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청소년의 가당음료 섭취실태 및 영향요인 : 2017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이용
Sugar-sweetened beverage consumption and influencing factors in Korean adolescents: based on the 2017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1 no.5, 2018년, pp.465 - 479  

김아영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진희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계승희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7년도 제 13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청소년의 가당음료 섭취실태를 파악하고 가당음료 섭취와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 행위, 심리적 특성 및 식습관과의 관련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가당음료 섭취빈도는 탄산음료, 고카페인 또는 에너지음료, 단맛이 나는 음료수에 대한 섭취빈도를 합산하여 산출하였으며,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가당음료 섭취비율을 살펴보면 남학생과 여학생의 가당음료 섭취 비율의 차이를 나타냈으며, 중학생군과 고등학생군의 가당음료 섭취 비율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아버지의 학력에서도, 주관적인 학업성적에서도 군간에 가당음료 섭취비율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2. 건강행위별 가당음료를 섭취하는 비율은 흡연군과 비흡연군간에 차이를 나타냈으며, 음주군과 비음주군에서도 섭취 비율의 차이를 보였다. 또한 중강도 고강도운동 등의 신체활동군에서 비신체활동군과의 가당음료 섭취 비율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3. 심리적 특성으로서 스트레스가 높거나 자살 생각 또는 슬픔이나 절망감을 경험한 군에서도 비경험군과 가당음료 섭취 비율이 다르게 나타났다. 4. 식습관 요인을 살펴보면 아침을 주 5일 이상 결식한 군과 비결식군간에, 패스트푸드, 라면, 과자를 일주일에 3회 이상 섭취 또는 편의점 슈퍼마켓 학교매점을 이용하여 식사를 한 경험이 일주일에 3회 이상 있는 군과 3회 미만인 군간에 가당음료 섭취비율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채소 반찬의 경우 매일 3회 이상 섭취한 군과 3회 미만으로 섭취한 군간에 가당음료 섭취비율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5. 가당음료 섭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아버지의 학력이 낮을수록, 주관적인 학업성적이 낮을수록, 흡연이나 음주를 하는 학생이 가당음료를 섭취할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스트레스가 심하거나, 자살 생각 또는 슬픔이나 절망감을 경험한 학생들의 가당음료를 섭취할 가능성이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아침을 자주 결식하거나, 패스트푸드, 라면, 과자 등 건강하지 못한 식품을 섭취하거나, 편의점, 슈퍼마켓, 학교매점에서 저녁을 간단히 먹는 학생들에게서도 가당음료 섭취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가당음료 섭취와 인구사회학적 요인, 건강관련행위, 심리적 특성 및 식습관 등 여러 요인들과 연관성이 있음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가당음료 섭취는 영양적으로 가치가 낮은 반면 칼로리는 높아 비만을 유도하고 각종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현재 정부에서 청소년들의 당류섭취량을 줄이기 위해 학교 내 또는 학교주변 어린이식품안전보호구역에서 탄산음료 또는 고카페인 함유 음료 판매를 금지하고 있으나, 학생들의 자의적 선택에 의해서 가당음료를 마시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학교 영양교사나 급식영양사에 의하여 당류 섭취 감소를 위한 주기적인 영양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frequency of sugar-sweetened beverage consumption in Korean adolescents and the major factors influencing the excessive consumption of sugar-sweetened beverages, such a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related behavio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7년도 제 13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청소년의 