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과체중 및 비만 여성의 휴식대사량 측정 및 예측값의 비교
Comparison of Predicted and Measured Resting Energy Expenditure in Overweight and Obese Korean Women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3 no.5, 2018년, pp.424 - 430  

박지숙 (창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임정은 (창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redictions and measurements of the resting energy expenditure (REE) of overweight and obese adult women in Korea. Methods: The subjects included 65 overweight or obese adult women ranging in age from 20~60 with a recorded body mass index (BMI)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휴식 대사량을 예측하기 위한 여러 계산 공식이 있으나, 휴식 대사량은 인종, 연령, 키, 체중이나 체구성 등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정확한 휴식 대사량 예측이 어려우며[21] 국내에서 과체중 및 비만 여성의 휴식 대사량 예측 공식 개발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과체중 및 비만한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실측 휴식 대사량 및 예측 대사 량을 비교하여 한국인에게 가장 적합한 예측 대사 량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체질량지수(BMI)가 23 kg/m2 이상의 과체중 혹은 비만인 만 20세 이상 60세 이하의 성인 여성 65명을 대상으로 휴식 대사량 예측 공식에 대한 상관성에 대한 연구로 비만 치료에 있어서 휴식 대사량 산출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신장과 체중을 통해 예측 가능한 휴식 대사량 공식을 이용하여 국내 과체중 및 비만 성인 여성의 휴식 대사량 예측 공식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이상의 과체중 혹은 비만인 만 20세 이상 60세 이하의 성인 여성 65명을 대상으로 휴식 대사량 예측 공식에 대한 상관성에 대한 연구로 비만 치료에 있어서 휴식 대사량 산출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신장과 체중을 통해 예측 가능한 휴식 대사량 공식을 이용하여 국내 과체중 및 비만 성인 여성의 휴식 대사량 예측 공식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휴식 대사 량은 무엇인가? 신체의 1일 에너지 소비는 안정 시 대사 량을 뜻하는 휴식대사량, 신체활동을 통한 에너지 소모량, 음식 섭취에 의한 에너지 소모량으로 분류된다[5]. 에너지 소비량 중 휴식 대사 량은 활동을 통한 에너지 소비가 아닌 심박동, 체내 세포활동, 적정 체온 유지 등을 생명 유지에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 소비량을 뜻하며, 전체 에너지 소비량에서 약 60~70%를 차지하여 비만과 밀접히 관련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 7]. 이외에 신체 활동을 통해 소비되는 량이 15~30%를 차지하고 나머지 10%가 음식 섭취에 의한 열 발생으로 소비된다.
비만의 원인은 무엇인가? 비만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제 2형 당뇨병과 고혈압, 심혈관질환, 뇌혈관질환 등의 합병증과 깊이 관련되어 있으며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3]. 비만의 원인은 여러 가지 요인이 작용할 수 있으나, 생리학적인 기전으로 섭취한 에너지와 에너지를 소비하는 대사량 사이의 불균형으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4].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의하면 1인 1일 평균 에너지섭취량은 1990년 1,863 kcal, 2001년 1,975 kcal, 2011년 2,048kcal, 2016년 2,026 kcal로 나타났는데[2], 에너지 섭취량만으로 우리나라의 비만 증가 추세를 설명하기 힘들고, 에너지 소비의 부족이 비만의 증가에 영향력이 크게 작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시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1인 1일 평균 에너지섭취량은 어떤 변화 양상을 보이는가? 비만의 원인은 여러 가지 요인이 작용할 수 있으나, 생리학적인 기전으로 섭취한 에너지와 에너지를 소비하는 대사량 사이의 불균형으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4].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의하면 1인 1일 평균 에너지섭취량은 1990년 1,863 kcal, 2001년 1,975 kcal, 2011년 2,048kcal, 2016년 2,026 kcal로 나타났는데[2], 에너지 섭취량만으로 우리나라의 비만 증가 추세를 설명하기 힘들고, 에너지 소비의 부족이 비만의 증가에 영향력이 크게 작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시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WHO. Obesity and overweight. [internet]. WHO; 2017 [cited 18 Oct 2017] Available from: http://www.who.int/.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3).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3. Abdelaal M, Roux CW, Docherty NG. Morbidity and mortality associated with obesity. Ann Transl Med 2017; 5(7): 161. 

  4. Seo YW, Lee HJ, Yun KE, Park HS. Energy intake and resting energy expenditure of middle-aged obese Korean women. Kor Soc Obes 2009; 18(1): 31-37. 

  5. Poehlman ET. Exercise and its influence on resting energy metabolism in man. Med Sci Sports Exerc 1989; 21(5): 515-525. 

  6. Ravussin E, Harper IT, Rising R, Bogardus C. Energy expenditure by doubly labeled water: validation in lean and obese subjects. Am J Physiol 1991; 261(3 Pt 1): E402-E409. 

