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외상후 스트레스와 갈등관리 유형이 간호업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Conflict Management Styles on Nursing Performance of Intensive Care Unit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11 no.3, 2018년, pp.58 - 70  

황지나 (동국대학교 일산 병원-외과계 중환자실) ,  박완주 (경북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influencing posttraumatic and conflict management styles for nursing performance in intensive care units (ICUs). Methods : In this study, 250 nurses from eight general hospitals in three cities participated.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used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업무 중 경험하는 외상후 스트레스와 갈등관리 유형과 수준을 확인하고 간호업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외상후 스트레스, 갈등관리 유형과 간호업무수행 정도와 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간호업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임상에서 경험하는 외상후 스트레스와 갈등관리 유형을 확인하고 이들의 정도와 관계를 파악하여 간호업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외상후 스트레스와 갈등관리 유형이 간호업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간호업무수행 능력 및 중환자 간호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한 연구이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간호업무수행의 예측요인은 타협형과 협력형과 같은 적극적 갈등관리 유형으로 나타났다.
  • , 2007)와의 관련성이 주를 이룰 뿐 외상후 스트레스나 중환자실 간호사의 갈등관리 유형에 따른 간호업무수행 연구는 거의 전무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임상에서 경험하는 외상후 스트레스 수준과 관계에서 겪는 갈등관리 유형을 알아보고, 간호업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을 규명하여 간호업무수행 능력 향상과 중환자 간호의 질 향상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근거가 되는 학문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들이 질 높은 간호업무를 수행하귀위해 어떻게 해야하는가? 최근 국민소득의 향상과 의료기술의 첨단화 그리고 환자중심의 의료시장 형성 등으로 의료소비자들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기대와 요구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의료기관은 질 높은 의료서비스와 고객 만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간호사들은 늘 새롭게 발전하는 전문지식이나 기술정보를 습득하여 인구 고령화에 따른 만성질환의 증가의 복잡해진 환자상태를 보다 정확히 파악하면서 질 높은 간호업무를 수행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따라서 간호업무수행은 고도의 긴장감과 집중력이 요구되므로 정확성 및 효율성이 그 무엇보다 우선시 된다(Ratner & Sawatzky, 2009).
간호업무수행에서 우선시 되는 능력은? 간호사들은 늘 새롭게 발전하는 전문지식이나 기술정보를 습득하여 인구 고령화에 따른 만성질환의 증가의 복잡해진 환자상태를 보다 정확히 파악하면서 질 높은 간호업무를 수행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따라서 간호업무수행은 고도의 긴장감과 집중력이 요구되므로 정확성 및 효율성이 그 무엇보다 우선시 된다(Ratner & Sawatzky, 2009).
중환자실에서 외상후 스트레스의 요인으로 보이는 것은? 선행연구에 의하면 중환자실 간호사 중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의 고위험군은 20-30%이며, 이들 중 3개월 이상 만성적으로 스트레스 증상을 경험하는 간호사는 약 70% 정도로(Mealer, Burnham, Goode, Rothbaum, & Moss, 2009) 환자를 소생시키지 못한 경험, 의사⋅환자⋅보호자에 의한 언어적 폭력, 무의미한 연명치료, 환자의 죽음을 목격하는 것과 같은 외상성 사건의 반복적 경험에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외상후 스트레스는 중환자실 간호사 개인의 삶 전반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병원조직의 간호인력 관리 및 환자를 위한 치료의 질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Czaja, Moss, & Mealer,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I-Hamdan, Z., Shukri, R., & Antony, D. (2011). Conflict management styles used by nurse managers in sultanate oman. Journal of Clinical Nursing, 3 (4), 571-580. 

  2. Back, M. W. (2007). A comparative study on job stress and coping of the nurses in ICU and cancer ward.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0 (2), 81-89. 

  3. Chae, J. H. (2004). Diagnosis and pathopysiology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The Korean Journal of Psychopharmacology, 15 (1), 14-21. 

  4. Choi, S. H. (1997). A study on nursing professional attitude and nursing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5. Czaja, A. S., Moss, M., & Mealer, M. (2013).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pediatric acute care nurses.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27 (4), 357-365. 

  6. Daniels, J., Hegadoren, K., Coupland, N., Rowe, B., Newfeld, R., & Lanius, R. (2011). Cognitive distortions in an acutely traumatized sample: An investigation of predictive power and neural correlates. Psychological Medicine, 1, 1-9. 

