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융합 바이오 이미징을 위한 염료 도핑 된 실리카 나노입자의 형광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uorescence Characteristics of Dye-doped Silica Nanoparticles for Integrated Bio Imaging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8 no.5, 2018년, pp.45 - 50  

김기출 (목원대학교 신소재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형광 염료가 도핑실리카 나노입자는 DNA 마이크로 에레이와 같은 바이오 라벨링바이오 이미징에 활용되고 있으며, 높은 생체 적합성과 낮은 독성 및 높은 친수성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기능성 나노소재이다. 본 논문에서는 형광 유기염료를 에탄올탈이온수에 각각 용해시킨 후 형광염료를 실리카 나노입자에 물리적으로 흡착시키는 방법과 화학적으로 도핑 시키는 방법으로 실리카 나노입자를 합성한 후 365 nm 파장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형광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형광 염료를 물리적으로 흡착시킨 실리카 나노입자보다 화학적으로 형광 염료를 도핑 시킨 실리카 나노입자의 형광특성이 우수하였으며, 도핑 된 형광 염료의 양이 많을수록 형광특성이 우수하였다. 형광 염료를 용해시키는 용매의 경우, 에탄올이 탈이온수와 비교하여 탁월한 형광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순수한 형광 염료와 형광 염료가 도핑된 실리카 나노입자의 광안정성을 조사한 결과, 형광 염료가 도핑 된 실리카 나노입자의 광안정성이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형광염료가 최적으로 도핑 된 실리카 나노입자를 바이오 이미징 에이전트로 사용한다면 높은 광안정성과 형광특성으로 인하여 인체 내부의 생체 모니터링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unctional nanomaterials of fluorescent dye-doped silica nanoparticles(NPs) are applied to bio applications such as bio-labeling of DNA micro-array, and bio-imaging. Organic dye-doped fluorescent silica NPs exhibit excellent bio-compatibility, non-toxic, and highly hydrophilic properties. In thi...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광학적 해부학 영상을 획득하는데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형광염료는 광퇴색(photo-bleaching) 현상이 발생하여 인체 내에서 장시간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따라서 형광 염료가 도핑된 실리카 나노입자의 광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Fig. 7과 같이 순수한 형광염료와 유기 형광 염료가 도핑된 실리카 나노입자의 상대적인 광안정성을 조사하였다. 순수한 형광 염료의 시료는 가장 우수한 형광 특성을 나타내는 2.
  • 본 연구에서는 유기 형광염료를 에탄올 및 탈이온수에 용해시킨 후 실리카 나노입자에 물리적으로 흡착시킨 실리카 나노입자와, 화학적으로 형광 염료가 도핑 된 실리카 나노입자를 합성하여 형광특성을 평가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첨가되는 형광 염료의 양에 따른 실리카 나노입자의 형광 특성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형광 염료가 도핑 된 실리카 나노입자의 장점은? 형광 염료가 도핑 된 실리카 나노입자는 DNA 마이크로 에레이와 같은 바이오 라벨링 및 바이오 이미징에 활용되고 있으며, 높은 생체 적합성과 낮은 독성 및 높은 친수성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기능성 나노소재이다. 본 논문에서는 형광 유기염료를 에탄올과 탈이온수에 각각 용해시킨 후 형광염료를 실리카 나노입자에 물리적으로 흡착시키는 방법과 화학적으로 도핑 시키는 방법으로 실리카 나노입자를 합성한 후 365 nm 파장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형광특성을 분석하였다.
형광 염료가 도핑 된 실리카 나노입자는 어디에 활용되는가? 형광 염료가 도핑 된 실리카 나노입자는 DNA 마이크로 에레이와 같은 바이오 라벨링 및 바이오 이미징에 활용되고 있으며, 높은 생체 적합성과 낮은 독성 및 높은 친수성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기능성 나노소재이다. 본 논문에서는 형광 유기염료를 에탄올과 탈이온수에 각각 용해시킨 후 형광염료를 실리카 나노입자에 물리적으로 흡착시키는 방법과 화학적으로 도핑 시키는 방법으로 실리카 나노입자를 합성한 후 365 nm 파장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형광특성을 분석하였다.
형광 유기염료를 실리카 나노입자에 물리적으로 흡착시키는 방법과 화학적으로 도핑하였을 때의 형광특성을 분석하면? 본 논문에서는 형광 유기염료를 에탄올과 탈이온수에 각각 용해시킨 후 형광염료를 실리카 나노입자에 물리적으로 흡착시키는 방법과 화학적으로 도핑 시키는 방법으로 실리카 나노입자를 합성한 후 365 nm 파장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형광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형광 염료를 물리적으로 흡착시킨 실리카 나노입자보다 화학적으로 형광 염료를 도핑 시킨 실리카 나노입자의 형광특성이 우수하였으며, 도핑 된 형광 염료의 양이 많을수록 형광특성이 우수하였다. 형광 염료를 용해시키는 용매의 경우, 에탄올이 탈이온수와 비교하여 탁월한 형광 특성을 나타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M. Mahmoudi, V. Serpooshan & S. Laurent. (2011). Engineered nanoparticles for biomolecular imaging. Nanoscale, 3, 3007-3026. DOI : 10.1039/c1nr10326a 

