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EPANET 2.0과 관망실험을 통한 배수관망 염소농도 감쇄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for the decay of chlorine residual using EPANET2.0 and an experimental pipeline system 원문보기

上下水道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v.32 no.5, 2018년, pp.411 - 419  

백다원 (부산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현준 (부산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상현 (부산대학교 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 is an essential factor to secure reliable water quality in the water distribution systems. The chlorine concentration decays along the pipeline system and the main processes of the reaction can be divided into the bulk decay and the wall decay mechanisms. Using E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EPANET 2.0을 통한 염소감쇄거동 모의를 검증하고자 실험을 수행한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실험은 파일럿 규모의 관망 시스템(Fig.

가설 설정

  • EPANET 2.0에서 체적 반응은 n차 반응속도로 관망 내의 유동에서 발생하는 반응을 모델링하는데, 여기서 순간 반응 속도 R [kg/m3 ∙ s]은 농도에 의존적이라고 가정하여 다음 식을 나타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염소에 대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규정은? 염소는 제한된 수자원을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수요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물속의 불순물들을 제거할 수 있는 강력한 소독제이며 경제적이고 지속성이 있어서 이송 단계에서 잔류 소독제로 널리 사용된다. 염소는 잔류 소독제로서 소독의 효과를 위한 최소 염소농도뿐만 아니라 소독부산물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최대 잔류 염소 농도 또한 규정이 되어있는데, 안전한 수질 확보를 위한 수질 기준으로는 관망 내 잔류염소의 농도를 최소 0.1 mg/L로 최대 2 mg/L의 범위로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AI-Jasser, 2007). 수돗물이 정수장에서부터 가정으로 전달될 때까지 최소 염소농도를 유지하여 배수 시스템 전반에 걸친 미생물의 성장과 병원균의 침입을 막기 위해서 관망 내부에서의 염소 감쇄 거동을 이해할 필요성이 있다 (Mohammad et al.
염소란? 염소는 제한된 수자원을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수요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물속의 불순물들을 제거할 수 있는 강력한 소독제이며 경제적이고 지속성이 있어서 이송 단계에서 잔류 소독제로 널리 사용된다. 염소는 잔류 소독제로서 소독의 효과를 위한 최소 염소농도뿐만 아니라 소독부산물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최대 잔류 염소 농도 또한 규정이 되어있는데, 안전한 수질 확보를 위한 수질 기준으로는 관망 내 잔류염소의 농도를 최소 0.
관망 내부에서 잔류 염소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일반적으로 관망 내부에서 잔류 염소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의해 염소농도 감쇄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뉠 수 있다. 첫 번째로는 온도, 초기염소농도, 유기물농도 등에 관련된 체적 감쇄(Bulk decay)이고 두 번째로는 배관재료, 유속, 배관 수명 등에 관련된 관벽 감쇄(Wall decay)이다 (Biwas and Clark, 1993; Clark et al., 1994; Beatty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I-Jasser A.O. (2007). Chlorine decay in drinking-wat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systems: Pipe service age effect, Water Res., 41(2), 387-96. 

  2. Beatty R., Bliss P.J., Vintage D.C., Clayton P. and Kelly J.P. (1996).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chlorine decay in piped distribution systems", Proceedings of the australian water and wastewater association 16th federal convention, Australian Water and wastewater association, sydney. 

  3. Biswas P., Lu C. and Clark R.M. (1993). A model for chlorine concentration decay in pipes, Water Res., 27(12), 1715-24. 

  4. Clark R.M., Grayman W.M., Goodrich J.A., Deininger R.A. and Skov K. (1994). Measuring and modeling chlorine propagation in water distribution systems, J. Water Resour. Plann. Manage., 120(6), 871-87. 

  5. Haas C.N. and Karra S.B. (1984). Kinetics of wastewater chlorine demand exertion, J. Water Pollut. Control. Federation, 170-3. 

  6. Hua F., West J.R., Barker R.A., Forster C.F. (1999). Modelling of chlorine decay in municipal water supplies, Water Res, 33(12), 2735-46. 

  7. Karim M.R., Abbaszadegan M. and LeChevallier M. (2003). Potential for pathogen intrusion during pressure transients, J. Am. Water Work Assoc., 95(5), 134-46. 

  8. Kiene L., Lu W. and Levi Y. (1998). Relative importance of the phenomena responsible for chlorine decay in drinking water distribution systems, Water Sci. Technol., 38(6), 219. 

  9. Kim H.J., Kim S.H. and Koo J.Y. (2014). Prediction of chlorine concentration in various hydraulic conditions for a pilot scale water distribution system, Procedia Eng., 70, 934-42. 

  10. Kim H.J., Koo J.Y. and Kim S.H. (2015). A general framework of chlorine decay modeling at a pilot-scale water distribution system, J. Water Supply Res. Technol., 64(5), 543-57. 

  11.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Water and Wastewater Works Associtation (2015). 2014 Statistics of Waterworks, 11-1480000-000181-10, 12-14. 

  12. Powell J.C., Hallam N.B., West J.R., Forster C.F. and Simms J. (2000). Factors which control bulk chlorine decay rates, Water Res., 34(1), 117-26. 

  13. Rossman L.A.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Offi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National Risk Management Research Laborator. (2000). EPANET 2: Users manual, 43-46. 

  14. Rossman L.A., Clark R.M., Grayman W.M. (1994). Modeling chlorine residuals in drinking-water distribution systems, J. Environ. Eng., 120(4), 803-20. 

  15. Wable O., Dumoutier N., Duguet J.P., Jarrige P.A., Gelas G. and Depierre J.F. (1991). "Modeling chlorine concentrations in a network and applications to paris distribution network", Proceedings of 1991 AWWARF/USEPA conference on water quality modeling in distribution systems, cincinnati.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