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 대상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중재연구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An Integrative Review of Interventions for Internet/Smartphone Addiction among Adolescents 원문보기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v.15 no.2, 2018년, pp.70 - 80  

강경림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허수진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조주현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intervention programs for internet/smartphone addiction among adolescents through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Methods: We searched MEDLINE(PubMed), CINAHL, Embase, DBpia, RISS, and KISS using a combination of "Internet 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청소년과 부모를 대상으로 한 일부 연구에서는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가족관계 개선에 초점을 두어 타 집단 프로그램과는 차별화된 부분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 인터넷/스마트폰 중독문제의 특성 자체가 단순히 행위 문제가 아니라 대상자의 다양한 영역에서의 복합적인 요인과 상호작용하기에 이를 고려한 다양한 중재법들 또한 중독수준 자체를 변화시키는 데만 초점을 두기보다 이와 관련된 정서 ․사회적 문제나 인지적 측면, 신체 ․ 생리적 측면 등 다양한 영역을 포괄하여 중독문제를 다루어 개인 또는 집단적 효과를 통합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일부 질적 연구에서 정량화를 통해 확인하기 어려운 대상자 문제의 외제화를 통한 거리두기, 자기인식과 가상세계에 대한 인식 변화 내용, 일상에서의 심리적 ․ 사회적 부적응문제와 관련된 깊이 있는 내용 또한 파악되었다.
  • 둘째, 중독 행위는 복합적인 요인과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중독 행위 자체만을 변화시키기보다는 정서 ․ 사회적 문제나 인지적 측면, 신체 ․ 생리적 측면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고 이를 고려한 중재가 이루어졌다. 중재방법의 경우, 개인 또는 집단상담, 미술치료, 놀이치료, 통합치료, 음악치료, 신체활동 등으로 이루어 졌다.
  • 본 연구는 국내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문제를 다루고 있는 중재 연구 문헌에 대한 통합적 고찰을 통해 해당 중재의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향후 해당 문제를 가진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중재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시행되었다. 최종 선정된 14편의 연구들의 일반적인 특성과 중재에 대한 분석을 통해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중재 연구에 대한 최근 연구 동향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4가지 특징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는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심리사회적 중재에 대한 최근 국내외 연구를 통합적으로 고찰하였다. 문헌고찰 결과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청소년 중재는 개인적 접근보다는 집단적 접근이 많았으며, 중독수준뿐만이 아니라 심리 ․ 사화적 측면의 효과도 기대하고 있었다.
  • 본 연구는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중재 프로그램의 특성으로 파악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와 근거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중재에 관한 최근 5년간의 국내외 연구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연구이다(Fig. 1).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5년간 국내외 연구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을 통해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중재 프로그램의 속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향후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청소년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와 근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청소년 중재 프로그램이 주로 개인이 아닌 집단 프로그램으로 적용되고 있는 이유는? 첫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중재는 개인보다는 주로 청소년만으로 구성된 집단이나 부모와 연계한 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적용하고 있었다. 이는 실제로 해당 문제를 가진 청소년들로 하여금 이들이 속한 집단 내에서의 구성원들 또는 부모와의 상호작용 과정을 통해 중독문제 수준의 감소 뿐 아니라 우울, 충동성을 포함한 심리적 문제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으로 집단 프로그램이 청소년들에게 효과적이라고 제시한 선행연구결과29,30)와 그 맥을 같이한다고 볼 수 있다. 반면 개인 대상 연구의 경우, 중독문제의 공통된 특성보다는 개개인의 독특한 문제 발견 및 그에 적합한 중재의 적용을 통한 내적 변화과정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위한 것으로26,28) 해당 접근은 대상자의 상황을 고려했을 때 가장 적절한 방법으로서 선택된 것이었다.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이란 무엇인가? 인터넷/스마트폰 중독은 인터넷/스마트폰을 과다 사용하여 이에 대한 금단과 내성을 가짐으로써 일상생활 장애가 유발되는 상태를 말한다. 8) 인터넷/스마트 폰에 중독된 청소년들은 여러 정신적 문제를 겪게 되는데, 내성이나 금단 현상뿐만 아니라 대인회피, 학업지장, 수면 부족, 비행 등의 문제를 겪게 되며9-11) 이로 인해 인터넷을 이용한 범죄도 증가하고 있다.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위험성은 어떤 것에 영향을 받는가 바로 옆에 있는 친구와도 SNS를 통해 이야기하는 현상에서 알 수 있듯이 청소년은 온라인의 의사소통을 더욱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비언어적 단서를 노출하지 않고도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는 폭넓은 인간관계를 맺을 수 있게 해준다.4) 인터넷 사용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정보를 추구하는 동기가 높을수록 중독 수준이 낮아지는 반면,게임과 놀이 혹은 다른 사람과의 교류에 대한 동기가 높을수록 중독 수준이 높아짐을 알 수 있는데, 이를 통해 게임이나 SNS를 주목적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청소년에게서는 이러한동기로 인해 더욱 중독 위험이 높다고 할 수 있다. 4-6) 뿐만 아니라 청소년의 두뇌의 다른 곳은 완성형인데 비하여 전두엽은 발달단계에 있는데 전두엽은 주로 충동성과 참을성을 조절하는 영역이므로 청소년의 뇌는 중독에 취약할 수 밖에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KR). [The direction of legal arrangement for the prevention and relief of internet addiction]. Seoul: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2010 Jun. 94 p. Korean. Available from: http://www.ndsl.kr/ndsl/commons/util/ndslOriginalView.do 

