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규모 재난대비를 위한 의용소방대 활용방안과 시사점
Applications of Volunteer Fire Fighters against Great Disasters and its Implications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2 no.5, 2018년, pp.87 - 94  

최준호 (강원대학교 행정학과) ,  최충익 (강원대학교 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규모 재난대비를 위해서 지역사회 기반 재난관리의 선도적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 의용소방대에 대해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있다. 이를 위해 법제도적 미비, 방재인프라 부족 등 현재 우리의 모습과 유사했던 1995년 일본의 고베대지진을 통해 대규모 재난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이러한 재난의 대응에 있어 우리나라 의용소방대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검토하고 2011년 동일본대지진 이후 추진 중인 일본 소방단의 개선방안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의용소방대는 대규모 재난에 대응하기에는 역할, 대응능력, 지원체계 등이 아직은 미흡하며, 일본은 이러한 문제를 '핵심업무의 배분', '공동체적 재난대응', '중앙 및 지자체와의 상호 협력' 등의 관점으로 개선하고 있는 것이 주요한 특징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role of volunteer fire fighters in coping with great disasters in terms of community-based disaster management to provide some implications from a qualitative comparative case study between Korea and Japan. Kobe, which suffered from the Great Hanshin-Awaji earthquake in 1995,...

주제어

표/그림 (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4년부터 「의용소방대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의 제정 및 시행에 따라 조직에 대한 건설적인 변화가 요구되는 시점에 있다(11).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본 연구는 대규모 재난에 대응하기 위한 의용소방대의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지금까지 대규모 재난에 대한 핵심적 대응주체로서 지역사회 기반 재난관리의 중추적 역할을 할 수 있는 의용소방대의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우선 현재 우리나라 재난관리 현황과 유사한 일본의 고베대 지진 사례를 통해 대규모 재난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 셋째, 운영을 위한 지원의 미흡함이다. 지역 소방서의 의용소방대 행정처리 담당자가 부족하고 담당직원 한명이 의용소방대의 제반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지속적인 유지를 위한 지원업무에 한계가 있는 경우가 있다(5).
  • 첫째, 대규모 재난에 대응한 역할과 위상의 모호함이다. 우리나라의 의용소방대는 「의용소방대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7),8)에 중앙정부나 지자체의 소방행정을 ‘보조’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용소방대의 특징은 무엇인가? 따라서 고베대지진의 사례는 재난발생시 지역의 사정을 잘 알고 있는 주민을 통한 협력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의용소방대는 지역의 주민으로 구성되어그 지역이 가진 특성을 잘 파악하고 있으며, 법체계적으로 조직에 대한 정립이 상당부분 이루어져 있어, 현실적으로 지역방재의 핵심역량이라 할 수 있다. 여러 선행연구를 통해 의용소방대의 구성, 조직 활성화, 법체계, 실용성 등의 개선방안이 꾸준히 지적을 받아오고 있다.
우리나라의 의용소방대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정리하자면 현대사회에서 발생하는 대규모 재난은 불확실하며, 복잡하고, 상호 연계된 리스크이다(1). 이에 대한 사전준비(Preparedness)와 대응(Response)을 하기 위해서 우리나라의 의용소방대는 역할과 위상에 대한 정립이 미흡하며, 대응능력 강화에 한계가 있으며, 운영을 위한 지원이 미흡하다. 따라서 실제 대규모 재난에 맞서 유효하게 대응하기 위한 개선이 시급하게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의용소방대와 달리 일본 소방단이 취하는 특징은 무엇인가? 아울러 이러한 재난의 대응에 있어 우리나라 의용소방대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검토하고 2011년 동일본대지진 이후 추진 중인 일본 소방단의 개선방안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의용소방대는 대규모 재난에 대응하기에는 역할, 대응능력, 지원체계 등이 아직은 미흡하며, 일본은 이러한 문제를 '핵심업무의 배분', '공동체적 재난대응', '중앙 및 지자체와의 상호 협력' 등의 관점으로 개선하고 있는 것이 주요한 특징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O. Renn, " Risk Governance: Coping with Uncertainty in a Complex World. London", Earthscan, London, UK (2008). 

  2. Fire and Disaster Management Agency, "About confirmed damages of Great Hanshin-Awaji Earthquake" (2006). 

  3.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and Communications (MIC), "Great East Japan Earthquake Damage State" (2016). 

  4. Cabinet Office, Government of Japan (CAO), "The 2003 Disaster Prevention White Paper" (2003). 

  5. J. D. Lee, M. O. Yoon and D. M. Choi,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Method of the Korean Volunteer Fire Brigad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2, No. 4, pp. 95-104 (2008). 

  6. E. P. Lee, "Comparative Analysis of Volunteer Fire Brigade in Korea and Japan", Proceedings of 2011 Fall Annual Conference,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pp. 340-343 (2011). 

  7. Y. S. Shin,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Styles and Organizational Outcome in Oklahoma's Volunteer Fire Department",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8, No. 4, pp. 73-80 (2014). 

  8. H. D. Kim and S. Y. Lee, "Study of a Improvement Plans about Efficient Operation of Korean Volunteer Fire Departments",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1, No. 5, pp. 95-106 (2017). 

