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사춘기 적응증진을 위한 학교기반 성교육체험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Effects and Development of an Experience-based Sex Education Program for Adjustment to Puberty in Upper Elementary Students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4 no.4, 2018년, pp.454 - 464  

이재영 (경성대학교 간호학과) ,  박소연 (동의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제민지 (부산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  주현옥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xperience-based sex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adjustment to puber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upper grade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Methods: This study had a pretest-posttest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The subjec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적응을 유지하기 위해 내적 과정인 인지 기전과 조절 기전을 가지며, 4가지 적응양식인 생리적 기능(physiologic mode), 자아개념(self-concept mode), 역할기능 및 상호의존을 설명하고 있다[15,16]. 따라서 본 연구는 적응 이론에 기반하여 사춘기 적응을 위한 성교육체험 프로그램을 구성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처 기전(coping mechanism)을 사춘기 적응증진을 위한 성교육체험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으며,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에게 사춘기 적응이 필요한 생리적 기능인 성지식, 자아개념인 신체상과 자아존중감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켜 사춘기 변화에 대한 적응을 촉진함으로써 삶의 만족도 향상을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Roy [15]의 적응이론을 기반으로 사춘기 적응증진을 위한 성교육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에게 적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사춘기 적응을 도모할 수 있는 적응이론과 체험 학습을 기반으로 하여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사춘기 적응증진 성교육체험 프로그램을 개발 ·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행되었으며, 이를 통하여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성 관련 지식을 증가시키고 올바른 사춘기 적응을 돕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사춘기 적응증진 성교육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실험 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Y시의 S초등학교 6학년이었으며, 실험군 48명, 대조군 47명으로 총 95명이었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사춘기 적응증진을 위해 성교육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성지식, 신체상,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유사실험연구(quasi-experimental research)로써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실험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이다
  •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코드화 하여 연구의 목적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대조군에게는 실험군의 자료 수집이 종료된 후 실험군에게 제공된 것과 동일한 내용의 성교육체험 프로그램을 시행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게 연구 참여에 대한 보상으로 2000원 상당의 동일한 학용품을 제공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적응 이론에 기반하여 사춘기 적응을 위한 성교육체험 프로그램을 구성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처 기전(coping mechanism)을 사춘기 적응증진을 위한 성교육체험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으며,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에게 사춘기 적응이 필요한 생리적 기능인 성지식, 자아개념인 신체상과 자아존중감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켜 사춘기 변화에 대한 적응을 촉진함으로써 삶의 만족도 향상을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위한 사춘기 적응증진 성교육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 회기별 내용을 살펴보면 1회기는 ‘사춘기의 신체특성 이해하기’로 이차성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월경주기 팔찌 만들기 체험을 통해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의 참여 기준은 1) 한글을 읽고 쓰는 것이 가능한 경우, 2) 프로그램의 모든 회차에 참여가 가능한 경우, 3) 아동과 부모 모두 연구 참여하기로 자발적으로 동의한 경우로 하였다. 제외 기준은 1)정신질환이 있는 경우, 2) 인지장애가 있는 경우였으나 연구 참여자 중 제외기준에 해당되는 경우는 없었다.
  • 가설 1 ‘사춘기 적응증진 성교육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성지식이 증가할 것이다.
  • 가설 2 ‘사춘기 적응증진 성교육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신체상이 증가할 것이다.
  • 가설 3 ‘사춘기 적응증진 성교육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자아존중감이 증가할 것이다.
  • 가설 4 ‘사춘기 적응증진 성교육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삶의 만족도가 증가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체험 학습이란 무엇인가? 그러므로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사춘기 적응을 향상시키면서 기존의 성교육이 가진 문제점을 보완할 새로운 교육 방법이 요구된다. 체험 학습은 교사가 학생들이 교재를 통해서 지식을 간접적으로 습득하게 하기보다는 자연스러운 접촉을 활용하여 경험을 통해 지식을 생성하고 올바른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참여 학습을 의미한다[13]. 학습자 중심의 체험학습은 새로운 것을 학습하고, 기능을 익히며, 가치를 구성하는 과정을 통하여 의미를 생성할 수 있으며, 개인의 행위에 대한 반성도 포함할 수 있기에 효율적인 교수 학습 방법으로 강조되고 있다[14].
우리나라 초등학생들도 일상생활에서 성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된 배경은 무엇인가? 서구 문화의 유입으로 성에 대한 시각이 변화되어 개방적인 풍조가 만연해지고, 스마트폰을 비롯한 다양한 매체의 발달로 성과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는 연령층이 낮아지면서 우리나라 초등학생들도 일상생활에서 성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1]. 또한 영양상태 개선과 생활양식 변화 등으로 아동의 신체발달이 가속화되었고, 사춘기 연령이 10~11세로 낮아지면서 성적 성숙이 빨라졌다[2].
체험 학습이 효율적인 교수 학습 방법인 이유는 무엇인가? 체험 학습은 교사가 학생들이 교재를 통해서 지식을 간접적으로 습득하게 하기보다는 자연스러운 접촉을 활용하여 경험을 통해 지식을 생성하고 올바른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참여 학습을 의미한다[13]. 학습자 중심의 체험학습은 새로운 것을 학습하고, 기능을 익히며, 가치를 구성하는 과정을 통하여 의미를 생성할 수 있으며, 개인의 행위에 대한 반성도 포함할 수 있기에 효율적인 교수 학습 방법으로 강조되고 있다[14]. 아동은 체험을 통해 기존 지식에 대해 질문하고 해석하여 왜곡된 이미지를 교정하고 자아개념을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된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Yoon IK, Jeon SK, Park JY.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sex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009;22(1):73-92. 

