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의 음료섭취실태와 구강건강상태의 연관성 연구
Relation between beverage consumption pattern and oral health status among Korean adults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8 no.5, 2018년, pp.785 - 795  

정은주 (청암대학교 치위생과) ,  송애희 (전남과학대학교 치위생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1) investigate the beverage consumption pattern among Korean adults, and 2)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equency of beverage consumption and oral health status. Methods: We used data from the 6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 g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제한점은 성인을 대상으로 한 음료섭취실태와 구강건강상태에 관한 선행연구가 극히 드물어 본 연구의 결과와 비교·분석하여 해석하는데 다소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대표성을 가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자료를 통해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음료섭취와 구강건강상태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음료에 대한 올바른 인식 고취와 섭취를 줄이기 위한 동기유발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국가 차원에서 당류 저감화 정책이나 사업 계획 수립 시 방향 설정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음료섭취와 구강건강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필요하며, 추후에는 성인뿐만 아니라 탄산음료를 통해 많은 당을 섭취하고 있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음료섭취빈도와 구강건강상태 및 구강보건행태의 관련성에 대한 후속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가공식품 중에서 당류 섭취의 주요 급원은 음료이며, 음료의 대부분은 물과 당류로 구성되어 있는데, 당류로 인해 전신건강 뿐만 아니라 치아 경조직 손상의 구강건강에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을 대상으로 음료섭취실태를 파악하고, 음료의 섭취빈도와 구강건강상태와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을 대상으로 음료섭취실태를 파악하고, 음료의 섭취빈도와 구강건강상태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올바른 음료 섭취를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또한 음료에 대한 올바른 인식 고취와 스스로 올바른 섭취에 대한 동기유발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당류 저 감화를 위한 정책이나 사업 계획 수립 시 방향을 제시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음료섭취실태를 파악하고, 음료의 섭취빈도와 구강건강상태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올바른 음료 섭취를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제6기 3차년도(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자료를 이용하여 만 19~64세의 성인을 분류한 후 총 3,600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에 대한 개념이 치료중심에서 예방 및 건강증진으로 변화한 이유는 무엇인가? 국민소득의 증가와 교육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건강에 대한 개념이 질병의 치료중심에서 예방 및 건강증진으로 변화하였다. 건강과 식이 및 영양 상태는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데, 우리나라는 급속한 경제성장과 더불어 식품산업의 발전으로 인해 식생활에서 가공식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으며[1], 이로 인해 나트륨과 당류 섭취 과잉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2].
음료 섭취를 감소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당질 식품은 치아우식 발생에 영향을 미치며, 당질 식품의 점착도와 섭취빈도가 높을수록 치아우식 발생이 증가하며[5], 섭취한 설탕의 양 보다는 섭취빈도가 치아우식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었다[6,7]. 구강질환과 관련된 음료의 선행연구에 의하면 과일음료나 탄산음료와 같은 pH가 낮은 음료의 노출빈도가 많으면 치아 경조직 손상이 유발되며[8], 국내 시판 음료의 pH는 우유를 제외하고 대부분 pH 4.5 이하이며[9], 우식 유발 균의 산 생성 능력 실험에서 탄산음료와 과실주스는 치아우식활성도가 높았다[10]. 그러므로 음료는 치아 경조직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섭취를 감소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치아우식병이란 무엇인가? 치아상실의 중요한 원인인 치아우식병은 법랑질, 상아질 등의 치질이 파괴되어 무기질과 유기질이 이탈되어 생긴 치아결손 현상으로, 식이에 의해 강하게 영향을 받는데 우식 발생의 결정적인 요인은 설탕(자당, sucrose)이다. 당질 식품은 치아우식 발생에 영향을 미치며, 당질 식품의 점착도와 섭취빈도가 높을수록 치아우식 발생이 증가하며[5], 섭취한 설탕의 양 보다는 섭취빈도가 치아우식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었다[6,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food industry analysis report. Cheongju: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11-5. 

  2. Lee HS, Kwon SO, Yon MY, Kim DH, Lee JY, Nam JW, et al. Dietary total sugar intake of Koreans: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 vey(KNHANES), 2008-2011. J Nutr Health 2014;47(4):268-76. https://doi.org/10.4163/jnh.2014.47.4.268 

  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The 1st('16-'20) sugar comprehensive plan[Internet].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6.[cited 2018 May 03]. Available from: http://www.mfds.go.kr/index.do?mid675&seq31218&cmdv. 

  4.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Survey on the content of sugar content in '06-'07[Internet].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7.[cited 2018 May 03]. Available from: http://www.mfds.go.kr/index.do?mid675&seq1302. 

  5. White-Graves MV, Schiller MR. History of food in the caries process. J Am Diet Assoc 1986;86(2):241-5. 

  6. Yun HK. The studies on factors developing dental caries of snack foods[Master's thesis]. Seoul: Univ. of Seoul National, 2004. 

  7. Rho YH, Choi SR, Park BG, Jang GY. The correlation analysis of diet habit, caries prevalence and caries activity. J Korean Acad Dent Health 1993;16(4):386-402. 

