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기주장훈련 프로그램이 간호사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자기주장행동 및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about the Effects of Assertiveness Training on Nurses'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ssertiveness Behavior,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10, 2018년, pp.487 - 495  

김경임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  김수진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 간호과학연구소) ,  김보영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 건강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자기주장훈련 프로그램이 간호사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자기주장행동 및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에 의한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2개 대학교 간호대학원생으로 실험군 14명, 대조군 18명 총 32명이었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8년 3월 13일부터 2018년 5월 8일까지이었다. 실험군에게는 주 1회, 180분씩 총 6회기 본 프로그램을 진행한 후 교육 전과 후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Fisher's exact test, $x^2-test$, t-test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주장훈련 프로그램이 간호사의 자기주장행동과 의사소통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융복합 기반 시대 흐름에 맞춰 간호사의 자기 주장능력과 의사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효과적인 훈련방안 개선에 기여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for nurses'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ssertiveness behavior,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The study is quasi-experimental study by nonequivalence control group design.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개방화 시대에 4차 산업혁명의 시대적 요구에 원활한 소통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것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융복합 시대 흐름에 맞춰 간호사의 자기 주장능력과 의사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효과적인 훈련방안 개선에 기여하고 임상간호사의 융합인재 양성 연구의 기초가 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2회기 때 합리적 사고와 비합리적 사고를 이해하고 일상생활에서 자신이 경험하는 비합리적 신념을 파악하여 비합리적 신념이 자신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비합리적 신념을 합리적 신념으로 바꾸어 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가 6회기 중 1회만 비합리적 신념을 언급한 것에 비해 Kang과 Kim[11]의 전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불안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 불안의 원인을 탐색하고 불안을 극복하는 내용으로 15회기 중 5회기 이상을 인지적 방법을 병행하여 진행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 본 연구는 자기주장훈련 프로그램이 간호사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자기주장행동 및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ㆍ사후 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이 간호사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자기주장행동 및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논의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제 1가설: ‘자기주장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낮을 것이다.
  • 제 1가설: 자기주장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낮을 것이다.
  • 제 2가설: ‘자기주장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자기주장행동이 높을 것이다.
  • 제 2가설: 자기주장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자기주장행동이 높을 것이다.
  • 제 3가설: ‘자기주장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의사소통능력이 높을 것이다.
  • 제 3가설: 자기주장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의사소통능력이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장행동이란 무엇인가? 주장행동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감정적으로 불쾌감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자신의 권리, 욕구, 의견, 생각 등을 솔직하게 직접 표현하거나 주장하는 것을 의미하며, 주장행동은 사회적으로 적절한 행동이며 타인의 안녕을 고려한 바람직한 행동이다[6]. 간호사의 자기주장 행동은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 감정을 표현하는 것 뿐 아니라 전문직의 가치인식, 상대방에 대한 배려, 대인관계의 원활함에 도움이 된다[7].
의사소통과 이해가 간호사에게 요구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병원은 간호사, 의사 등 직종이 다양한 사람들이 근무하는 곳으로 어느 조직보다 효율적인 의사소통과 이해가 필요한 조직이다[1]. 간호사는 환자와 보호자, 동료간호사 뿐만 아니라 병원의 여러 부서 종사자들과 상호작용해야 하고[1], 간호는 간호사와 환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는 행위로 의사소통을 통해 전달되고 제공되기 때문에 의사소통은 간호사에게 가장 중요한 능력 중의 하나이다[2]. 그러나 환자와 보호자, 여러 직종과의 업무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간호사가 의사소통 능력이 부족하여 환자안전에 위협이 되기도 하므로[3], 환자의 대변자로서의 역할을 가진 간호사가 환자와 다른 부서의 의료인과 의사소통을 어떻게 하느냐는 환자의 건강회복에 큰 영향을 미친다[4].
간호사의 자기주장 행동의 이점은 무엇인가? 주장행동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감정적으로 불쾌감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자신의 권리, 욕구, 의견, 생각 등을 솔직하게 직접 표현하거나 주장하는 것을 의미하며, 주장행동은 사회적으로 적절한 행동이며 타인의 안녕을 고려한 바람직한 행동이다[6]. 간호사의 자기주장 행동은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 감정을 표현하는 것 뿐 아니라 전문직의 가치인식, 상대방에 대한 배려, 대인관계의 원활함에 도움이 된다[7]. 또한 간호사는 환자의 증상이 불안정한 상태를 조기에 관찰할 수 있는 위치에 있어 주장 능력은 오류 예방과 환자의 위험을 감소시켜 간호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E. J. Lim & Y. J. Yi. (2014). Comparison of operating room nueses and general ward nurses on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within the medical team.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3), 313-321. DOI: 10.11111/jkana.2014.20.3.313 

  2. M. S. Yi. (2007). Conversation analysis for improving nursing communi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5), 772-780. 

