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울과 불안의 변별적 진단을 위한 다차원 정서 척도의 개발
Development of an Multi-dimentional Affect Scale for Distinguishing between Depression and Anxiety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10, 2018년, pp.393 - 406  

이창묵 (건국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울과 불안은 진단 기준, 관련 이론, 증상 등에서 유사한 점이 많아 기존의 척도로는 서로를 변별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적 정서와 부적 정서가 우울, 불안과 높은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는 선행 연구를 근거로 우울과 불안의 변별적 진단을 목적으로 하는 진단 척도를 개발하였다. 먼저 우울과 불안의 공통분을 제거한 편상관 계수를 기준으로, 한 쪽에만 높은 상관을 나타내는 문항들을 찾아서 우울 및 불안에 대한 씨앗 척도를 구성하였다. 이 두 씨앗 척도를 독립변수로, 각 정서 문항을 종속변수로 하는 다중 회귀를 시행하여 회귀 계수를 구했으며, 이것을 우울과 불안 점수의 배점으로 사용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정서 척도는 좋은 내적 일치도를 나타냈으며, 기존 척도와는 높은 상관을 가지면서도 서로에 대한 상관은 더 낮았기 때문에, 기존 척도만큼 잘 측정하면서도 우울과 불안을 좀 더 잘 변별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실제 활용을 위해서 정서에 대한 문화적 특성을 보완하고, 보다 정교한 통계적 방법을 적용해야 할 것이며, 임상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타당화 연구를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epression and anxiety are the most popular mental disorders and not easy to distinguish because of their lots of similarities in the diagnostic criteria, related theories, and clinical symptoms. In this article, we developed the affect scale for distinguishable diagnosis, utilized the relations...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변별적 진단을 위해서 문항의 응답에서 우울, 불안 사이의 공통분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BDI와STAI-S를 각각 번갈아 제어 변수로 투입해서 문항과의 편상관을 구해서 서로 공유하는 영향이 최소이면서 우울 또는 불안과 관련이 큰 문항을 찾고자 하였다. 우울은 4문항, 불안은 5문항이 선택되었다(Table 1).
  • 온라인 표집의 경우 거리의 제약 없이 다양한 지역의 응답을 수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대체로 컴퓨터에 익숙한 젊은 층이 많다는 한계도 있다. 따라서 보다 다양한 집단의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온라인과 함께 오프라인에서 설문지 배포도 함께 진행하였다. 온라인의 경우 2011년 11월 17일부터 22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응답 완료시 캐쉬백 1000포인트가 지급 되었다.
  •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이론적 배경을 근거로, 정서 형용사 문항으로 우울과 불안의 수준을 동시에 측정하는 다차원 정서 척도를 개발하여 우울과 불안에 대한 변별적 진단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 우울 및 불안 검사의 단점으로 지적되어 온 높은 상관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정서 구조의 2개의 차원이 우울, 불안과 관련이 있다는 이론을 바탕으로 척도를 개발 하였다. 정서 상태를 반영하는 정서 형용사 문항으로 정서 상태를 다차원적으로 측정하는 검사를 개발하였으며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다차원구조를 반영한 정서 척도를 개발하여 단일 문항으로 우울과 불안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었으며 이 과정을 통해다차원성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척도 개발 방법을 제안할 수 있었다. 앞으로 후속 연구가 계속 이어져 본 검사는 물론 다차원적인 심리 속성을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는 척도의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울과 불안은? 우울과 불안은 심리 장애이기도 하지만 신체 질환을 겪는 과정에 종종 함께 접하게 되는 중요한 정신증상 중하나이다[13]. 최근 삼성서울병원의 조사에 따르면 주요우울장애의 평생 유병률은 5%, 불안장애는 9.
우울과 불안의 적절한 치료가 중요한 이유는? 최근 한 연구에서는 우울증이 다른 어떤 질환보다도 신체적, 직업적, 사회적 제한이 심하다고 하였으며[15] 한 개인의 사회적 신체적 안녕을 손상시키는 질환이다[16]. 미국에서는 약 437억 달러가 관련 비용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하며[17,18] 개인의 고통만이 아니라 사회, 경제적으로도 부담이 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우울과 불안의 조기 발견과 정확한 진단,그리고 적절한 치료는 매우 중요하다[19].
우울과 불안의 연구가 계속 되는 이유는? 우울과 불안은 가장 흔한 정신장애로 단독으로 진단 되기도 하지만 다른 진단에 부속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1]. 또 진단 기준에도 공통되는 속성이 존재하며 이론적인 측면이나 실제 임상에서 관찰되는 증상에서 상호 간 유사한 점이 많기 때문에 둘의 변별이 쉽지 않아 이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 왔다[2-5]. 다수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울장애와 불안장애의 공존률은 10%~50%까지 추정되며[6-9] 이 두 질환의 치료 또한 매우 유사하다는 점에서[10] 우울장애와 불안장애가 유사한 원인을 가진 것으로 추정하는 의견도 있다[11,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8)

