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조직문화, 직장내 괴롭힘, 병원폭력에 대한 태도가 간호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The Convergence Effects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Workplace Bullying, and Hospital Violence Attitude on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Clinical Nurse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10, 2018년, pp.589 - 597  

심희숙 (배재대학교 간호학과) ,  안성윤 (배재대학교 간호학과) ,  이윤주 (인천재능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조직문화, 직장내 괴롭힘, 병원폭력에 대한 태도와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자료는 대학병원 간호사 107명을 대상으로 2018년 4월 12일부터 4월 23일까지 수집되었다. 간호조직문화, 직장내 괴롭힘, 병원폭력에 대한 태도,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는 Pearson의 상관계수로 분석하였다. 변수들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은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간호사의 심리적 안녕감은 직장내 괴롭힘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혁신지향문화 및 관계지향문화, 병원폭력에 대한 태도 중 인식영역과는 양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관계지향문화와 병원폭력에 대한 태도 중 인식영역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었으며, 이들은 심리적 안녕감에 대해 17.3%의 설명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사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일 수 있는 간호조직문화 개선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organization culture, workplace bullying, hospital violence attitud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12, 2018 to April 23, 2018 for 107 nurses working at university hospital. The relationship b...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조직문화, 직장 내 괴롭힘, 병원폭력에 대한 태도와 간호사의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간호사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간호조직문화, 직장내 괴롭힘, 병원폭력에 대한 태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조직문화, 직장내 괴롭힘, 병원폭력에 대한 태도와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간호조직문화, 직장내 괴롭힘, 병원폭력에 대한 태도가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간호사가 만족감을 느끼고 근무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의 직장내 괴롭힘의 결과는? 1%인 것으로 나타나[9]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직장내 괴롭힘이 심각한 상태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행위의 결과로서 신체적 증상과 심리적 증상, 사회적 비용이 유발[10]되고 있는데, 특히 불안, 우울, 자기부정(negative self), 적대감, 신체화 등 부정적인 심리적 증상을 유의하게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1].
심리적 안녕감이란? 심리적 안녕감은 개인이 사회적 구성원으로서 얼마나 잘 기능하고 있는지 인식하는 것으로, 심리적으로 완전하게 기능하는 상태를 행복이라고 정의한다[17]. 선행연구들을 살펴 본 결과, 간호사들이 직장내 괴롭힘과 병원폭력 경험이 심리적 증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11,16], 간호조직문화와 직장내 괴롭힘과의 관련성을 보고한 결과들[18-20]로 미루어 보아 이들 변수들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칠 것을 예상할 수 있었다.
간호조직문화 유형은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 간호사들이 조직 내에서 공유하고 있는 가치, 신념, 행동방식으로서 작용하는 간호조직문화는 간호조직 구성원들의 사고와 행동에 강력하게 영향을 미친다[4]. 따라서 관계지향, 위계지향, 성과지향, 혁신지향문화로 분류되는 간호조직문화 유형[4]에 따라 개인으로서 간호사들이 갖는 심리적 안녕감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L. Smircich (1983). Concept of Culture and Organizational Analysis. Administative Science Quarterly, 28(3), 339-358. DOI : 10.2307/2392246 

  2. U. Bronfenbrenner (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3. S. Y. Park & E. H. Park (2011).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ollaborative Culture of Kindergartens.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8(2), 167-189. DOI : 10.1080/03004430701769019 

  4. M. S. Kim, S. J. Han, & J. H. Kim (2004). The Development of the Nursing Organization Culture Measurement Tool.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0(2), 175-184. 

  5. D. Yamada (2009). Understanding and Responding to Bullying and Related Behaviors in Healthcare Workplaces. Frontiers of Health Services Management, 25(4), 33-36. 

  6. Y. J. Lee & E. J. Lee (2014). Conceptual Development of Workplace Bullying: Focusing on Hospital Nurses. Korean J Health Edu Promot, 31(1), 57-71. DOI : 10.14367/kjhep.2014.31.1.57 

  7. S. Blackstock, K. Harlos, M. L. P. Macleod, & C. L. Hardy (2014).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Factors on Horizontal Bullying and Turnover Intentions in the Nursing Workplace.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3, 1106-1114. DOI : 10.1111/jonm.12260 

  8. S. L. Johnson & R. E. Rea (2009). Workplace Bullying-Concerns for Nurse Leader.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39(2), 84-90. DOI : 10.1097/NNA.0b013e318195a5fc 

  9. K. O. Park, S. Y. Kim, & J. K. Kim (2013). Hospital Nurses’ Experience of Bullying in the Workplace and Burnout,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Nursing Productivity.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9(2), 169-180. 

