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호지역의 지정 및 관리를 위한 국립공원의 서식처 기능 평가 -생물종다양성과 서식처 가치에 기반하여-

Evaluation of Habitat Function of National Park Based on Biodiversity and Habitat Value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21 no.5, 2018년, pp.39 - 60  

류지은 (고려대학교 오정 에코리질리언스 연구원 환경GIS) ,  최유영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전성우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성현찬 (고려대학교 오정 에코리질리언스 연구원 환경GIS)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ational parks are designated for the purpose of maintenanc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different habita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lect habitats of a high value as a protected area in order to balance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However, the existing national park boundary adjustmen...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립공원은 동법 제2장 제4조 1항에 의하여 국가 차원에서 자연생태계가 우수한 지역을 의미하여, 자연 공원 중 특히 국립공원은 자연 생태계의 보전 및 지속가능한 이용을 목적으로 지정되었기 때문에(Heo and Park, 2007), 본 연구에서는 지정 목적에 맞도록 서식처 기능 강화를 위한 관리를 돕기 위하여 생태계의 서식처 기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같은 포유류라도 서식처 유형에 따라 선호하는 지역이 매우 다르므로, 유형 별 가치를 정확히 평가 후, 이에 근거한 관리를 하는 것이 국립공원 지정 목적을 보다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 기존의 국립공원 경계 설정 및 변경 시에 고려하지 못했던 평가요인인 서식처의 질(Habitat quality)과 종풍부도를 고려하면 국립공원의 서식처로서의 기능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정량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방법의 활용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해 소백산과 월악산에 대하여 국립공원의 1km 내부/국립공원 경계/국립공원 경계에서 외부로 1km 버퍼를 주어 경계를 변경 하였을 때에, 각 서식처의 질과 종풍부도 등급의 변화를 보여주었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보전지역의 서식처 기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서식처 유형에 따라 종을 구분하고, 종다양성과 서식처의 가치를 서식처 유형별로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추후 보호지역 선정·관리 방안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희귀종보다 일반종을 포함한 전체 포유류의 서식처 유형 별 종다양성을 평가하려는 것이 목적이므로, 희귀종보다 종의 구성 자체를 평가할 수 있는 종풍부도는(Richness Index)를 이용하여 종다양성을 평가하였다. 종풍부도는 총 개체수와 총 종수만을 가지고 군집의 상태를 표현하는 지수로 지수 값이 높을수록 종의 구성이 풍부하므로, 서식 환경의 양호한 정도를 손쉽게 판단할 수 있다(Shim and Chung.
  • 기존의 국립공원 경계 설정 및 변경 시에 고려하지 못했던 평가요인인 서식처의 질(Habitat quality)과 종풍부도를 고려하면 국립공원의 서식처로서의 기능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정량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방법의 활용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해 소백산과 월악산에 대하여 국립공원의 1km 내부/국립공원 경계/국립공원 경계에서 외부로 1km 버퍼를 주어 경계를 변경 하였을 때에, 각 서식처의 질과 종풍부도 등급의 변화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국립공원의 경계 조정은 서식처 보호 목적 이외에도 다양한 사회·문화·경제적 요인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야한다.
  • 본 연구에서는 전국자연환경조사에서 조사된 포유류를 서식처 유형별로 구분하고, 종다양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Maxent를 이용해 종풍부 도면을 작성하였으며, 서식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InVEST 모델을 이용해 Habitat quality 를 평가하였다.
  • 서식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국립 공원 관리 및 경계 조정을 할 때에, 종다양성과 서식처의 가치 측면에서 다양한 종의 행동 및서식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포유류의 서식처 유형에 따른 종다양성과 서식처의 가치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선행 연구 에서는 멸종위기종 및 일반종으로 포유류를 획일적으로 구분하고 이에 따른 종풍부도를 도출했지만, 포유류는 서식처 유형 별로 분포 범위가 매우 다르므로, 서식처 유형 별로 가치를 평가하는 것이 서식처 기능 강화와 관련된 의사결정을 하는데 유용하다.
  • 5배 후, 1 이상인 값은 최댓값인 1로 설정하였다. 이는, 출현지점의 정보를 세분류 서식처 유형 별로 표준 화를 할 경우, 서식유형 별 포유류들의 출현 지점이 일부 세분류 서식처에 지나치게 집중되어 있고, 이외의 다른 세분류 서식처에서는 포유류 들이 출현했음에도 우세 지역과의 편차가 너무 커서, 1~2개의 주요 세분류 서식처 이외에 다른 지역은 비출현 지역과의 차이가 거의 발생하지 않아 출현한 서식처를 모두 고려하여 서식처 가치에 중요도를 높이기 위하여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서식처 유형별 포유류의 행동 패턴에 의하여 세 유형으로 구분하였지만, 대부분의 포유류는 번식 및 잠자는 공간으로 산림을 이용하고, 먹이활동을 위하여 주로 이용하는 공간이 주거지인근 및 저지대를 이용한다(Lee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 확장이 지속되는 이유는? 이러한 개발이 지속되는 이유는 생태계의 가치보다 인간의 개발로 인한 가치가 더 많다고 보기 때문이며, 따라서 생태계의 가치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가치가 높은 지역은 생물다양성을 보호하는 보호지역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Pullin et al., 2013).
국립공원은 어떠한 공간인가? 우리나라에서 지정·관리하고 있는 보호지역 중, 국립공원은 사람들의 휴식공간이자 풍부한 생물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생물 서식처로기능 하는 유지 및 보전이 필요한 공간이다(Park, 2010). 따라서, 국립공원을 보호지역으로 적극 활용하여 보전과 개발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필요하다(Terrado et al.
인간의 토지이용 변화의 양상과, 그것이 미치는 영향은? 최근, 인간의 활동으로 인하여 토지이용이 변하면서 생태계가 파괴되고 있다. 인간의 토지이용 변화는 증가하는 인구와 경제적 수요에 의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지속가능성과 사회경제의 리질리언스에 큰 영향을 미친다 (TEEB, 2010; IPBES, 2015). 특히 도시 확장은 인근 생태계의 토지이용과 토지변화를 초래하여(Y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Bonham-Carter, G.F, 1994.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for geoscientists: modeling with GIS, Pergamon Press, Oxford pp.398. 