  1. R. C. Kessler, W. T. Chiu, O. Demler, E. E. Walters. (2005). Prevalence, severity, and comorbidity of 12-month DSM-IV disorders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62(6), 617-627. 

  2. S. M. Kwon. (1996).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anxiety: Their commonness and difference in related life events and cognitions. Psychological Science, 5(1), 13-38. 

  3. Y. N. Park. (2003). Shared Characteristics of Depressive and Anxiety Disord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9(1), 118-128. 

  4. H. J. Yang. (2011). Factor analysis of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in anxiety disorder. Master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5. D. Watson, L. A. Clark, G. Carey (1988). Positive and Negative Affectivity and Their Relation to Anxiety and Depressive Disorder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7(3), 34-353. 

  6. J. M. Gorman, J. D. Coplan. (1996). Comorbidity of depression and panic disorder. The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57(Suppl. 10), 34-43. 

  7. J. M. Gorman. (1996-1997). Comorbid depression and anxiety spectrum disorders. Depress Anxiety, 4(4), 160-168. 

  8. K. J. Ressler, H. S. Mayberg. (2007). Targeting abnormal neural circuits in mood and anxiety disorders: from the laboratory to the clinic. Nature neuroscience, 10(9), 1116-1124. 

  9. P. P. Roy-Byrne, P. A. Stang, H. U. Wittchen, B. Ustun, E. E. Walters, R. C. Kessler. (2000). Lifetime panic-depression comorbidity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association with symptoms, impairment, course and help-seeking.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76(3), 229-235. 

  10. S. E. Bruce, K. A. Yonkers, M. W. Otto, J. L. Eisen, R. B. Weisberg, M. Pagano, M. T. SHea, M. B. Keller. (2005). Influence of psychiatric comorbidity on recovery and recurrence in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social phobia, and panic disorder: a 12-year prospective study.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62(6), 1179-1187. 

  11. M. Roth, C. Gurney, R. F. Garside, T. A. Kerr. (1972). Studies in the classification of affective disorders: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states and depressive illnesses-I.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21(561), 147-161. 

  12. C. Gurney, M. Roth, R. F. Garside, T. A. Kerr, K. Schapira. (1972). Studies in the classification of affective disorders: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states and depressive illnesses-II.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21(561), 162-166. 

  13. L. C. Kolb, H. K. Brodie. (1982). Modern clinical psychiatry,10th ed. Philadelphia: Sauders. 

  14. J. Hong., D. Lee, B. Ham, S. Lee, S. Sung, T. Yun, T. Ha, S. Son, J. Son, J. You, J. Kim, J. Park, S. Kim, S. Jo, Y. Jung, M. Kim, S. Jang, B. Kim, J. Ahn, B. Kim, K. Yun, I. Sin, H. Jeon, S. Kim. (2017). The survey of mental disorder in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5. K. Chon, M. Rhee. (1992). Preliminary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CES-D.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1(1), 65-76. 

  16. B. Ham, M. Lee, I. Kang, T. Hwang, W. Lee, K. Han, Y. Choi, I. Choi. (2004). A Study on the Stigma Perception of Depression Patients. Mood and emotion, 2(4), 237-244. 

  17. K. B. Wells, A. Stewart, R. D. Hays, M. A. Burnam, W. Rogers, M. Daniels, S. Berry, S. Greenfield, J. Ware. (1989). The functioning and well-being of depressed patients: results from the Medical Outcomes Study. Jama, 262(7), 914-919. 