  2. Jung ES, Shim MS. Family function and internet addiction in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J Korean Public Health Nurs. 2012 Aug;26(2):328-40. https://doi.org/10.5932/jkphn.2012.26.2.328 

  3.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The survey on internet overdependence 2016. Final report. Gwacheon (KR):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6 Dec. 287 p. Report No.: NIA V-RER-C-16026. Available from: http://www.nia.or.kr/common/board/Download.do?bcIdx18390&cbIdx65914&fileNo2 

  4. Lee YS, Lee DH, Kim EY, Kang SY, Kim LS, Choi YH, et al. Development of the manual for smartphone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for adolescent. Seoul: Korea Youth Counseling & Welfare Institute; 2013 Dec. 202 p. Available from: https://www.kyci.or.kr/fileup/lib_pdf/2013-106%EC%8A%A4%EB%A7%88%ED%8A%B8%ED%8F%B0%EC%A4%91%EB%8F%85%EC%98%88%EB%B0%A9.pdf 

  5. Jo H. The effe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internet use motives on internet addiction: self-control as a mediator. J Adolesc Welf. 2011 Dec;13(4):269-87. 

  6. Demetrovics Z, Szeredi B, Rozsa S. The three-factor model of internet addiction: the development of the problematic internet use questionnaire. Behav Res Methods. 2008 May;40(2):563-74. https://doi.org/10.3758/brm.40.2.563 

  7. Park MH, Park EJ, Choi J, Chai S, Lee JH, Lee C, et al. Preliminary study of internet addiction and cognitive function in adolescents based on IQ tests. Psychiatry Res. 2011 Dec 30;190(2-3):275-81. https://doi.org/10.1016/j.psychres.2011.08.006 

  8. Kang H, Park C.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martphone addiction inventory. Korean J Psychol: Gen. 2012 Jun;31(2):563-80. 

  9. Kim HY, Cho MK. Meta-analysis of internet addiction treatment programs for adolescents. Ment Health Soc Work. 2015 Jun;43(2):89-118. 

  10. Nam YO. Comparison of internet addiction, internet game addiction and cybersex addic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Youth Stud. 2005 Sep;12(3):363-88. 

  11. Ah YA, Jeong WC, Kim TJ.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et using tim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media traits and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J Sch Soc Work. 2010;18:29-52. 

  12. Jang JH, Sin HJ. The effect of a protection program for adolescent excessive use of internet. Korean J Couns Psychother. 2003 Nov;15(4):651-72. 