  2. Choi, C.-Y., Nam, H.-Y., Hur, W.-H., Lee, W.-S., Kim, H.-J., Hwang, G.-Y. 2006. Edge preference of forest-dwelling birds in the temperate Deciduous forests, Journal of Ecological Field Biology 29(3) : 191-203. 

  3. Choi, J. and Lee, S. 2018. Evaluation of Ecosystem service for distribution of Korean fir using InVEST Model.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7(2) : 181-193. (In Korean) 

  4. Choi, T.-Y. and Park, C.-H. 2006. Home-range of raccoon dog Nyctereutes procyonoides living in the rural area of Korea, Journal of Ecological Field Biololgy 29(3) : 259-263. (In Korean) 

  5. Chung, C.U. and Lee, C.I. 2004. Comparison habitat preference for small mammals around the Hyeongsan river,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7(3) : 133-139. (In Korean) 

  6. Costanza, R..Arge, R.D..de Groot, R.S.. Farber, S..Grasso, M..Hannon, B.. Limburg, K..Naeem, S..O'Neill, R.V.. Paruelo, J..Raskin, R.G..Sutton, P. and van den Belt, M. 1997. The value of world's ecosystem services and natural capital. Nature 387 : 253-260. 

  7. Dramstad, W.E..Olson, J.D. and Forman, R.T.T. 1996. Landscape Ecology Principles in Landscape Architecture and Land-use Planning.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European commission.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United Nations, and World Bank. 2013. System of environmental-economic accounting 2012: Experimental Ecosystem Accounting. United Nations pp. 17-137. 

  9. Farashi, A. and Shariati, M. 2017. Biodiversity hotspots and conservation gaps in Iran. Journal for nature conservation 39 : 37-57. 

  10. Franklin. J. 2009. Mapping species distributions spatial inference and predic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Gates J.E. and Gysel, L.W. 1978. Avian nest dispersion and fledging success in field-forest ecotones. Ecology 59 : 871-883. 

  12. Hall, L.S..Krausman, P.R. and Morrison, M.L. 1997. The habitat concept and a plea for standard terminology. Wildlife Society Bulletin 25[1] : 173-182. 

  13. Huh, H.Y. and Park, M.G. 2007, Analysis of program implementation status of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focused on national park, Environmental policy research 6[1] : 1-40. (In Korean) 

  14. IPBES(Intergovernmental Platform on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2015. The third session of the Platform's Plenary (IPBES-3). http://www.ipbes.net/index.php/plenary/ipbes-3. 