가당음료 섭취실태를 파악하고 가당음료 섭취와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 행위, 심리적 특성 및 식습관과의 관련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가당음료 섭취빈도는 탄산음료, 고카페인 또는 에너지음료, 단맛이 나는 음료수에 대한 섭취빈도를 합산하여 산출하였으며,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 연구는 2017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청소년의 가당음료 섭취 빈도와 관련 요인을 확인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결과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가당음료 섭취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미국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수행된 2009년도 National Youth Risk Behavior Survey24와 2010년도 National Youth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 Study23에서도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의 가당음료 섭취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음이 보고되고 있다.
  • 그러나 건강행동관련 요인 외에도 인구사회학적 요인, 심리적 요인, 식습관 등 가당음료 섭취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는 변수들과의 관련성은 분석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행위, 심리적 특성 및 식습관에 따른 가당음료 섭취빈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가당음료의 과다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첫째, 본 연구는 2차 자료를 분석한 횡단분석연구로써 변수 간의 원인과 결과를 설명하는데 제한점이 있다. 둘째, 원시자료에 포함된 문항은 가당음료 섭취 빈도에 관한 것으로 제한되어 있어서 가당음료 섭취량을 확인할 수 없다. 셋째, 원시자료 질문지 내용 중 탄산음료 섭취 빈도를 묻는 문항에서 탄산음료에 대한 정의가 명확하지 않아서 비가당 탄산음료 (탄산수, 다이어트 탄산음료)가 가당 탄산음료에 포함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당음료 섭취는 어떤 질병과 연관 있는가? 가당음료 섭취는 과체중이나 비만8,9뿐만이 아니라 혈압,10 저칼슘혈증,11 골밀도,12 골절,13 충치,14 결석,15 이상지질혈증,16 이상행동 및 정신건강17,18과도 연관성이 있다는 연구들이 보고되었다. 가당음료 섭취는 영양소 섭취와도 연관성이 있으며, 가당음료 섭취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 섭취가 증가한다는 연구결과19,20가 보고된 바 있다.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가당음료 섭취를 줄이기 위해 정부에서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가? 이러한 가당음료 섭취는 영양적으로 가치가 낮은 반면 칼로리는 높아 비만을 유도하고 각종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현재 정부에서 청소년들의 당류섭취량을 줄이기 위해 학교 내 또는 학교주변 어린이식품안전보호구역에서 탄산음료 또는 고카페인 함유 음료 판매를 금지하고 있으나, 학생들의 자의적 선택에 의해서 가당음료를 마시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학교 영양교사나 급식영양사에 의하여 당류 섭취 감소를 위한 주기적인 영양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청소년기의 균형 잡힌 영양섭취가 중요한 이유는?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넘어가는 위치의 청소년기는 신체적· 정신적으로 제2의 성숙을 준비하는 단계로 빠른 신체의 성장과 함께 그에 따른 영양요구량이 생애주기 중 가장 높아 성장에 필요한 적절한 영양 섭취가 필요하다. 1 청소년기의 영양상태 불량은 성인 시기에 체위, 수명,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균형 잡힌 영양 섭취와 함께 올바른 식습관 형성이 더욱 강조된다. 2 청소년기의 학생들은 본인의 건강, 영양에 관한 지식이 부족하고, 건강의 중요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여 식품 선택에 있어서 기호에 치중함으로써 영양불균형이 초래되기 쉽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Na EK. Food intake patterns of adolescents using 2001, 200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dissertation]. Yongin: Dankook University; 2008. 