  3. Y. A. Cho & K. S. Kim. (2013). Effects of assertiveness training for ICU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9(2), 255-264, 

  4. K. J. Lee et al. (2015). Interpersonal and communication skills in nursing. Seoul: Shinkwang Publishing. 

  5. H. S. Lee & J. K. Kim. (2010). Relationship among communication competence, communication typ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6(4), 488-496. 

  6. S. H. Kim. (1982). The effects of 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on assertiveness and self- actualization. Study on Students Guidance. 22 (1), 19-30. 

  7. R. Sudha. (2005). How to be an assertive nurse? Nursing Journal of India, 96(8), 182-183. 

  8. S. McVanel & B. Morris. (2010). Staff's perceptions of voluntary assertiveness skills training. Journal for Nurses in Staff Development, 26(6), 256-259. 

  9. I. M. Marks. (1969). Fears and phobias. New York : Academic Press. 

  10. C. H. Choy & J. Y. Lee. (1994). Irrational beliefs and situational factors in social anxiety.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6(1), 21-47. 

  11. J. R. Kang & J. S. Kim. (2015). The effects of an assertion training program on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for junior college students. Teacher Education Research, 54(4), 761-772. DOI: 10.15812/ter.54.4.201512.761 

  12. Y. H. Shin. (2012). Influencing factors for nurses problem solving ability related to dysfunctional beliefs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y.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8(3), 402-412. 

  13. J. I. Lee. (2003). Anger, anxiety, depression in the workplace-differences of evoking causes and coping methods among emotions, Relationships of emotion regulation and sychological well-being, job effectiveness. Korean psychology Association, 6(3), 19-58. 

  14. C. G. Byeon & S. H. Kim. (1980). Assertive training program. Journal of Students Guidance, 13(1), 51-85. 

  15. R. E. Alberti & M. L. Emmons. (2008). Your perfect right: assertiveness and equality in your life and relationships. United states-CA, Atascadero : Impact Publishers. 

  16. E. J. Moon. (2017). The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assertiveness training group counseling programs.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25(1), 135-154. 

  17. S. Y. Park. (1998). The effects of assertiveness training and value clarification training on nurse's role conflict.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0(3), 535-547. 

  18. Y. J. Shin. (2009). The effect of the assertive training program on assertiveness,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hospital nurses..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19. M. S. Kim. (2016). Development and effects of assertiveness training applying dongsasub training for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6(4), 490-500. DOI : 10.4040/jkan.2016.46.4.490 

  20. N. Yohei, Y. Naoki, T. Hiroki, K. Sayaka, N. Sayoko, A. Keiko, & S. Yuko. (2017).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modified brief assertiveness training for nurses in the workplace: a single-group feasibility study. BMC Nursing, 16(29), 1-8. DOI : 10.1186/s12912-017-0224-4 

  21. M. J. Kang & H. J. Lee. (2006). The effect of assertiveness training on communication related factors and personnel turnover rate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5), 681-690. 

  22. D. Watson. & R. Friend. (1969). Measurement of social-evaluative anxiet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33, 448-457. 

  23. C. H. Choy & J. Y. Lee. (1997). The effects of the cognitive-behavioral and exposure therapy for social phobia.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9(1), 35-56. 

  24. S. A. Rathus. (1973). A 30-item schedule forassessing assertive behavior. Behavior Therapy, 4(3), 398-406. 

  25. Y. S. Ha, S. H. Kim, C. H. Moon, S. Y. Sok, J. L. Yoon & M. J. Lee. (1983). The 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for aggressive or passive undergraduates. Study on Students Guidance, 16(1), 1-50. 

  26. M. J. Papa. (1989).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mployee performance with new technology: A case study. The southern communication journal 55(1), 1-10. 

  27. H. S. Lee & J. K. Kim. (2010). Relationship among communication competence, communication typ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6(4), 488-496. 

  28. R. F. Rakos. & H. E. Schroeder. (1980). Self-directed assertiveness training. New York : Biology Monitoring Application. 

  29. Y. H. Kim. (1994). The effectiveness of assertive training program on the level of anxiety, assertive behaviour and sociality in the persons with mental illness. Korean Academy of Pa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3(1), 1-10. 

  30. J. H. Park & S. K. Chung. (2016).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resilience on nursing performance in university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10), 236-244, DOI: 10.5762/KAIS.2016.17.10.236 

  31. H. K. Cho & I. S. Jung. (2018).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ability, general self-efficacy, social self-efficacy and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freshmen.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3), 25-32. 

  32. M. S. Choi (2017). Convergence study about awareness towar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ability and self-efficacy: centered on the ‘'s’' university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6), 79-87. 

  33. I. S. Park, J. Oh & Y. S. Kim. (2014). Effect of perceived nurse's communication style on admitted children mother's stress and cop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6), 365-373. 

  34. E. J. Oh & H. K. Choi. (2018). Comparison of psychiatric and clinical nurses on emotional intelligence, facilitative communication ability and communication conflic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50), 329-34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