr & S. Offembacker. (2001). Maternal Periodontitis and prematurity. Part 2: Maternal infection and fetal exposure. Annals of periodontology, 6(1), 175-182. DOI: 10.1902/annals.2001.6.1.175 

  21. A.E. Field, E.H. Coakley & A. Must. (2001). Impact of overweight on the risk of developing common chronic diseases during a 10-year period.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1(13), 1581-1586. 

  22. J.W. Kim, H.J. Kwon, S.G. Lee & Y.H. Choi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periodontal disease and the preval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 J Korean Acad Oral Health, 31(31), 387-395. 

  23. H.J. Baek, Y.H. Choi, K.B. Song & H.J. Kwon (2010). The association of metabolic syndrome and periodontitis in Korean adult population. J Korean Acad Oral Health, 34(34), 338-345. 

  24. WHO oral health (2017.8.30) Periodontal country profiles. WHO oral health. http://www.who.int/oral_health/ databases/niigata/en/ 

  25. F. Scheutz & J. Heidmann. (2001). Determinants of utilization of dental services among 20 to 34-year-old Danes. Acta Odontologica Scandinavica, 59(4), 201-211. 

  26. J.H. Kim. (2018). The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periodontal Disease on Covergence stud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8), 71-76. DOI: 10.15207/JKCS.2018.9.8.071 

  27. Y.H. Lee & J.O. Choi. (2017) Convergence of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Periodontal Disease in Adul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1), 215-222. DOI:10.15207/JKCS.2017.8.11.215 

  28. E.S. Choi, J.Y. Lyu, & H.Y. Kim. (2015).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status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15(4), 480-487. DOI:10.17135/jdhs.2015. 15.4.480 

  29. A. Sheiham & R.G. Watt. (2000). The common risk factor approach: a rational basis for promotion oral health. Community Dentistry and Oral Epidemiology: Commentary, 28(6), 399-406. 

  30. Y.N. Park & J.S. Shim. (2008). A study on the awareness and practice of the pregnant women about oral health ca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8(3), 53-63. 

  31. G.Y. Lee & B.Y. Won. (2009). A study on the oral health care of pregnant women in a reg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9(1), 1-12. 

  32. G. Moreu, L. Tellez, & M. Gonzalez. (2005).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eriodontal disease and low-birth-weight pre-term infants. Journal of clinical periodontology, 32(6), 622-7. 

  33. H Silk, AB Douglass, JM Douglass & L Silk. (2008). Oral health during pregnancy. American Family Physician, 77(8), 1139-1144. 

  34. YJ Doe, MG Ji & MH Yun. (2018). Association between congnition of periodontal disease periodontal patients, life stress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3), 55-62. DOI: 10.22156/CS4SMB. 2018.8.3.0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