  8. Hunter ML, West NX, Hughes JA, Newcombe RG, Addy M. Erosion of deciduous and permanent dental hard tissue in the oral environment. J Dent 2000;28(4):257-63. 

  9. Choi DY, Shin SC. A study on pH of several beverages in Korea. J Korean Acad Dent Health 1996;20(3):399-410. 

  10. Youn HJ. pH changes by streptococcus sobrinus on some commercial drinks. J Korean Soc Dent Hyg 2007;7(2):167-76. 

  11.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foodsafetykorea[Internet].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8.[cited 2018 May 03] http://www.foodsafetykorea.go.kr/foodcode/01_03.jsp?idx30. 

  12. Lim YO, Kim YN. The effects of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obesity i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small cities. Korean J Community Nutr 2002;7(5):705-14. 

  13. Murphy SP, Johnson RK. The scientific basis of recent US guidance on sugars intake. Am J Clin Nutr 2003;78(4):827-33. https://doi.org/10.1093/ajcn/78.4.827S 

  14. Malik VS, Schulze MB, Hu FB. Intake of sugar-sweetened beverages and weight gain: a systematic review. Am J Clin Nutr 2006;84(2):274-88. https://doi.org/10.1093/ajcn/84.1.274 

  15. Cassady BA, Considine RV, Mattes RD. Beverage consumption, appetite, and energy intake: what did you expect? Am J Clin Nutr 2012;95(3):587-93. https://doi.org/10.3945/ajcn.111.025437 

  16. Lawlor DA, Ebrahim S, Timpson N, Davey Smith G. Avoiding milk is associated with a reduced risk of insulin resistance and the metabolic syndrome: findings from the british women's heart and health study. Diabet Med 2005;22(6):808-11. 

  17. Marques-Vidal P, Goncalves A, Dias CM. Milk intake is inversely related to obesity in men and in young women: data from the Portuguese Health Interview Survey 1998-1999. Int J Obes (Lond) 2006;30(1):88-93. https://doi.org/10.1038/sj.ijo.0803045 

  1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KR);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19. Frost G, Leeds AA, Dore CJ, Madeiros S, Brading S, Dornhorst A. Glycaemic index as a determinant of serum HDL-cholesterol concentration. Lancet 1999;353(9158):1045-8. 

  20. Christensen L. Diet-behavior relationships:focus on depression. 1st ed. American Psychol Assoc; 1996: 89-108. 

  21. Shin EK, Doo YT. The sugars intake through processed foods and its related factors in college students.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2016;41(2):85-97. https://doi.org/10.5393/JAMCH.2016.41.2.085 

  22. Rosinger A, Herrick K, Gahche J, Park S. Sugar-sweetened beverage consumption among U.S. adults, 2011-2014.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2017 Jan. Report No. 270 

  23. Jung JY. The effect of coffee consumption motivation on the future coffee consumption intentions. J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2013;8(4):129-44. 

  24. Lee BH, Park YS, Kim JS, Yoo JH, Lee JK. Caffeine consumption and its related symptoms in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Fam Med 2007;28(1):9-16. 

  25. Hostmark AT. The Oslo Health Study: a dietary index estimating high intake of soft drinks and low intake of fruits and vegetable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mponents of the metabolic syndrome. Appl Physiol Nutr Metab 2010;35(6):816-25. 

  26. Yun JY, Kim BR, Jeong HS, Joo NM. Study on sugar consumption of adult workers according to smoking status. Korean J Community Nutr 2017;22(3):228-37. https://doi.org/10.5720/kjcn.2017.22.3.228 

  27. Kim GU, Min KJ. Effect of adult's taste recognition threshold and salivary flow amount on DMFT and OHIP-14 depending on oral health behavior. J Korean Acad-Ind 2013;14(5):2234-43. https://doi.org/10.5762/KAIS.2013.14.5.2234 

  28. Lussi A, Jaeggi T, Jaeggi-Scharer S. Prediction of the erosive potential of some beverages. Caries Res 1995;29(5):349-54. https://doi.org/10.1159/000262091 

  29. Jun MK, Lee DH, Lee SM. Assessment of nutrient and sugar content and pH of some commercial beverages. J Dent Hyg Sci 2016;16(6):464-71. 

  30. Lee SK, Lee KW, Chang KW. Reasons for extracted permanent teeth in Korean population.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1;25(2):139-63. 

  31. Moynihan P. Foods and factors that protect against dental caries. Nutrition Bulletin 2000;25(4):281-6. https://doi.org/10.1046/j.1467-3010.2000.00033.x 

  32. Kim MY, Lee HJ. Influence of soft drinks supplemented calcium to enamel remineralization. J Korean Soc Dent Hyg 2008;8(3):13-22. 

  33. Adeqboye AR, Christensen LB, Holm-Pedersen P, Avlund K, Boucher BJ, Heitmann BL. Intake of dairy products in relation to periodontitis in older Danish adults. Nutrients 2012;4(9):1219-29. https://doi.org/10.3390/nu4091219 

  34. Al-Zahrani MS. Increased intake of dairy products is related to lower periodontitis prevalence. J Periodontol 2006;77(2):289-94. https://doi.org/10.1902/jop.2006.0500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