  13. Mittal VA, Dean DJ, Pelletier A. Internet addiction, reality substitution and longitudinal changes in psychotic-like experiences in young adults. Early Interv Psychiatry. 2013 Aug;7(3):261-9. https://doi.org/10.1111/j.1751-7893.2012.00390.x 

  14. Kim JS.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addictional internet use and adulthood heavy drinking.smoking]. Weekly DongA(Vol. 1108) [Internet]. 2017 Oct 04 [cited 2017 Nov 14]; p. 106-8. Korean. Available from: http://weekly.donga.com/Library/3/all/11/1078044/1 

  15. Park HJ.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use for non-academic purposes and happiness and stress in adolescents.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15 Jun;26(2):169-77. https://doi.org/10.12799/jkachn.2015.26.2.169 

  16. Korea Internet Security Agency [Internet]. Seoul: Korea Internet Security Agency; c2015. 2015 Mobile internet usage statistics; [cited 2018 Aug 08]. Available from: https://isis.kisa.or.kr/statistics/?pageId020300 

  17. Saunders JB. Substance use and addictive disorders in DSM-5 and ICD 10 and the draft ICD 11. Curr Opin Psychiatry. 2017 Jul;30(4):227-37. https://doi.org/10.1097/YCO.0000000000000332 

  18. Kwon EJ, Jang SO.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internet addiction treatment program for adolescents on reducing addiction. Korean J Welf Res. 2016 Mar;48:105-29. 

  19. Kwon EJ, Jang SO.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promoting self-control group program for internet addiction youth. J Soc Sci. 2016 Jun;55(1):87-122. https://doi.org/10.22418/JSS.2016.06.55.1.87 

  20. Lee JK, Kang GM. A Meta-analysis on the effect of youth internet addic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Korea J Couns. 2015;16(3):101-20. https://doi.org/10.15703/kjc.16.3.201506.101 

  21. Ha JY, Shin SM.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Internet addiction counseling program among youth group. In: [2015 Korean Psychological Assication Annual Conference]; 2015 Aug 20-22; Seoul, Korean. Seoul: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5. p. 441. Korean. 

  22. Ha JY, Shin SM. The effectiveness of youth internet addiction group counseling programs: a meta-analysis. Korean J Psychol: Gen. 2016 Mar;35(1):191-216. https://doi.org/10.22257/kjp.2016.03.35.1.191 

  23. Whittemore R, Knafl K. The integrative review: updated methodology. J Adv Nurs. 2005 Dec;52(5):546-53.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5.03621.x 

  24.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ition: DSM-5. Arlington (VA):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c2013. 947 p. 

  25. Garrard J. Health sciences literature review made easy: the matrix method. 5th ed. Burlintong (MA): Jones & Bartlett Publishers; 2016. 240 p. 

  26. Yoon JS. Narrative therapy approach to adolescents internet game addiction: focused on externalization method. Yonsei J Couns Coach. 2017 Sep;8:51-70. 

  27. Chang HR. A qualitative study of intervention for adolescents with severe internet addiction. Korean J Local Gov Adm Stud. 2016 Mar;30(1):231-51. https://doi.org/10.18398/kjlgas.2016.30.1.231 

  28. Shin AR, Shin JH, Lim JH. A case study of art therapy for the improve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 and internet addiction of youth with internet addiction: focused on the object relations theory of Winnicott. Korean J Art Ther. 2015;22(4):1161-88. 

  29. Kim KH, Jang JH. Effects of internet game overuse group counseling for adolescent on internet game addiction, stress perception and stress coping strategy. Korean J Couns Psychother. 2010 Feb;22(1):213-32. 

  30. Oh I, Kim C.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for internet addiction. J Korean Assoc Inf Educ. 2009;13(4):529-37. 

  31. Muller KW, Janikian M, Dreier M, Wolfling K, Beutel ME, Tzavara C, et al. Regular gaming behavior and internet gaming disorder in European adolescents: results from a cross-national representative survey of prevalence, predictors, and psychopathological correlates. Eur Child Adolesc Psychiatry. 2015 May;24(5):565-74. https://doi.org/10.1007/s00787-014-0611-2 

  32. Feng W, Ramo DE, Chan SR, Bourgeois JA. Internet gaming disorder: trends in prevalence 1998-2016. Addict behav. 2017 Dec;75:17-24. https://doi.org/10.1016/j.addbeh.2017.06.010 

  33. Shin, SM, Ra YA, Park MJ, Song Y, Yun J. [Evaluation and performance indicator development counseling program for youth internet smartphone overdependence counseling program]. Seoul: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KR); 2017 Mar. 134 p. Korean. Available from: http://www.ndsl.kr/ndsl/commons/util/ndslOriginalView.do?dbtTRKO&cnTRKO201700004480&rn&url&pageCodePG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