  7. Deneckere, S., Euwema, M., Lodewijckx, C., Panella, M., Mutsvari, T., Sermeus, W., & Vanhaecht, K. (2013). Better interprofessional teamwork, higher level of organized care, and lower risk of burnout in acute health care teams using care pathways: A clus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dical Care, 51 (1), 99-107. 

  8. Eun, H. J., Kwon, T. W., Lee, S. M., Kim, T. H., Choi, M. R., & Cho, S. J. (2005). A study i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4 (3), 303-310. 

  9. Hong, J. B. (2006). A comparative study of the relationship of communication apprehension and conflict management styl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in a multicultural society. Speech & Communication, 6, 168-201. 

  10. Horowitz, M., Wilner, N., & Alvarez, W. (1979). Impact of event scale: a measure of subjectiv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41, 209-218. 

  11. Hupcey, J. E. (2000). Feeling safe: The psychosocial needs of ICU patient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2 (4), 361-367. 

  12. Kim, M. R. (2008). Clinical nurses' professionalism, nursing performance and intention of ret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13. Kim, Y. J., & Chi, S. A. (2002). A study on the type in conflict management with doctors and the job satisfaction of hospital nurses. The Chung-Ang Journal of Nursing, 1, 1-9. 

  14. Kim, D. S., & Kang S. H. (2009). The type of conflict management in university hospital organiza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0 (9), 2501-2508. 

  15. Kim, S. H., & Yoon, M. S. (2015). Mediating effect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lient violence and problem drinking among social Welfare officials, Journal of Korean Alcohol Science, 16 (2), 61-74. 

  16. Lee, M. K. (2006). A study on the organization commitment, interpersonal conflict and conflict management style of hospit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wandong University, Gwangwon, Korea. 

  17. Lim, E. A. (2009). Correlation of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of nurse in ICU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ju University, Kongju, Korea. 

  18. Mealer, M., Shelton, A., Berg, B., Rothbaum, B., & Moss, M. (2007). Increased prevalenc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in critical care nurses.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175 (7), 693-697. 

  19. Mealer, M., Burnham, E. L., Goode, C. J., Rothbaum, B., & Moss, M. (2009). The prevalence and impact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burnout syndrome in nurses. Depression and Anxiety, 26 (12), 1118-1126. 

  20. Min, S., Kim, H. S., & Jeong, Y. J. (2011). The effect of nursing competency of nurses on work performance: Centered on controlling effect on cognition of job competency of boss. The Korean Academic Associat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4, 361-371. 

  21. Montoro-Rodriquez, J., & Small, J. A. (2006). The role of conflict resolution style on nursing staff morale,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in long term care. Journal of Aging and Health, 18 (3), 385-406. 

  22. Oh, S. M., & Kwon, Y. C. (2016). A study of convergence relationship among nurses's working conditions, post-traumatic stress syndrom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 (9), 369-378. 

  23. Park, S. A., Park, K. O., Kim, S. Y., & Sung, Y. H. (2007). A development of standardized nurse performance appraisal tool. Clinical Nursing Research, 13 (1), 197-211. 

  24. Rahim, M. A. (1983). A measure of styles of handling interpersonal conflic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6 (2), 368-376. 

  25. Ratner, P. A., & Sawatzky, R. (2009). Health status, preventive behavior and risk factors among female nurses. Health Reports, 20 (3), 1-9. 

  26. Schwirian, P. M. (1978).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nurses: A multidimensional approach. Nursing Research, 27, 347-351. 

  27. Son, Y. J., Gong, H. H., You, M. A., & Kong, S. S. (2015). Relationships between workplace violence experi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resilience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7 (1), 515-553. 

  28. Sung, M. H. (2006). A comparative study on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between nurses in ICU and nurses in general war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2 (1), 104-112. 

  29. Weiss, D. S., & Marmar, C. T. (1997).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In J. P. Wilson & T. M. Keane (Eds.), Assessing psychological trauma and PTSD (pp. 399-411). New York, NY: Guilford Press. 

  30. Wilmot, W. W., & Hocker, J. L. (2001). Interpersonal conflict (6th Ed.). New York, NY: McGraw-Hill. 

  31. Yeo, H. J. (2017). Predictors of posttraumatic stress in psychiatric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6 (3), 125-132. 

  32. Yi, H. Y., & Shin, M. K. (2013). Factors affecting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of the verbal violence experienced nurse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38 (1), 15-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