  2. Lee KH, Hwang KJ, Her ES. A study on body image recognition, food habits, food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the obesity index of elementary children in Changwon. Korean J Community Nutr 2001; 6(4): 577-591. 

  3. Yoo JY, Kim YN. Survey of cookie consumption and nutrition labelling of cookie consumed in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9; 14(2): 147-157. 

  4. Duffey KJ, Popkin BM. Shifts in patterns and consumption of beverages between 1965 and 2002. Obesity (Silver Spring) 2007; 15(11): 2739-2747. 

  5. Popkin BM. Patterns of beverage use across the lifecycle. Physiol Behav 2010; 100(1): 4-9. 

  6. Lee HS, Kim CI, Kim D, Yon M, Lee JY, Nam J, Park SJ, Ahn JH, Hwang EJ, Moon JH. Sugar database compilation for commonly consumed foods. Cheongju: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5. 

  7. Lee HS, Kwon SO, Yon M, Kim D, Lee JY, Nam J, Park SJ, Yeon JY, Lee SK, Lee HY, Kwon OS, Kim CI. Dietary total sugar intake of Koreans: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8-2011. J Nutr Health 2014; 47(4): 268-276. 

  8. Malik VS, Schulze MB, Hu FB. Intake of sugar-sweetened beverages and weight gain: a systematic review. Am J Clin Nutr 2006; 84(2): 274-288. 

  9. Malik VS, Hu FB. Sweeteners and risk of obesity and type 2 diabetes: the role of sugar-sweetened beverages. Curr Diab Rep 2012; 12(2): 195-203. 

  10. Raben A, Vasilaras TH, Moller AC, Astrup A. Sucrose compared with artificial sweeteners: different effects on ad libitum food intake and body weight after 10 wk of supplementation in overweight subjects. Am J Clin Nutr 2002; 76(4): 721-729. 

  11. Fernando GR, Martha RM, Evangelina R. Consumption of soft drinks with phosphoric acid as a risk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hypocalcemia in postmenopausal women. J Clin Epidemiol 1999; 52(10): 1007-1010. 

  12. McGartland C, Robson PJ, Murray L, Cran G, Savage MJ, Watkins D, Rooney M, Boreham C. Carbonated soft drink consump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in adolescence: the northern Ireland young hearts project. J Bone Miner Res 2003; 18(9): 1563-1569. 

  13. Ma D, Jones G. Soft drink and milk consumption, physical activity, bone mass, and upper limb fractures in children: a population-based case-control study. Calcif Tissue Int 2004; 75(4): 286-291. 

  14. Forshee RA, Storey ML. Evaluation of the association of demographics and beverage consumption with dental caries. Food Chem Toxicol 2004; 42(11): 1805-1816. 

  15. Hirvonen T, Pietinen P, Virtanen M, Albanes D, Virtamo J. Nutrient intake and use of beverages and the risk of kidney stones among male smokers. Am J Epidemiol 1999; 150(2): 187-194. 

  16. Welsh JA, Sharma A, Abramson JL, Vaccarino V, Gillespie C, Vos MB. Caloric sweetener consumption and dyslipidemia among US adults. JAMA 2010; 303(15): 1490-1497. 

  17. Lien L, Lien N, Heyerdahl S, Thoresen M, Bjertness E. Consumption of soft drinks and hyperactivity, mental distress, and conduct problems among adolescents in Oslo, Norway. Am J Public Health 2006; 96(10): 1815-1820. 

  18. Shi Z, Taylor AW, Wittert G, Goldney R, Gill TK. Soft drink consumption and mental health problems among adults in Australia. Public Health Nutr 2010; 13(7): 1073-1079. 

  19. Schulze MB, Manson JE, Ludwig DS, Colditz GA, Stampfer MJ, Willett WC, Hu FB. Sugar-sweetened beverages, weight gain, and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in young and middle-aged women. JAMA 2004; 292(8): 927-934. 

  20. Berkey CS, Rockett HR, Field AE, Gillman MW, Colditz GA. Sugar-added beverages and adolescent weight change. Obes Res 2004; 12(5): 778-788. 

  21. Vartanian LR, Schwartz MB, Brownell KD. Effects of soft drink consumption on nutrition and health: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m J Public Health 2007; 97(4): 667-675. 

  22. Marshall TA, Eichenberger Gilmore JM, Broffitt B, Stumbo PJ, Levy SM. Diet quality in young children is influenced by beverage consumption. J Am Coll Nutr 2005; 24(1): 65-75. 

  23. Park S, Blanck HM, Sherry B, Brener N, O'Toole T. Factors associated with sugar-sweetened beverage intake among United States high school students. J Nutr 2012; 142(2): 306-312. 