  2. W-H. Zhang. X-X. Hu & X-B. Zhang (2016). Dye-Doped Fluorescent Silica Nanoparticles for Live Cell and In Vivo Bioimaging. Nanomaterials, 6, 81. DOI : 10.3390/nano6050081 

  3. I. L. Medinz, H. T. Uyeda, E. R. Goldman & H. Mattoussi. (2005). Quantum dot bioconjugates for imaging, labeling and sensing. Nature Materials 4, 435-446. DOI : 10.1038/nmat1390 

  4. J. Yan, et al. (2007). Dye-doped nanoparticles for bioanalysis. Nanotoday, 2(3), 44-50. DOI : 10.1016/S1748-0132(07)70086-5 

  5. F. Enrichi, R. Ricco, A. Meneghello, R. Pierobon, F. Marinello & P. Schiavuta. (2009). Luminescent dye-doped or rare-earth-doped monodisperse silica nanospheres as efficient labels in DNA microarrays. Proc. of SPIE, 7393 73930M1-73930M-10. DOI : 10.1117/12.828217 

  6. M. Montalti, L. Prodi, E. Rampazzo & N. Zaccheroni (2014). Dye-doped silica nanoparticles as luminescent organized systems for nanomedicine. Chemical Society Reviews, 43, 4243-4268. DOI : 10.1126/science.1102896 

  7. G. Canton, R. Ricco, F. Marinello, S. Carmignato & F. Enrichi. (2011). Modified Stober synthesis of highly luminescent dye-doped silica nanoparticles. Journal of Nanoparticle Research, 13, 4349-4356. DOI : 10.1007/s11051-011-0382-3 

  8. S. Bonacchi, et al. (2011). Luminescent Silica Nanoparticles: Extending the Frontiers of Brightness. 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50, 4056-4066. DOI : 10.1002/anie.201004996 

  9. J. Xu, J. Liang, J. Li & W. Yang. (2010). Multicolor Dye-Doped Silica Nanoparticles Independent FRET. Langmuir, 26(20), 15722-15725. DOI : 10.1021/la1028492 

  10. F. Peng, Y. Su, Y. Zhong, C. Fan, S.-T. Lee & Y. He. (2014). Silicon Nanomaterials Platform for Bioimaging, Biosensing, and Cancer Therapy, Accounts of Chemical Research, 47(2), 612-623. DOI : 10.1021/ar400221g 

  11. W. Stober, A. Fink & E. Bohn. (1968). Controlled Growth of Monodisperse Silica Spheres in the Micron Size Range. 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26, 62-69. DOI : 10.1016/0021-9797(68)90272-5 

  12. L. M. Rossi, L. Shi, F. H. Quina & Z. Rosenzweig. (2005). Stober Synthesis of Monodispersed Luminescent Silica Nanoparticles for Bioanalytical Assays. Langmuir, 21(10), 4277-4280. DOI : 10.1021/la0504098 

  13. L. Wang & W. Tan. (2006). Multicolor FRET Silica Nanoparticles by Single Wavelength Excitation. Nano Letters, 6(1), 84-88. DOI : 10.1021/nl052105b 

  14. K. D. Hartlen, A. P. T. Athanasopoulos & V. Kitaev. (2008). Facile Preparation of Highly Monodisperse Small Silica Spheres (15 to > 200 nm) Suitable for Colloidal Templating and Formation of Ordered Arrays. Langmuir, 24, 1714-1720. DOI : 10.1021/la70252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