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년 농업인 지원 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 충청남도 사례 -
Policy Directions for Young Farmers - Case of Chung-nam Province - 원문보기

농촌지도와 개발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v.25 no.3, 2018년, pp.161 - 173  

김기흥 (충남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policy directions for young farmers within Korean agricultural context, particularly in Chung-nam Province. In order to accomplish this, young farme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successors, new farmers, potential farmers. The importance of young farmers is b...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물리적인 인프라 지원을 위해 충남이 노력하는 것은 무엇인가? 농업은 물론 농촌 지역의 일자리 제공이나 복지 문제와 관련해서도 지역이 가진 많은 자원을 적절히 활용하는 데 유용할 것이다. 현재 충남에서는 시군 단위로 마을만들기지원조직 및 사회적경제네트워크 조직, 재활센터, 평생학습과 6차산업화 조직 등을 하나로 묶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여기에 청년 농업인을 지원하는 기능도 아우른다면 지역에 필요한 수요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청년창업농 육성대책으로 2020년까지 몇명을 목표로 하는가? 청년 농업인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문재인 정부에 들어 청년 일자리 문제에 적극 대응하려는 움직임 속에서, 농림축산식품부도 2022년까지 농업 혁신성장의 주역이 될 청년 농업인을 1만 명 육성하겠다며 ‘청년창업농 육성대책’을 발표했다(농림축산식품부, 2017). 이와 관련하여 2018년 청년창업형 후계농업경영인(청년창업농) 영농정착지원사업이 시작되어 약 1,200명의 청년을 선발하였다.
청년 농업인 집단은 크게 무엇으로 나뉘는가? 청년 농업인 집단을 크게 부모의 농사를 승계하려는 후계농업인과 농촌 지역으로 새롭게 이주하여 농업에 뛰어든 귀농인으로 나눌 수 있다. 농업을 시작하는 시점에서 영농 기반이나 경험 등 여러 측면에서 두 집단의 상황은 차이가 나지만, 어려운 현실에도 불구하고 농업에 도전하는 청년들이라는 점은 같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김강호, & 마상진. (2011). 농업인력육성사업의 경제적 수익 효과: 후계농업경영인육성사업을 중심으로. 농촌경제, 34(4), 41-58. 

  2. 김정섭. (2014). 귀농인의 사회.경제 활동과 함의. 농촌지도와 개발, 21(3), 53-89. 

  3. 김정섭, & 김종인. (2017). 귀농.귀촌 인구 전망과 정책 방향. 농촌지도와 개발, 24(1), 33-48. 

  4. 김종인, & 김정섭. (2016). 일본의 청년 신규 취농 지원 정책과 시사점. 농촌지도와 개발, 23(2), 115-122. 

  5. 김진호. (2013). 4-H청소년 서울현장체험학습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청소년인증수련활동 효과성 측정도구를 중심으로. 농촌지도와 개발, 20(3), 729-753. 

  6. 농림축산식품부. (2017). 청년창업농 육성대책. 보도자료. 세종: 농림축산식품부. 

  7. 마상진, 정은미, & 김경인. (2017). 고령화시대 청년 창업농업인 육성체계 개선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8. 명수환, 여민수, & 홍승지. (2017). 후계농업경영인의 농업경영회계기록 활성화 방안. 농업경영.정책연구, 44(3), 612-637. 

  9. 박덕병, & 이민수. (2015). 농촌교육농장 방문객의 선호체험과 교육적 효과 간의 정준상관관계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7(3), 63-81. 

  10. 박규근, 이도진, & 이선하. (2002). 농업계 고등학교의 교육 농장 운영 실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4(3), 21-38. 

  11. 임형백. (2008). 한국 농업인력육성의 방향 전환. 농촌사회, 18(1), 207-240. 

  12. 오해섭, & 김정주. (2002). 농업후계인력 육성을 위한 농촌청소년교육 및 지원방향. 한국농촌지도학회지, 9(2), 185-197. 

  13. 진종순. (2010). 여성 농업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성별영향 평가. 지방정부연구, 14(4), 87-106. 

  14. 최영창, 박은식, 고정숙, & 조영숙. (2007). 청년농업인 육성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농촌지도 공무원들의 의식조사 내용을 중심으로. 농촌지도와 개발, 14(2), 351-371. 

  15.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2015). 도시청년 농촌유입을 위한 농산업 창업지원 계획(안), 예산: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16.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2015). 2016년 충청남도 귀농인 육성.지원 계획. 예산: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17. 충청남도 농업정책과. (2018). 충청남도 3농혁신 백서. 예산: 충청남도 도청. 

  18. 충청남도 정책기획관. (2015). 충남형 청년정책 구상. 예산: 충청남도 도청. 

  19. 충청남도 친환경농산과. (2018). 2018년 친환경 청년농부육성 계획. 예산: 충청남도 도청. 

  20. 통계청. (2005, 2010, 2015). 농림어업총조사. 대전: 통계청. 

  21. 황인욱, 이소영, 주진수, 양주환, & 김종숙. (2017). 청년농업인 영농정착 성공 특성 및 영농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농수산대학 졸업생 우수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 25(1), 21-45. 

  22. Inwood, S. M., & Sharp, J. S. (2012). Farm persistence and adaptation at the rural-urban interface: Succession and farm adjustment. Journal of Rural Studies, 28, 107-117. 

  23. Koutsou, S., Partalidou, M., & Ragkos, A. (2014). Young farmers' social capital in Greece: Trust levels and collective actions. Journal of Rural Studies, 34, 204-211. 

  24. Leonard, B., Kinsella, A., O'Donoghue, C., Farrell, M., & Mahon, M. (2017). Policy drivers of farm succession and inheritance, Land Use Policy, 61, 147-159. 

  25. Miles, M., & Huberman. A. (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An expanded sourcebook. London: Sage. 

  26. Onwuegbuzie, A. J., & Weinbaum, R. K. (2016). Mapping Miles and Huberman's within-case and cross-case analysis methods onto the literature review process. Journal of Educational Issues, 2(1), 265-288. 

  27. Zagata, L., & Sutherland, L-A. (2015). Deconstructing the 'young farmer problem in Europe': Towards a research agenda. Journal of Rural Studies, 38, 39-5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