  2. Toppari J, Juul A. Trends in puberty timing in humans and environmental modifiers. Molecular and Cellular Endocrinology. 2010; 324(1-2):39-44. https://doi.org/10.1016/j.mce.2010.03.011 

  3. Patton GC, Viner R. Pubertal transitions in health. The Lancet. 2007;369(9567):1130-1139. https://doi.org/10.1016/S0140-6736(07)60366-3 

  4. Sexuality Information and Education Council of the United States [SIECUS]. Guidelines for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Kindergarten-12th grade. 3rd ed. NY: Fulton Press; 2004. p. 1-112. 

  5. Yang SO, Jeong GH, Kim SJ, Lee QY, Baek S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valuation tool for sexualit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2002;8(3):334-343. 

  6. Yang SO, Kim SJ. Analysis of sexuality content in textbooks for students in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2004;10(4):431-441. 

  7. Erikson EH, Erikson JM. The life cycle completed (extended version). NY: W.W. Norton and Company; 1998. p. 1-134. 

  8. Park HM, Im MY. The effects of sex education using multimedia program on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sex of middle school boys.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2003;9(2):173-179. 

  9. Jung YN.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developed by applying reality therapy on the body image and depression of adolescent women.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2001;7(3):342-358. 

  10. Lee J, Je M. Integrative review of sex education for school age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7;30(3):251-265. https://doi.org/10.15434/kssh.2017.30.3.251 

  11. Park EH. A study on the self-esteem, body image and weight control behaviors depending on BMI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master's thesis]. Gwangju: Chosun University; 2007. p. 1-58. 

  12. Ryu JE, Kim YS, Kim HS.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methods on sex education among prim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2;25(1):122-132. 

  13. Ko MS. The meaning of experiential education. Asian Journal of Education. 2006;7(1):133-162. 

  14. Kim YJ, Kim YH, Jeong JE. The study about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experiential learning. The Journal of College of Education. 2007;46(1):1-17. 

  15. Roy C, Andrews HA. The Roy adaptation model. 2nd ed. Stamford, Connecticut: Appleton and Lange; 1999. p. 1-574. 

  16. Kim MY. Theory: Roy's adaptation model. Korean Journal of Nursing Query. 2006;14(2):49-69. 

  17. Han SS, Gook MG. The effect of sex education based on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o sex knowledge and attitude of 5th-year elementary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4;21(3):87-100. 

  18. Im YL, Park KM. Effects of sexuality education coaching program on sex-related knowledge and attitude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4;44(1):31-40. https://doi.org/10.4040/jkan.2014.44.1.31 

  19. Osgood CE. The nature and measurement of meaning. Psychological Bulletin. 1952;49(3):197-237. https://doi.org/10.1037/h0055737 

  20. Lee HY. The correlation between their body image and self-esteem dependent on the degree of obesity of obese children [master's thesis]. Gongju: Kongju National University; 2004. p. 1-48. 

  21. Choi BG, Jeon GY. Research: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elf-esteem inventory(1).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1993;31(2):41-54. 

  22. Jang YJ.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sexual harassment, mental health, and self-esteem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Chuncheon: Chu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3. p. 1-72. 

  23. Diener E, Emmons RA, Larsen RJ, Griffin S.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1985;49(1):71-75.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4901_13 

  24. Hong YR, Do EY. Effects of psychological variances in internet addiction of 4th, 5th, and 6th graders from low income familie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4;20(2):67-74. https://doi.org/10.4094/chnr.2014.20.2.67 

  25. Ministry of Education. School sex education standard. 1st ed. Seoul: Ministry of Education; 2015. p. 1-33. 

  26. Ha SJ, Jeong YO. The effects of nature experience activities on pro-social behavior and self-esteem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008;21(3):223-240. 

  27. Jung MS, Bang GH. The effects of plant cultivation activities up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008;21(1):37-61. 

  28. Lee HR, Chang CS, Jeong SY. The effects of the activity-oriented career education program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career maturity.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005;18(1):19-33. 

  29. Park JH, Lee TJ.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duration and satisfaction in youth's experiential activities on life satisfaction and sense of community-The mediating effect on school adjustment. Youth Facilities and Environment. 2015;13(2):237-248. 

  30. Cho HJ, Yoon J. The influence factor of elementary student's life satisfaction. Soonchunhyang Journal of Humanities. 2015;34(1): 157-19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