  10. C. J. Sune & M. S. Jung (2014). Concept Analysis of Workplace Bullying in Nursing.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8(4), 299-308. DOI : 10.21184/jkeia.2014.12.8.4.299 

  11. P. Duru, M. E. Ocaktan, U. Celen, O. Orsal (2018). The Effect of Workplace Bullying Perception on Psychological Symptoms: A Structural Equation Approach. Safety and Health at Work, 9, 210-215. DOI : 10.1016/j.shaw.2017.06.010 

  12. R. Nelson (2014). Tackling Violence against Health-care Worers. Lancet, 383(9926), 1373-1374. DOI : 10.1016/S0140-6736(14)60658-9 

  13. R. Charpman, I. Styles, L. Perry, & S. Combs (2010).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Workplace Violence in One Non-tertiary Hospital.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9(3-4), 479-488. DOI : 10.1111/j.1365-2702.2009.02952.x 

  14. M. Hutchinson, L. Wilkes, D. Jackson, M. H. Vickers (2010). Integrating Individual, Work Group and Organizational Factors: Testing a Multidimensional Model of Bullying in the Nursing Workplace.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18(2), 173-181. DOI : 10.1111/j.1365-2834.2009.01035.x 

  15. E. H. Ha, J. Y. Cho, & J. M. Kim (2015).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Hospital Violence Attitude Scale-18(HVAS-18) for Clinical Nurses. Korean J Adult Nurs, 27(1), 39-51. DOI : 10.7475/kjan.2015.27.1.39 

  16. E. H. Ha, & J. Y. Cho (2013). Coping Styles toward Hospital Violence in Clinical Nurses: An Application of Q Methodology. Korean J Adult Nurs, 25(3), 263-274. DOI : 10.7475/kjan.2013.25.3.263 

  17. C. D. Ryff (1989). Happiness if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1), 1069-1081. 

  18. Y. L. Kim & E. O. Park (2017). Comparison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Experience of Workplace Bullying in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6(3), 197-206. DOI : 10.5807/kjohn.2017.26.3.197 

  19. Y. S. An & J. Y. Kang (2016).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Workplace Bullying among Korean Nurses. Asian Nursing Research, 10, 234-239. DOI : 10.1016/j.anr.2016.06.004 

  20. E. H. Han & Y. M. Ha (2016). Relationships among Self-esteem, Social Support,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Experience of Workplace Bullying, and Consequence of Workplace Bullying in Hospital Nurses. J Korean Acad Nurs Adm, 22(3), 303-312. DOI : 10.11111/jkana.2016.22.3.303 

  21. F. Faul, E. Erdfelder, A. Buchner, A. G. Lang.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 Res Methods ;41, 1149-1160. DOI : 10.3758/BRM.41.4.1149 

  22. Y. J. Lee & M. H. Lee (2014). Development and Validity of Workplace Bullying in Nursing - Type Inventory (WPBN-TI). J Korean Acad Nurse, 44(2), 209-218. DOI : 0.4040/jkan.2014.44.2.209 

  23. J. Y. Cho & E. H. Ha (2017). Revalidation of the Hospital Violence Attitude Scale-18 (HVAS-18)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8), 135-144. DOI : 10.5762/KAIS.2017.18.8.135 

  24. M. S. Kim & H. W. Kim (2000). Analyses on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PWB) and Relationship between PWB and Subjective Well-Being(SWB) among Korean Married Women.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5(1), 27-41. 

  25. Y. J. Cho (2006). The Effects of Productive Activities on Elderly Women's Subjective Well-Being: An Application of the Demand-Control-Support Model.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6. E. S. Shin, M. An, M. L. Choi, A. K. Lee, E. A. Jeon, Y. M. Jeoung, M. H. Seo. et al. (2017).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Nursing Service among Clinal Nurses: Focused on Resilience and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3(3), 302-311. DOI : 10.22650/JKCNR.2017.23.3.302 

  27. Y. S. Lee & S. H. Park. (2015). Nurses' Perceived Organizational Culture, Verbal Abuse and Job Stres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5(10), 293-304. DOI : 10.5392/JKCA.2015.15.10.292 

  28. M. S. Kim. (2009). Role of Self-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formatics Competency. J Korean Acad Nurs, 39(5), 731-740. DOI : 10.4040/jkan.2009.39.5.731 

  29. D. H. Yang, D. C. Jeong, W. S. Seo, H. G. Park, S. H. Kim, & K. M. Kim. (2009).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Change in Korean Healthcare Industry - Redefining the Role of Healthcare Professionals (MDs & Nurses) and Hospitals, Seoul: KMA Research Institute For Healthcare Policy. 

  30. H. J, Lee & K. J. Kim. (2012). Hospital Innovation with a Focus on Organizational Identity.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5(4), 2139-2156. http://www.dbpia.co.kr/Article/NODE01927190 

  31. S. H. Kim (2015). The effects of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workplace bullying on nursing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aejeon. 

  32. Y. S. Im, J. H. Kim, & H. Kwon. (2016). Relationships among bullying in workplace, burnout,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Korean physician assistant (PA) nurse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2), 703-713. DOI : 10.5392/JKCA.2016.16.02.703 

  33. H. Lee, J. M. Kim, & J. W. Han. (2017). Impact of Job Rotation Stress in Nurses on Psychological Well-being: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Challenge Assessment and Hindrance Assessment.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iral cooperation Society, 18(10), 373-381. DOI : 10.5762/KAIS.2017.18.10.373 

  34. S. Kang & S. H. Bae. (2015).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linical Nurses. J Muscle Jt Health, 22(3), 185-194. DOI : 10.5953/JMJH.2015.22.3.185 

  35. J. Cohen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2nd Ed.),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36. Y. S. Lee & S. H. Park. (2015). Nurses' Perceived Organizational Culture, Verbal Abuse and Job Stres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5(10), 292-304. DOI : 10.5392/JKCA.2015.15.3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