  24. Park S, Sherry B, Foti K, Blanck HM. Self-reported academic grades and other correlates of sugar-sweetened soda intake among US adolescents. J Acad Nutr Diet 2012; 112(1): 125-131. 

  25. Han E, Powell LM. Consumption patterns of sugar-sweetened beverages in the United States. J Acad Nutr Diet 2013; 113(1): 43-53. 

  26. Jeon JE, Lee YJ, Kim WJ. High school students' beverage consumption in Cheongju province. J Hum Ecol 2010; 14(1): 146-161. 

  27. Song MJ, An EM, Shon HS, Kim SB, Cha YS. A study on the status of beverage consumption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Jeonju. Korean J Community Nutr 2005; 10(2): 174-182. 

  28. Gu HM, Park J, Ryu SY. Health behavior factors associated with sugar-sweetened beverage intake among adolesc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8; 23(3): 193-201. 

  2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physical activity guide for Koreans.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30.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 Korean national growth chart [Internet].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 [cited 2017 Jul 28]. Available from: http://cdc.go.kr/. 

  31. Lee SH, Yun ME, Chun SS. Relationship between Korean juveniles' dietary habits and drinking alcohol - the result of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2. J Korean Soc Sch Community Health Educ 2014; 15(2): 23-38. 

  32. Giammattei J, Blix G, Marshak HH, Wollitzer AO, Pettitt DJ. Television watching and soft drink consumption: associations with obesity in 11- to 13-year-old schoolchildren. Arch Pediatr Adolesc Med 2003; 157(9): 882-886. 

  33. Striegel-Moore RH, Thompson D, Affenito SG, Franko DL, Obarzanek E, Barton BA, Schreiber GB, Daniels SR, Schmidt M, Crawford PB. Correlates of beverage intake in adolescent girls: the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Growth and Health Study. J Pediatr 2006; 148(2): 183-187. 

  34. Braet C, Van Strien T. Assessment of emotional, externally induced and restrained eating behaviour in nine to twelveyear-old obese and non-obese children. Behav Res Ther 1997; 35(9): 863-873. 

  35. Adam TC, Epel ES. Stress, eating and the reward system. Physiol Behav 2007; 91(4): 449-458. 

  36. Kim S, Kye S. Effects of daily stress on dietary pattern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Seongnam city. Korean J Community Nutr 2017; 22(6): 475-484. 

  37. Bae YJ.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 and meal variety with breakfast eating in Korean adolescents: analysis of data from the 2008-2009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2013; 18(3): 257-268. 

  38. Kim MJ, Kim YH. Dietary habits,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s of the 3r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Ulsan area by sex and skipping breakfast.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10; 20(2): 209-217. 

  39. Wiecha JL, Finkelstein D, Troped PJ, Fragala M, Peterson KE. School vending machine use and fast-food restaurant use are associated with sugar-sweetened beverage intake in youth. J Am Diet Assoc 2006; 106(10): 1624-1630. 

  40.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US). The CDC guide to strategies for reducing the consumption of sugarsweetened beverages. Atlanta (G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41. Food and Nutrition Service, USDA. National School Lunch Program and School Breakfast Program: nutrition standards for all foods sold in school as required by the Healthy, Hunger-Free Kids Act of 2010: interim final rule. Fed Regist 2013; 78(125): 39067-39120. 

  42. Academy of Medical Royal Colleges (GB). Measuring up. The medical profession's prescription for the nation's obesity crisis. London: Academy of Medical Royal Colleges; 2013. 

  4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R). Press release: One out of two children and adolescents (46.3%) consumes too much sugar. [Internet]. Cheongju: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6 [cited 2018 Apr 9]. Available from: http://www.mfds.go.kr/brd/m_99/view.do?seq31218&srchFr&srchTo&srchWord%EB%8B%B9&srchTp0&itm_seq_10&itm_seq_20&multi_itm_seq0&company_cd&company_nm&page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