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 메밀과 쓴 메밀 제분 분획 별(milling fractions) 추출물의 산화방지 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common and tartary buckwheat milling fraction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0 no.5, 2018년, pp.549 - 554  

유진 (서울여자대학교 식품응용시스템학부 식품공학전공) ,  황지수 (서울여자대학교 식품응용시스템학부 식품공학전공) ,  오민수 (세종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이수용 (세종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최수진 (서울여자대학교 식품응용시스템학부 식품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일반 메밀과 쓴 메밀의 제분 분획 별(겉껍질, 겨, 가루)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함량을 분석하고, 항산화 활성을 시험관과 세포 수준에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일반 메밀보다 쓴 메밀에서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월등히 높았으며, 항산화 물질로 주된 성분은 루틴으로 확인되었고, 에탄올 추출과정에서 루틴이 퀘세틴으로 일부 분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용 부위인 가루 분획보다 겨 분획에서의 항산화 성분 함량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어 겨 분획의 항산화 기능성 소재로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한편 시험관 및 세포수준에서 항산화 효과를 확인한 결과, 일반 메밀보다 쓴 메밀에서의 항산화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쓴 메밀 겨 분획의 항산화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메밀 추출물을 산화스트레스 유발 전, 후 처리한 경우 모두에서 항산화 활성이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나, 메밀 추출물의 산화스트레스 예방 및 치료 효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common and tartary buckwheat milling fractions (hull, bran, and flour). The results indicated that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higher in tartary buckwheats than in common buckwheats,...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쓴 메밀에 다량 존재하는 루틴이 열처리나 가공과정에서 퀘세틴으로 분해되어 쌉쌀한 쓴맛을 보유하게 되므로 소비자의 기호도 및 대중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Park 등, 2005b) 일반 메밀과 쓴 메밀의 기능성에 대한 비교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 메밀과 쓴 메밀 추출물의 항산화 기능성을 시험관과 세포수준에서 비교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메밀 제분 분획(겉껍질: hull, 겨: bran, 가루: flour)에 따른 기능성을 비교연구하여 항산화 기능성을 향상시킨 메밀 소재개발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 1). 이러한 결과는 항산화 성분이 일반 메밀보다 쓴 메밀에 다량 존재함을 제시한다. 식물에 존재하는 폴리페놀계 화합물은 Fenton 반응에 관여하는 철(Fe) 등과 복합체를 형성하고, 구리(Cu)와의 상호작용, 또는 거대 분자와 결합 등의 메커니즘에 의해 항산화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erron과 Brumaghim, 200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타타리 메밀 가공 시 쓴맛이 생기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쓴 메밀에 다량 존재하는 루틴이 열처리나 가공과정에서 퀘세틴으로 분해되어 쌉쌀한 쓴맛을 보유하게 되므로 소비자의 기호도 및 대중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Park 등, 2005b) 일반 메밀과 쓴 메밀의 기능성에 대한 비교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 메밀과 쓴 메밀 추출물의 항산화 기능성을 시험관과 세포수준에서 비교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메밀 제분 분획(겉껍질: hull, 겨: bran, 가루: flour)에 따른 기능성을 비교연구하여 항산화 기능성을 향상시킨 메밀 소재개발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메밀은 무엇인가? 메밀(Fagopyrum esculentum)은 마디풀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으로 전 세계적으로 약 20여종이 재배되고 있는 작물로 유럽, 미국, 캐나다, 브라질 등에서는 빵, 스파게티, 마카로니의 형태로, 일본에서는 국수 형태로, 우리나라에서는 막국수, 메밀 부침, 메밀묵 등의 주원료로 소비되고 있다(Bonafaccia 등, 2003; Kang, 2014). 메밀은 생육 기간이 60-80일로 짧고 서늘한 기후에서 재배되며, 척박한 토양조건에서 잘 자라고 병충해에 강한 특성이 있어 많은 양의 화학비료와 농약을 사용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Choi 등, 1996).
메밀의 효능은 무엇인가? 특히 메밀에 다량 존재하는 폴리페놀 성분인 루틴(rutin, quercetin-3-rutinoside)의 생리활성이 메밀의 기능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이 제시되었다(Fabjan 등, 2003; Morishita 등, 2007). 지금까지 보고된 바에 의하면, 메밀은 항산화, 항염, 항암, 항혈전 효과에 의해 고혈압, 동맥경화, 당뇨병, 비만 등 다양한 질병예방과 치료효과에 도움을 줄 수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e 등, 1995; Ishii 등, 2008; Kim 등 2017; Park 등, 2005a). 한편 루틴은 가공과정에서 열 안정성이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즉 수용액에서 가열처리 시 메밀 씨앗에 존재하는 루틴 분해 효소(rutin 3-glucosidase)의 작용으로 퀘세틴(quercetin)으로 분해되어 쓴맛을 나타내게 되고, 이는 궁극적으로 기호성이 낮아질 뿐만 아니라 루틴의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Cho와 Lee, 2015; Makris와 Rossiter, 2000; Vogrincic 등,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l-Snafi A. A review on Fagopyrum esculentum: a potential medicinal plant. IOSR J. Pharm. 7: 21-32 (2017) 

  2. Appel HM, Govenor HL, D'Ascenzo M, Siska E, Schultz JC. Limitations of Folin assays of foliar phenolics in ecological studies. J. Chem. Ecol. 27: 761-778 (2001) 

  3. Bonafaccia G, Marocchini M, Kreft I. Composition and technological properties of the flour and bran from common and tartary buckwheat. Food Chem. 80: 9-15 (2003) 