  18. P. E. Greenberg, L. E. Stiglin, S. N. Finkelstein, E. R. Berndt. (1993). The economic burden of depression in 1990. The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54(11), 405-418. 

  19. N. Sartorius. (2003). Physical symptoms of depression as a public health concern. The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64, 3-4. 

  20. P. Clayton, W. Grove, W. Coryell, M. Keller, R. Hirschfeld, J. Fawcett. (1991). Follow-up and family study of anxious depression.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48, 1512-1517. 

  21. M. Fava, A. J. Rush, J. E. Alpert, C. N. Carmin, G. K. Balasubramani, S. R.Wisniewski, M. H. Trivedi, M. M. Biggs, K. Shores-wilson. (2006). What clinical and symptom features and comorbid disorders characterize outpatients with anxious major depressive disorder: A replication and extension. Canadian Journal of Psychoatry, 51(13), 823-835. 

  22. L. A. Clark, D. Watson. (1991). Tripartite model of anxiety and depression: psychometric evidence and taxonomic implication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0(3), 316-336. 

  23. D. J. Stein, E. Hollander, B. O. Rothbaum. (2009). Textbook of anxiety disorders, 2nd Eds. American Psychiatric Pub. 

  24. P. A. Di Nardo, D. H. Barlow. (1990). Syndrome and Symptom Co-Occurrence in the Anxiety Disorders. In J. D. Maser, R. Cloninger (Eds.) Comorbidity of Mood and Anxiety Disorders (pp. 205-230). Washington: American Psychiatric Press. 

  25. J. A. Russell. (1980). A Circumplex Model of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6), 1161-1178. 

  26. D. Watson, L. A. Clark, A. Tellegen (1984). Cross-cultural convergence in the structure of mood: A Japanese replication and a comparison with U. S. finding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7, 127-144. 

  27. D. Watson, A. Tellegen. (1985). Toward a consensual structure of mood. Psychological Bulletin, 98, 219-235. 

  28. D. P. Green, S. L. Goldman, P. Salovey. (1993). Measurement error masks bipolarity in affect rating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4, 1029-1041. 

  29. A. Tellegen, D. Watson, L. A. Clark. (1999). On the dimensional and hierarchical structure of affect. Psychological Science, 10, 297-303 

  30. A. Tellegen, D. Watson, L. A. Clark. (1999). Further support for a hierarchical model of affect: Reply to Green and Salovey. Psychological Science, 10, 307-309 

  31. J. A. Russell. (2009). Emotion, core affect, and psychological construction. Cognition and Emotion, 23(7), 1259-1283. 

  32. G. W. Farthing. (1992). The psychology of consciousnes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33. J. A. Russell. (2003). Core affect and the psychological construction of emotion. Psychological Review, 110, 145-172. 

  34. R.S. Lazarus, S. Folkman.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Publication Company. 

  35. A. Ortony, G. L. Clore, A. Collins. (1990). The cognitive structure of emotions.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6. K. Scherer, K. (2001). Appraisal considered as a process of multi level sequential checking. In K. Scherer, A. Schorr, & T. Johnstone (Eds.), Appraisal processes in emotion: Theory, methods, research.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7. I. Juvina, O. Larue, A. Hough. (2018). Modeling valuation and core affect in a cognitive architecture: The impact of valence and arousal on memory and decision-making. Cognitive Systems Research, 48, 4-24. 

  38. E. Hudlika. (2015). Computational analytical framework for affective modeling: Towards guidelines for designing computational models of emotions. In J. Vallverdu(Ed.), Synthesizing human emotion in intelligent systems and robotics. Hershey, PA: IGI Global. 

  39. S. Marsella, J. Gratch, P. Petta. (2010). Computational models of emotion. In K. R. Scherer, T. Banziger, & E. Roesch (Eds.), A blue print for affective computing: A source book and manual (pp. 21-46).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40. F. E. Ritter. (2009). Two cognitive modeling frontiers: Emotions and usability. Journal of Japanese AI Research, 24(2), 241-249. 

  41. C. L. Dancy. (2013). ACT-R ${\pi}$ : A cognitive architecture with physiology and affect. Biologically Inspired Cognitive Architectures, 6(1), 40-45. 

  42. R. P. Marinier, J. E. Laird, R. L. Lewis. (2009). A computational unification of cognitive behavior and emotion. Cognitive Systems Research, 10, 48-69. 