  15. Jeon, S.W.,.Kim, J..Jung, H..Lee, W.-K. and Kim, J.-S. 2014.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of endangered mammals for ecosystem services valuation: Focused on National Ecosystem survey data,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al Research Technology 17[1] : 111-122. (In Korean) 

  16. Kim, G.H..Jung, H.C..Yoon, J.H..Kim, O.S. and Jeon, S.W. 2017a. A GIS-based Assessment on National park Candidates of South Korea for Their New Designa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25(3) : 63-74.(In Korean) 

  17. Kim, J..Kwon, H..Seo, C. and Kim, M. 2014. A nationwide analysis of mammalian biodiversity hotspots in South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3(6) : 453-465. (In Korean) 

  18. Kim, T. and Lee, S. 2013, Cross -sectional change of ridge traversing trail in Jirisan National Park, Journal of Korean Geographical society 19(2) : 234-245. (In Korean) 

  19. Kim, T.Y..Song, C.H..Lee, W.K..Kim, M.I., Lim, C.H., Jeon, S.W. and Kim, J.S. 2015. Habitat Quality Valuation Using InVEST Model in Jeju Island. Journal of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8(5) : 1-11. (In Korean) 

  20. Kim, W.-M..Song, W.-K..Kim, S.-Y.. Hyung, E.-J. and Lee, S.-H., 2017b, Habitat analysis study of honeybees (Apis mellifera) in urban area using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al Research and Technology 20(3) : 55-64. (In Korean) 

  21. Korea national park. 2012. Feasibility study for the designation of Mt. Mudeung national park. (In Korean) 

  22. Kwon, H.S..Seo, C.W. and Park, C.H. 2012. Development of species distribution models and evaluation of species richness in Jirisan region,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20(3) : 11-18. (In Korean) 

  23. Laurila-Pant, M..Lehikoinen, A..Uusitalo, L. and Venesjarvi, R. 2015. How to value biodiversity in environmental management? Ecological indicators 55 : 1-11 

  24. Lee, D.-K..Kim, E.-Y. and Oh, K. -S. 2005.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by considering Patch size, connectivity and edge,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al Research and Technology 8(5) : 56-67. (In Korean) 

  25. Lee, H..Ha, J..Cha, J..Lee, J..Yoon, H.. Chung, C..Oh, H. and Bae, S. 2017, The habitat classification of mammals in Korea based on the national ecosystem survey,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6(2) : 160-170. (In Korean) 

  26. Lee, H.-J..Cha, J.-Y..Chung, C.-U..Kim, Y.-C..Kim, S.-C..Kwon, G.-H. and Kim, J.-J. 2014. Home range analysis of three midium-sized mammals in Sobaeksan National park,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al Research and Technology 17(6) : 51-60. (In Korean) 

  27. Lee, H.W..Kim, C.K..Hong, H.J..Roh, Y. H..Kang, S.I..Kim, J.H..Shin, S.C. and Lee, S.J. 2015. Development of Decision Supporting Framework to Enhance Natural Capital Sustainability: Focusing on Ecosystem Service Analysis.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5(0) : 3479 -3651. (In Korean) 

  28. Lee, T.-S..Lee, K.-J..Choi, B.-U. and Ppark, S.-C.2010. Planting managements for improvement of species diversity in recreational forest: A case study of Chukryongsan recreational forest, Gyeonggi-do, Journal of Environmental Ecology 24(40) : 351-362. (In Korean) 

  29. MA(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 2005, Ecosystems and Human Well-Being: General Synthesis pp77-101. 

  30. Oliveira, U..Soares-Filho, B.S..Paglia, A.P.. Brescovit, A.D..de Carvalho, C.J.B.. Silva, D.P..Rezende, D.T..Leite, F.S.F.. Batista, A.N..Barbosa, J.P.P.P..Stehmann, J.R..Ascher, J.S..de Vasconcelos, M.F.. Marco, P.D..Lowenberg-Neto, P..Ferro, V.G. and Santos, A.J.2017. Biodiversity conservation gaps in the Brazilian protected areas, Scientific reports, 7, 9141, doi:10.1038/s41598-017-08707-2 

  31. Park, S.-S. 2007. Decrease Scheme for Wildlife Road-kill on Highway: Practical Using with Alternative Corridor, the master's thesis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pp. 42-78. (In Korean) 

  32. Park, J.H. 2010. Analysis on the Restoration of Visiting Roads of Stream of Chilsun in Jirisan National Park.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3(2), 105-113. (In Korean) 

  33. Park, Y.H..Rho, T.H..Lee, Y.J..Yoon, J.H..Ahn, S.E..Jeon, D.J..Jung, J.C..Choi,H.S..Kim, T.H..Lim, Y.S.. Ma, J.H..Kim, J.H..Jung, J.W..Choi, D.Y..Ha,J.S..Jung, W.S..Han, S.Y..Lee, W.K..Kwak, H.B..Choi, H.A..Kim, T.M..Jung, S.E..Yu, H.S..Seo, J.S..Yoon,H.Y..Kim, M.C..Park, S.J..Choi, J.M..Jung, K.S..Jung, C.K..Chun, S.P..Shin, D.K..Park, E.B..Yu, W.J..Ahn,W.T..Park, S.U..Kim, H.C..Hong, S.I. 2008. Improvement criteria for national park feasibility and improvement of natural park system, Ministry of Environment pp. 9-19, 127-220. (In Korean) 

  34. Phillips, S. J..Anderson, R. P. and Schapire, R.E. 2006. Maximum entropy modeling of species geographic distributions. Ecological Modelling 190 : 231-259. 

