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반건조 장어 과산화에 대한 식물 주정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Plants on Peroxide Content in Semi-Dried Eel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1 no.5, 2018년, pp.647 - 652  

송희순 (광주보건대학교 식품영양과) ,  김영모 (광주보건대학교 식품영양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xtracts from bay leaves, Chongbaek (Allium fistulosum L.), Hutgae (Hovenia dulcis Thunb.) fruit, and green tea, using Soju (Korean alcohol, $30^{\circ}$) as a solvent were analyzed for their antioxidative properties. The eels were evenly coated with the extract concentration equivalent t...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민물장어의 구성성분 및 제품개발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Kim 등 2000; Choi 등 2006; Ahn 등 2015; Moon & Yoo 2016)에도 불구하고, 지질산화 안정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질 함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민물장어의 저장 및 유통 기간을 늘리기 위해 장어의 지질산화를 낮추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전처리용 항산화 추출물을 탐색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Value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with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 1) Value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within the same concentratio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불포화지방산을 많이 함유한 어패류의 가공, 저장, 유통이 어려운 이유는? 최근 심혈관계 질병의 증가에 따라 불포화지방산을 다량 함유한 어패류의 소비 또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불포화지방산을 많이 함유한 어패류들은 산패가 쉬워서 가공, 저장, 유통에 대한 어려움이 있다. 냉장 유통시스템의 성장으로 다양한 제품들이 빠르고 간편한 즉석편의식의 형태로 개발․유통되고 있으며, 다양한 어패류들도 냉장 냉동 유통시스템을 통해 4계절 내내 식탁에 쉽게 오를 수 있게 되었다.
식품 속에 함유된 유지가 식품의 품질에 영향을 주는 이유는? 식품 속에 함유된 유지는 산소에 의한 자동 산화, 가수분해에 의한 산화, 고온 가열에 의한 산화 등에 의해 산패되어 식품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Cho 등 2011). 최근 심혈관계 질병의 증가에 따라 불포화지방산을 다량 함유한 어패류의 소비 또한 증가하고 있다.
장어의 과산화 억제 실험에서 월계수잎, 총백, 헛개열매, 녹차추출물 중 DPPH 소거 활성이 높았던 것은? 주정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DPPH 소거 활성 실험, 반건조 장어의 산가, 과산화물가, 리놀레산 및 장어유 과산화 지연 반응을 통해 확인하였다. DPPH 소거 활성이 가장 높았던 것은 녹차 추출물이었으며, 다음으로 활성이 높았던 것은 월계수잎, 헛개열매 추출물이었다(p<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hn JC, Chong WS, Na JH, Yun HB, Shin KJ, Lee KW, Park JT. 2015. An evaluation of major nutrients of four farmed freshwater eel species (Anguilla japonica, A. rostrata, A. bicolor pacifica and A. marmorta). Korean J Fish Aquat Sci 48:44-50 

  2. Cho SH, Cho KR, Kang MS, Song MR, Choo NY. 2011. Food Science. pp.101-106. Kyomunsa 

  3. Choi BD, Kang SJ, Ha YL, Kim SY, Lee JJ. 2006. Oxidative stability of lipids from eel (Anguilla japonica) fed conjugated linoleic aci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61-67 

  4. Choi JD, Kang SI, Kim YJ, Lee SG, Heu MS, Kim JS. 2015. Sanitary quality characterization of commercial semi-dried conger eel Conger myriaster and the guideline for controlling quality. Korean J Fish Aquat Sci 48:417-425 

  5. Folch JM, Lees M, Stanley GHS.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 J Biol Chem 226:497-509 

  6. Hong SP, Kim SY, Jeong EJ, Shin DH. 2005. The change in fatty acid and oxidative stability of frying cultured eel bone during the storage. J Food Hyg Safety 20:89-97 

  7. Jung SY, Lim JS, Song HS. 2012.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y and sensory evaluation of Hutgae (Hovenia dulcis Thunb) fruit soy sauce. Korean J Food Nutr 25:747-754 

  8. Kang ST, Yoo UH, Nam KH, Kang JY, Oh KS. 2007. Antioxidative effects of green tea extract on the oxidation of anchovy oil. J Agric Life Sci 41:47-53 

  9. Kim DP, Jung YH, Lee MK, Song HS. 2007. Antioxidant activities of red Hamcho (Salicornia herbacea L.) against lipid peroxidation and the formation of radicals. Korean J Food Nutr 20:150-157 

  10. Kim HY, Shin JW, Sim GC, Park HO, Kim HS, Kim SM, Cho JS, Jang YM. 2000. Comparison of the taste compounds of wild and cultured eel, puffer and snake head. Korean J Food Sci Technol 32:1058-1067 

  11. Kim J, Kim SA, Yun WK, Kim EJ, Woo MK, Lee MS. 2004. Antioxidative effect of ethanol extract for 5 kinds of sp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1426-1431 

  12. Kim NM, Sung HS, Kim WJ. 1993. Effect of solvents and some extraction conditions on antioxidant activity in cinnamon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5:204-209 

  13. Kim SY, Son YJ, Kim SH, Kim AN, Lee GY, Hwang IK. 2015. Studies on oxidative stability of Tenebrio molitor Larvae during cold storage. Korean J Food Cook Sci 31:62-71 

  14. Lee HS, Son JY. 2002. Antioxidant and synergist effect of extract isolated from commercial green, oolong and black tea. Korean J Food Nutr 15:377-381 

  15. Lee YK, Lee HS. 1990. Effects of onion and ginger on the lipid peroxidation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mackerel during frozen storage. J Korean Soc Food Nutr 19:321-329 

  16.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7. Korean food standards codex. Available from http://www.foodsafetykorea.go.kr/foodcode [cited 29 July 2018] 

  17. Moon WS, Yoo SS. 2016.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eel dipping sauce added with Bokbunja (Rub corearus Miquel) vinegar. Culi Sci Hos Res 22:66-77 

  18. Ryu SH, Lee YS, Moon GS. 2002. Effects of salt and soy sauce condiment on lipid oxidation in broiled Mackerel (Scomber japonicu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1030-1035 

  19. Shon MY, Seo JK, Kim HJ, Sung NJ. 2001. Chemical composition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Doraji (Platycodon grandifloru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717-720 

  20. Son GM, Bae SM, Chung JY, Shin DJ, Sung TS. 2005. Antioxidative effect on the green tea and pure tea extracts. Korean J Food Nutr 3:219-224 

  21. Song HS, Ukeda H, Sawamura M. 2001. Antioxidative activity of citrus peel essential oils and their components against linoleic acid oxidation. Food Sci Technol Res 7:50-56 

  22. Statistics Korea. 2014. Fishery production survey.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 [cited 29 July 2018] 

  23. Won SB, Song HS. 2013. Antioxidant activity and sensory evaluation in soy sauce with fruit, stem or twig of Hovenia dulcis Thunb. Korean J Food Nutr 26:258-26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