  43. S. Marsella, J. Gratch. (2009). EMA: A process model of appraisal dynamics. Journal of Cognitive Systems Research, 10(1), 70-90. 

  44. R. Sun, N. Wilson, M. Lynch. (2016). Emotion: A unified mechanistic interpretation from a cognitive architecture. Cognitive Computation, 8(1), 1-14. 

  45. C. Becker-Asano, I. Wachsmuth. (2008). Affect simulation with primary and secondary emotions. Paper presented at the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t virtual agents. Tokyo. 

  46. J. K. MacCormack, K. A. Lindquist. (2018, June 11). Feeling Hangry? When Hunger Is Conceptualized as Emotion. Emotion. Advance online publication. DOI : 10.1037/emo0000422 

  47. A. D. Ong, L. Benson, A. J. Zautra, N. Ram. (2018). Emodiversity and Biomarkers of Inflammation. Emotion, 18(1), 3-14. 

  48. Y. Kajiwara, S. Yonekura, H. Kimura. (2018). Prediction of Future Mood Using Majority Vote Based on Certainty Factor. Sensors and Materials, 30(7), 1473-1486. 

  49. S. Rho, B. Han, E. Hwang. (2009). SVR-based music mood classification and context-based music recommendation. the 17th AC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ultimedia. 713-716. October 19. Beijing, China. 

  50. I. Andjelkovic, D. Parra, J. O'Donovan. (2018). Moodplay: Interactive music recommendation based on Artists' mood similarity.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1-18. 

  51. O. Bones, T. J. Cox, W. J. Davies. (2018). Distinct categorization strategies for different types of environmental sounds. Euronoise 2018. 2391-2398. 

  52. D. H. Barlow, (2000). Unraveling the mysteries of anxiety and its disorders from the perspective of emotion theory. American Psychologist, 55(11), 1247-1263. 

  53. A. M. Kring, K. H.Werner (2004). Emotion regulation and psychopathology. In P. Philoppot, R. S. Feldman (Eds.), The regulation of emotion (pp. 359-385). Hove, UK: Psychology Press. 

  54. S. Mineka, S. K. Sutton. (1992). Cognitive Biases and the Emotional Disorders. Psychological Science, 3(1), 65-69. 

  55. D. Watson, L. A. Clark, A. Tellegen.(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6), 1063. 

  56. K. H. Han, K. J. Moon, J. Y. Lee, J. H. Kim. (2011).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 Restructured Form Manual. Maumsarang: Seoul. 

  57. K. H. Han, J. S. Kim, J. Y. Im, J. H. Lee, B. B. Min, K. J. Moon. (2011).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 Manual - Revised Edition. Maumsarang: Seoul. 

  58. Y. H. Lee, J. Y. Song. (1991).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BDI , SDS , and MMPI-D Scal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0(1), 98-113. 

  59. D. W. Han, J. H. Lee, K. K. Jeon, C. D. Spielberger. (2000). Manual for the Korean version of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Hakjisa: Seoul. 

  60. Statistics Korea. (2006). the 2005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Statistics Korea: Seoul.. 

  61. H. F. Kaiser. (1974). An index of factorial simplicity. Psychometrika, 39, 31-36. 

  62. M. S. Bartlett. (1937). Properties of sufficiency and statistical tests. Proceedings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A 160, 268-282. 

  63. T. A. Brown. (2015).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Applied Research (2nd Ed.). Guilford Press; New York. 

  64. J. L. Horn. (1965). A rationale and test for the number of factors in factor analysis. Psychometrika, 30(2), 179-185. 

  65. K. J. Preacher, R. C. MacCallum. (2003). Repairing Tom Swift's Electric Factor Analysis Machine. Understanding Statistics, 2(1), 13-43. 

  66. J. R. Crawford, J. D. Henry. (2004). The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 Construct validity, measurement properties and normative data in a large nonclinical sample.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3(3), 245-265. 

  67. H. Park, J. Lee. (2016). A Validation Study of Korean Version of PANAS-Revised.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35(4), 617-641. 

  68. H. Lee, E. Kim, M. Lee. (2003). A Validation Study of Korea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The PANAS Scal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2(4), 935-94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