  4. Cho YJ, Lee S. Extraction of rutin from Tartary buckwheat milling fractions and evaluation of its thermal stability in an instant fried noodle system. Food Chem. 176: 40-44 (2015) 

  5. Choi BH, Kim SL, Kim SK. Rutin and functional ingredients of buckwheat and their variations. Korean J. Crop Sci. 41: 69-93 (1996) 

  6. Fabjan N, Rode J, Kosir IJ, Wang Z, Zhang Z, Kreft I. Tartary buckwheat (Fagopyrum tataricum Gaertn.) as a source of dietary rutin and quercitrin. J. Agr. Food Chem. 51: 6452-6455 (2003) 

  7. He J, Klag MJ, Whelton PK, Mo JP, Chen JY, Qian MC, Mo PS, He GQ. Oats and buckwheat intak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an ethnic minority of China. Am. J. Clin. Nutr. 61: 366-372 (1995) 

  8. Holasova M, Fiedlerova V, Smrcinova H, Orsak M, Lachman J, Vavreinova S. Buckwheat-the source of antioxidant activity in functional foods. Food Res. Int. 35: 207-211 (2002) 

  9. Hwang EJ, Lee SY, Kwon SJ, Park MH, Boo HO. Antioxidative, antimicrobial and cytotoxic activites of Fagopyrum esculentum Moench extract in germicated seed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4: 1-7 (2006) 

  10. Ishii S, Katsumura T, Shiozuka C, Ooyauchi K, Kawasaki K, Takigawa S, Fukushima T, Tokuji Y, Kinoshita M, Ohnishi M, Kawahara M, Ohba K. Anti-inflammatory effect of buckwheat sprouts in lipopolysaccharide-activated human colon cancer cells and mice. Biosci. Biotechnol. Biochem. 72: 3148-3157 (2008) 

  11. Kang HW.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ion effects of water extract from buckwheat. Culi. Sci. Hos. Res. 20: 190-199 (2014) 

  12. Kim SJ, Kawaharada C, Suzuki T, Saito K, Hashimoto N, Takigawa S, Noda T, Matsuura-Endo C, Yamauchi H. Effect of natural light periods on rutin, free amino acid and vitamin C contents in the sprouts of common (Fagopyrum esculentum Moench) and tartary (F. tataricum Gaertn.) buckwheats. Food Sci. Technol. Res. 12: 199-205 (2006) 

  13. Kim JK, Kim SK. Compositions and pasting properties of Fagopyrum esculentum and Fagopyrum tartaricum endosperm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149-153 (2005) 

  14. Kim SJ, Sohn HB, Kim GH, Lee YY, Hong SY, Kim KD, Nam JH, Chang DC, Suh JT, Koo BC, Kim YH. Comparison and validation of rutin and quercetin contents according to the extraction method of tartary Buckwheat (Fagopyrum tataricum Gaertn.). Korean J. Food Sci. Technol. 49: 258-264 (2017) 

  15. Lee NH, Hong JI, Kim JY, Chiang MH. Antioxidant properties and protective effects of Inula britannica var. chinensis regel on oxidative stress-induced neuronal cell dam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87-92 (2009) 

  16. Lee I, Lee BH, Eom SH, Oh CS, Kang H, Cho YS, Kim DO. Antioxidant capacity and protective effects on neuronal PC-12 cells of domestic bred kiwifruit. Kor. J. Hort. Sci. Technol. 33: 259-267 (2015) 

  17. Makris DP, Rossiter JT. Heat-induced, metal-catalyzed oxidative degradation of quercetin and rutin (quercetin 3-O-rhamnosylglucoside) in aqueous model systems. J. Agr. Food Chem. 48: 3830-3838 (2000) 

  18. Morishita T, Yamaguchi H, Degi K. The contribution of polyphenols to antioxidative activity in common buckwheat and Tartary buckwheat grain. Plant Prod Sci. 10: 99-104 (2007) 

  19. Park BJ, Kwon SM, Park JI, Chang KJ, Park CH. Phenolic compounds in common and tartary buckwheat. Korean J. Crop Sci. 50: 175-180 (2005a) 

  20. Park BJ, Park JI, Chang KJ, Park CH. Comparison in rutin content of tartary buckwheat (Fagopyrum tataricum). Korean J. Plant Res. 18: 246-250 (2005b) 

  21. Perron NR, Brumaghim JL. A review of the antioxidant mechanisms of polyphenol compounds related to iron binding. Cell Biochem. Biophys. 53: 75-100 (2009) 

  22. Ravber M, Pecar D, Gorsek A, Iskra J, Knez Z, Skerget M. Hydrothermal Degradation of Rutin: Identification of Degradation Products and Kinetics Study. J. Agr. Food Chem. 64: 9196-9202 (2016) 

  23. Suvorova G, Zhou M. Distribution of cultivated buckwheat resources in the world. 3: 21-35, Buckwheat germplasm in the world. Zhou M, Kreft I, Suvorova G, Tang Y, Wo SH. CA, US. Elsevier Inc. (2018) 

  24. Vogrincic M, Timoracka M, Melichacova S, Vollmannova A, Kreft I. Degradation of rutin and polyphenols during the preparation of tartary buckwheat bread. J. Agr. Food Chem. 58: 4883-4887 (2010) 

  25. Yoon BR, Cho BJ, Lee HK, Kim DJ, Rhee SK, Hong HD, Kim KT, Cho CW, Choi HS, Lee BY, Lee OH. Antioxidant and anti-adipogenic effects of ethanolic extracts from tartary and common buckwheats. Korean J. Food Preserv. 19: 123-130 (2012) 

  26. Zhishen J, Mengcheng T, Jianming W.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