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연구기관 보유기술 직접사업화 지원사업의 수요분석을 통한 지원정책 효율성 개선 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Supporting Policy Efficiend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emand for Direct Commercialization of Technology in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8 no.5, 2018년, pp.229 - 236  

조성남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학술정보공유센터) ,  정윤수 (목원대학교 정보통신융합공학부) ,  오충식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사이버안전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과거 기술사업화는 학계 및 연구계 중심으로 기술이전 또는 창업지원 등 좁은 의미로 해석되어 시행되었으며, 기술 사업화 단계에서 사업의 경험부족, 기술개발 실패, 판로 미확보 등이 실패원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학계 연구소 보유기술의 직접사업화 지원 사업이 공공 자금 및 대기업 영업력을 기반으로, 사업화 기술과 자본, 판로, 정부정책 및 지원 등이 결합한 신개념의 기술사업화 모델을 제시하고, 보유기술을 직접사업화하기 위한 애로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조사 및 분석을 통해 기술사업화 수행 주체의 요구요인과 보유역량과의 사이에 차이가 있고, 요구요인과 애로요인간에 상관관계가 있다는 유의미한 결론에 도달하였다. 이 결론을 기반으로, 대학 및 연구기관 보유기술에 대한 사업화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일환으로 지원정책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ast,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was implemented in a narrow sense, such as technology transfer or start-up support.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lack of entrepreneurial experience, failure in technology development, and insecure markets lead to failure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The ...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의 방향은 첫째, 대학 및 연구소의 보유기술에 대한 사업화 지원정책을 조사하고 성과에 대한 고찰을 하는 것이다. 둘째, 사업의 각 주체들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정책과 실천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에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설정하였다.
  • 이러한 신규 모델 제시와 더불어 사업화 기술이 사업적으로 지속적으로 유지 및 성장하기 위해서는 기술사업화를 수행하는데 있어 사업 수행주체들의 미충족 수요를 보유하고 있는 역량관점에서 파악하여 지원정책을 효율화하는 것이 중요하다[9]. 따라서 본 연구는 사업의 수행주체를 대상으로 하여 본 사업의 지원성과 현황 및 애로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동반성장을 통한 공공기술의 직접사업화를 효율화하기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 본 연구는 기술사업화와 기술창업에 대한 저변 확산과 인식제고를 목적으로 사업화 가능한 기술 기반을 통해 대학 및 연구기관이 보유한 기술에 대해 기술사업화 및 창업 지원정책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특히 지원수요와 역량보유를 바탕으로 수행 주체별 미 충족 수요를 분석하여 맞춤형 기업지원 정책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및 연구기관 보유 기술이 사업화 되기까지 장애가 되는 요소들을 파악하고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상호간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도록 직접사업화 지원정책에 대한 효율성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향은 첫째, 대학 및 연구소의 보유기술에 대한 사업화 지원정책을 조사하고 성과에 대한 고찰을 하는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및 연구기관 보유 기술이 사업화 되기까지 장애가 되는 요소들을 파악하고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상호간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도록 직접사업화 지원정책에 대한 효율성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향은 첫째, 대학 및 연구소의 보유기술에 대한 사업화 지원정책을 조사하고 성과에 대한 고찰을 하는 것이다. 둘째, 사업의 각 주체들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정책과 실천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기술사업화와 기술창업에 대한 저변 확산과 인식제고를 목적으로 사업화 가능한 기술 기반을 통해 대학 및 연구기관이 보유한 기술에 대해 기술사업화 및 창업 지원정책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특히 지원수요와 역량보유를 바탕으로 수행 주체별 미 충족 수요를 분석하여 맞춤형 기업지원 정책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계 및 연구계의 기술사업화의 실패원인은 무엇인가? 그동안 학계 및 연구계의 기술사업화는 기술이전, 기술 실용화, 창업 등 다양한 형태로 진화해 왔으나 기술사 업화 단계에서 자금 부족, 사업의 경험부족, 기술개발 실패, 판로 미확보 등이 실패원인으로 지적되어 왔다[5,6].
과거 기술사업화의 특징은? 과거 기술사업화는 학계 및 연구계 중심으로 기술이전 또는 창업지원 등 좁은 의미로 해석되어 시행되었으며, 기술 사업화 단계에서 사업의 경험부족, 기술개발 실패, 판로 미확보 등이 실패원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학계 연구소 보유기술의 직접사업화 지원 사업이 공공 자금 및 대기업 영업력을 기반으로, 사업화 기술과 자본, 판로, 정부정책 및 지원 등이 결합한 신개념의 기술사업화 모델을 제시하고, 보유기술을 직접사업화하기 위한 애로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조사 및 분석을 통해 기술사업화 수행 주체의 요구요인과 보유역량과의 사이에 차이가 있고, 요구요인과 애로요인간에 상관관계가 있다는 유의미한 결론에 도달하였다.
대학․연구기관 보유기술 직접사업화 지원사업은 어떤 형태의 모범 사례를 보여주고 있는가? 이러한 실패원인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진단 및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 2011년부터 대․중소기업 협력재단과 중소기업청은『대학․연구기관 보유기술 직접사업화 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이 사업은 대기업의 자금과 판로를 기반으로 하여 사업화 가치 기술과 우수 사례 기업의 경험치, 노하우, 영업력, 정부 시책 및 지원이 결합된 기술사업화의 새로운 형태의 모범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7,8]. 이러한 신규 모델 제시와 더불어 사업화 기술이 사업적으로 지속적으로 유지 및 성장하기 위해서는 기술사업화를 수행하는데 있어 사업 수행주체들의 미충족 수요를 보유하고 있는 역량관점에서 파악하여 지원정책을 효율화하는 것이 중요하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OECD. (2012). Main Science and Technology Indicators. OECD Science, Technology and R&D Statistics. 