  35. Pullin, A.S..Bangpan, M..Dalrymple, S.. Dickson, K..Haddaway, N.R..Healey, J.R..Hauari, H..Hockley, N..Jones, J.P.G..Knight, T..Vigurs, C..Oliver, S. 2013. Human well-being impacts of terrestrial protected areas. Environmental Evidence 2 : 19, 1-41. 

  36. Razandi, Y..Pourghasemi, H.R..Neisani, N.S. and Rahmati, O. 2015. Application of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frequency ratio, and certianty factor models for groundwater potential mapping using GIS, Earth Science Informatics 8(4) : 867-883. 

  37. Sallustio, L..De Toni, A..Strollo, A..Di Febbraro, M..Fissi, E..Casella, L.. Geneletti, D..Munafo, M..Vizzarri, M. and Marchetti, M. 2017. Assessing habitat quality in relation to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rotected areas in Italy,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201 : 129-137. 

  38. Schmitz, O.J..Hawlena, D. and Trussell, G.F. 2010, Predator control of ecosystem nutrient dynamics, Ecology Letters 13(10) : 1199-1209. 

  39. Seo, C. W..Park, Y.R. and Choi, Y.S. 2008. Comparison of Species Distribution Models According to Location Data.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16(4) : 59-64. (In Korean) 

  40. Seok, S. and Lee, J. 2015, A study on the corelation between Road-kill hotspot and habitat patches,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4(3) : 233-243. (In Korean) 

  41. Sharp, R..Tallis, H.T..Ricketts, T..Guerry,A.D..Wood, S.A., Chaplin- Kramer, R..Nelson, E..Ennaanay, D..Wolny, S..Olwero, N..Vigerstol, K..Pennington,D..Mendoza, G..Aukema, J..Foster,J..Forrest, J..Cameron, D..Arkema,K..Lonsdorf, E..Kennedy, C..Verutes,G..Kim, C.K..Guannel, G..Papenfus,M..Toft, J..Marsik, M..Bernhardt, J..Griffin, R..Glowinski, K..Chaumont,N..Perelman, A..Lacayo, M..Mandle,L..Hamel, P..Vogl, A.L..Rogers, L..Bierbower, W..Denu, D. and Douglass, J. 2018. InVEST User's Guide. The Natural Capital Project, Stanford University, University of Minnesota, The Nature Conservancy, and World Wildlife Fund. 

  42. Shim, J.-H. and Chung, K.-H. 1997. Studies on the herpetofauna for the biodiversity conservation of population community analysis and species diversity in the Gyebangsan area Kangwondo,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Ecology 11[1] : 84-99. (In Korean) 

  43. Shin, H.-T..Oh, K.-K..Park, S.-G..Yi, M.-H..Yoon, J.-W. and Sung, J.-W. 2013. Change vegetation after restoration of campsite Nogodan in Chirisan National Park, Korean Forest Recreation 17(2) : 1-14. (In Korean) 

  44. Song, W. K. 2015. Habitat Analysis of Hyla Suweonensis in the Breeding Season Using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al Research and Technology 18[1] : 71-82. (In Korean) 

  45. Spano, M..Leronni, V..Lafortezza, R. and Gentile, F. 2017. Are ecosystem service hotspots located in protected areas? Results from a study in Southern Italy, Environmental Science and policy 73 : 52-60. 

  46. TEEB(The Economics of Ecosystems and Biodiversity). 2010. The Economics of Ecosystems and Biodiversity: Ecological and Economic Foundations. Earthscan, London and Washington. 

  47. Yi, H..Guneralp, B..Kreuter, U.P..Guneralp, I. and Filippi, A.M. 2018. Spatial and temporal changes in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in the San Antonio River Basin, Texas, from 1984 to 2010,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pp. 619-620, 1259-1271. 

  48. Yoon, M.H..Han, S.H..Oh, H.S. and Kim, J.K. 2004. The mammals of Korea. DongBang Media, Seoul pp 148-149. (In Korean) 

  49. Zhang, Y.-B..Wang, Y.-Z..Phillips, N..Ma, K.-P..Li, J.-S. and Wang, W. 2017. Integrated maps of biodiversity in the Qinling mountains of China for expanding protected areas, Biological conservation 210 : 64-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