  9. W. J. Lee, H. C. Oh and K. Y. Lee, "A Study on the Efficient Management of Volunteer Fire Department",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0, No. 4, pp. 148-157 (2016). 

  10. S. W. Kim, W. Lee and C. S. Lee, "A Study on the Impacting Factors Influencing on the Volunteer Firefighter's Satisfaction in Sejong City upon Their Activities as a Volunteer Firefighter",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0, No. 1, pp. 96-103 (2016). 

  11. W. J. Lee and S. Y. kwon, "An Academic Concept Transition of Volunteer Firefighting After Implementation of the Volunteer Fire Brigade Establishment & Operation Act",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1, No. 5, pp. 87-94 (2017). 

  12. J. H. Lee, Y. H. Piao and M. Nemoto, "Cooperation Measures for Optimizing Fire Service Resources by Widearea Fire Administration System- Focused on 'Nara Widearea Corporation for Fire Fighting' in Japan", Crisisonomy, Vol. 11, No. 6, pp. 25-43 (2015). 

  13. Cabinet Office, Government of Japan (CAO), "The 2010 Disaster Prevention White Paper" (2010). 

  14. Cabinet Office, Government of Japan (CAO), "The 2013 Disaster Prevention White Paper" (2013). 

  15. Cabinet Office, Government of Japan (CAO), "The 2017 Disaster Prevention White Paper" (2017). 

  16. Y. J. Choi, S. H. hong, S. J. Lee and H. G. Son, "Analysis of Domestic Policy Trend and Role of Science and Technology After Sendai Framework for Disaster Risk Redu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7, No. 4, pp. 765-773 (2017). 

  17. M. J. Kim, W. J. Choi and S. C. Kang, "A Study on Cause Analysis and Management Policy of Disaster Conflicts-Focusing on the Case of CHABA in Ulsan City-",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Vol. 22, No. 1, pp. 399-418 (2018). 

  18. D. G. Lee and Y. K. Min, "An Exploratory Study on Salience of Policy Failure in Large-Scale Disaster : Focused on Analysis on the News of Natural.Social Disaster",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Vol. 19, No. 4, pp. 119-142 (2016). 

  19. J. H. Choi and C. I. Choi, "The Development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Education for Schools and its Application", J. Korean Soc. Hazard Mitig., Vol. 18, No. 4, pp. 57-64 (2018). 

  20. Y. Matsuda and N. Okada, "Community Diagnosis for Sustainable Disaster Preparedness", Journal of Natural Disaster Science, Vol. 28, No. 1, pp. 25-33 (2006). 

  21. Tohashi Ciy Government Homepage, http://www.city.toyohashi.lg.jp/31275.htm. 

  22. S. C. Woo, "A Preliminary Study on Vitalization Measures for Volunteer Fire Department Organizations",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9, No. 2, pp. 54-63 (2015). 

  23. H. D. Kim and S. Y. Lee, "Study of a Development Plan through Consideration of the Transition Process of Korea Volunteer Fire Department",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1, No. 3, pp. 106-118 (2017). 

  24.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Press Releases for Korean Volunteer Fire Brigade" (2016). 

  25. I. G. Lee, "A Research on a Plan for Activating Volunteer Fire Department",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p. 63 (2018). 

  26. Japan Fire Service Association, "Opinions on the Way of National Fire Fighting after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2012). 

  27. Fire and Disaster Management Agency, "Interim Report on Fire Brigade Activities Review" (2012). 

  28. Fire and Disaster Management Agency, "Fire and Disaster Management Statistics" (2012). 

  29. G. I. Lee,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Korean Volunteer Fire corps", Master's Thesis, Samcheok National University, p. 5 (2006). 

  30.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Fire Administration Statistics" (2011). 

  31. Fire and Disaster Management Agency, http://www.fdma.go.jp/. 

  32. J. J. Yoon, "Training Report of Japanese Fire Fighting School", Seoul Metropolitan Fire Academy, pp. 1-35 (2001). 

  33. C. I. Choi and J. H. Choi,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Risk Governance Framework in Terms of Socially Viable Solutions",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Vol. 5, No. 3, pp. 185-193 (2018). 

  34. C. I. Choi and J. H. Choi, "Distribution and Application of Community-based Disaster Risk Information : Lessons from Shiga Prefecture in Japan",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Vol. 16, No. 6, pp. 15-23 (2018). 

  35. S. Samaddar, N. Okada, J. H. Choi and H. Tatano, "What Constitutes Successful Participatory Disaster Risk Management? Insights from Post-earthquake Reconstruction Work in Rural Gujarat, India", Natural Hazards, Vol. 85, No.1, pp. 111-138 (2017). 

  36. H. Shiroshita, "Disaster Education after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Safety Science Review 2011, Vol. 2, pp. 44-45 (2011). 

  37. N. Okada, "Perspective on Integrated Disaster Risk Management. Introduction to Integrated Disaster Risk Management", Edited by Y. Hagihara, N. Okada, and H. Tatano, Kyoto University Academic Press, pp. 5-9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