  2. OECD. (2014). Main Science and Technology Indicators. OECD Science, Technology and R&D Statistics. 

  3. WIPO. (2010). World Intellectual Property Indicator. 

  4. The Innopolis Foundation. (2010). Daedeok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Technical Commercialization Achievement Briefing Sourcebook. 

  5. C. H. Song & H. D. Kim. (1988). A Study on the Direction of Reform in Licensing Policy of Government R&D Outputs to Promote Academic Technology Transfer.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11(1), 1-22. 

  6. Y. D. Lee. (2002). Strategy & Institution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7. B. H. Lee, J. G. Choi, J. S. Kim, S. Y. Lee, Y. H. No & J. Y. Hong. (2013). Study on Unmet needs for direct commercialization of technology.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8. J. G. Choi, B. H. Lee, J. S. Kim, S. M. Jeong & J. Y. Hong. (2013). A Performance and Policy Improvement Methods of Direct Commercialization Support Business for Technologies of University and Research Instiutes. The 2013 Spring Conference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9. J. S. Kyung & B. H. Lee. (2010). A Study of Business Support Policy for Small-Medium Enterprises in Regional Strategic Industr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1(6), 2030-2037 

  10. Large & Small Business Cooperation Foundation. (2012). Commercializatin of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for pre-planning for new budget business research report. 

  11. Large & Small Business Cooperation Foundation. (2012). Research services on co-investment by companies and government for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to development of performance indicators and analysis of performance. 

  12. Large & Small Business Cooperation Foundation. (2013). Study on commercialization of universities, research institutions directly support business retentio nand analysis of technology and promoting sustainable commercialization. 

  13. W. V. Chesbrough. (2006), Open innovation: the new imperative for creating and profiting from technology. Oxford : Oxford University Press 

  14. O. Gassmann & E. Enkel. (2004). Towards a Theory of Open Innovation : Three Core Process Archetypes. R&D Management Conference(RADMA). (pp. 1-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