  7. Johnston SL, Souter DM, Tolkamp BJ, Gordon IJ, Illius AW, Kyriazakis I et al. Intake compensates for resting metabolic rate variation in female C57BL/6J mice fed high-fat diets. Obesity 2007; 15(3): 600-606. 

  8. Stewart CL, Goody CM, Branson R. Comparison of two systems of measuring energy expenditure. J Parenter Enteral Nutr 2005; 29(3): 212-217. 

  9. Frankenfield D, Roth-Yousey L, Compher C. Comparison of predictive equations for resting metabolic rate in healthy nonobese and obese adults: a systematic review. J Am Diet Assoc 2005; 105(5): 775-789. 

  10. Harris JA, Benedict FG. A biometric study of basal metabolism in man. Washington: Carnegie institution of Washington; 1919. 

  11. Joint FAO/WHO/UNU. Energy and protein requirements: report of a joint FAO/WHO/UNU Expert Consultation. World Health Organ Tech Rep Ser 1985; 724: 201-206. 

  12. Owen OE. Resting metabolic requirements of men and women. Mayo Clin Proc 1988; 63(5): 503-510. 

  13. Mifflin MD, St Jeor ST, Hill LA, Scott BJ, Daugherty SA, Koh YO. A new predictive equation for resting energy expenditure in healthy individuals. Am J Clin Nutr 1990; 51(2): 241-247. 

  14. Henry CJ. Basal metabolic rate studies in humans: measurement and development of new equations. Public Health Nutr 2005; 8(7A): 1133-1152. 

  15. Son HR, Yeon SE, Cho JS, Kim EK. The measurements of the resting metabolic rate (RMR) and the accuracy of RMR predictive equations for Korean farmers. Korean J Community Nutr 2014; 19(6): 568-580. 

  16. Choi SH, Jo MW, Shin DS. Effects of the 8-week resistance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serum hormone profiles and feeding patterns of obese females. Korean J Nutr 2004; 37(10): 888-898. 

  17. Lee JH. Treatment of obesity. Korean J Community Nutr 1990; 29(3):307-320. 

  18. Yim JE, Kim YS, Choue RW. Effects of age on changes of body composition through caloric restriction in overweight and obese women. J Nutr Health 2013; 46(5): 410-417.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VI- 2].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20. Neeland IJ, Turer AT, Ayers CR, Powell-Wiley TM, Vega GL, Farzaneh-Far R et al. Dysfunctional adiposity and the risk of prediabetes and type 2 diabetes in obese adults. JAMA 2012; 308(11): 1150-1159. 

  21. Derumeaux-Burel H, Meyer M, Morin L, Boirie Y. Prediction of resting energy expenditure in a large population of obese children. Am J Clin Nutr 2004; 80(6): 1544-1550. 

  22. Lee GH, Kim MH, Kim EK. Accuracy of predictive equations for resting metabolic rate in Korean college students. c 14(4): 462-473. 

  23. Nam AY, Lee SY, Lee KJ, Park SB. The relationship between resting metabolic rate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the obesity women. Korean J Obes 2008; 17(2): 73-81. 

  24. Park JA, Kim KJ, Yoon JS. A comparison of energy intake and energy expenditure in normal-weight and over-weight Korean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4; 9(3): 285-291. 

  25. Daly JM, Heymsfield SB, Head CA, Harvey LP, Nixon DW, Katzeff H et al. Human energy requirements: overestimation by widely used prediction equation. Am J Clin Nutr 1985; 42(6): 1170-1174. 

  26. Ravussin E, Lillioja S, Knowler WC, Christin L, Freymond D, Abbott W et al. Reduced rate of energy expenditure as a risk factor for body-weight gain. N Engl J Med 1988; 318(8): 467-472. 

  27. Weijs PJ. Validity of predictive equations for resting energy expenditure in US and Dutch overweight and obese class I and II adults aged 18-65y. Am J Clin Nutr 2008; 88(4): 959-970. 

  28. Bosy-Westphal A, Eichhorn C, Kutzner D, Illner K, Heller M, Muller MJ. The age-related decline in resting energy expenditure in human is due to the loss the loss of fat-free mass and to alteration in its metabolically active components. J Nutr 2003; 133(7): 2356-2362. 

  29. Kyle UG, Genton L, Hans D, Karsegard L, Solsman DO, Pichard C. Age-related differences in fat-free mass, skeletal muscle, body cell mass and fat mass between 18 and 94 years. Eur J Clin Nutr 2001; 55(8): 663. 

  30. Hong SG. Energy balance and obesity. J Korean Beriatr 2000; 9(3): 1-5. 

  31. Goran MI, Kaskoun MC, Johnson RK. Determinants of resting energy expenditure in young children. J Pediatr 1994; 125(3): 362-367. 

  32. Ravussin E, Lillioja S, Knower WC, Christin L, Freymond D, Abbott WG et al. Reduced rate of energy expenditure as a risk factor for body weight gain. N Engl J Med 1988; 318(8): 467-472. 

  33. Napoli R, Horton ES. Present knowledge in nutrition. 7th edition. Washing USA: ILSI press;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